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경성 미술비평에 대한 비판적 고찰: 근·현대 개념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f the Art Criticism of Lee Kyung Sung: Focusing on the Issue of Defining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1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issue of defining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Lee Kyung Sungʼs art criticism will be examin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Lee Kyung Sung, who denied the existence of a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in the early 1950s, started in 1957 to describe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Koreaʼs art history in terms of binary opposition, as in affirmation and negation. In 1959, he accepted the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as a research subject in his paper, published in 1959, titled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n Painting”. After that, h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Korean modern art history and proposed several time sections for the periodization of Koreaʼs modern art,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70s. However, in the 1980s, he returned to his argument for denying the existence of a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and continued his assertions in an inconsistent manner regarding the titl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ʼ, consequently revealing the internal contradictions in his logic of criticism. Lee Kyung Sungʼs arguments abou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Korean art history contain many inconsistencies and internal contradictions, and are not presented in a consistent context. They were even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discourses that were predominant in his time. Therefore, such inconsistencies and contradictions, shown in his concep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can be deemed the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the predominant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hich were generated in the course of accepting western modernity in an indiscreet manner, and reflected in Lee Kyung Sungʼs art criticism. His art criticism, that was dependent on incomplete and predominant discourses, and which failed to create its own identity, can be view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However, given the postwar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ed, it appears that his generational ident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historical term.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issue of defining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Lee Kyung Sungʼs art criticism will be examin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Lee Kyung Sung, who denied the existence of a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in the ear...

      In this paper, the issue of defining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Lee Kyung Sungʼs art criticism will be examin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Lee Kyung Sung, who denied the existence of a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in the early 1950s, started in 1957 to describe the concept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Koreaʼs art history in terms of binary opposition, as in affirmation and negation. In 1959, he accepted the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as a research subject in his paper, published in 1959, titled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n Painting”. After that, h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Korean modern art history and proposed several time sections for the periodization of Koreaʼs modern art,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70s. However, in the 1980s, he returned to his argument for denying the existence of a modern era in Korean art history, and continued his assertions in an inconsistent manner regarding the titl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ʼ, consequently revealing the internal contradictions in his logic of criticism. Lee Kyung Sungʼs arguments abou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 Korean art history contain many inconsistencies and internal contradictions, and are not presented in a consistent context. They were even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discourses that were predominant in his time. Therefore, such inconsistencies and contradictions, shown in his concep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can be deemed the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the predominant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hich were generated in the course of accepting western modernity in an indiscreet manner, and reflected in Lee Kyung Sungʼs art criticism. His art criticism, that was dependent on incomplete and predominant discourses, and which failed to create its own identity, can be view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However, given the postwar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ed, it appears that his generational ident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historical te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경성 미술비평에서의 근·현대 개념 설정 문제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1950년대 초·중반에 한국미술의 근대부재론을 주장하던 이경성은 1957년 경 부터 근대와 현대를 부정과 긍정의 이항대립 관계로 서술하다가 1959년 발표한 논문 「한국 회화의 근대적 과정」 에서부터 한국미술에서의 근대를 연구대상으로서 긍정하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근대미술사학의 정립을 위해 노력하며 60년대 후 반부터 70년대까지 한국근대미술의 시기구분 형식을 여러 가지로 제안하던 이경성은 80년대 들어 다시 근대부재론으로 회귀하거나 국립현대미술관의 명칭 논의에서 일관되지 않은 발화를 반복함으로써 비평 세계의 자기모순을 드러냈다. 이경성의 근·현대 논의는 내부에 불일치와 자기모순을 다수 포함하며 일 관된 맥락 하에 놓여 있지 않다. 그리고 당대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연계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경 성의 근·현대 용법에서 드러나는 불일치와 자기모순은 당대 한국 사회의 지배담론이 서구 모더니티를 압축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생긴 구조적 모순이 이경성의 미술비평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불완전한 지배담론에 의존하며 자체적인 자기동일성을 구축하지 못한 이경 성의 미술비평은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전후세대로서 이경성이 지닌 세대적 정 체성이 역사적 관점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이경성 미술비평에서의 근·현대 개념 설정 문제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1950년대 초·중반에 한국미술의 근대부재론을 주장하던 이경성은 1957년 경 부터 근대와 현대를 부...

      본 논문은 이경성 미술비평에서의 근·현대 개념 설정 문제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1950년대 초·중반에 한국미술의 근대부재론을 주장하던 이경성은 1957년 경 부터 근대와 현대를 부정과 긍정의 이항대립 관계로 서술하다가 1959년 발표한 논문 「한국 회화의 근대적 과정」 에서부터 한국미술에서의 근대를 연구대상으로서 긍정하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근대미술사학의 정립을 위해 노력하며 60년대 후 반부터 70년대까지 한국근대미술의 시기구분 형식을 여러 가지로 제안하던 이경성은 80년대 들어 다시 근대부재론으로 회귀하거나 국립현대미술관의 명칭 논의에서 일관되지 않은 발화를 반복함으로써 비평 세계의 자기모순을 드러냈다. 이경성의 근·현대 논의는 내부에 불일치와 자기모순을 다수 포함하며 일 관된 맥락 하에 놓여 있지 않다. 그리고 당대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연계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경 성의 근·현대 용법에서 드러나는 불일치와 자기모순은 당대 한국 사회의 지배담론이 서구 모더니티를 압축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생긴 구조적 모순이 이경성의 미술비평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불완전한 지배담론에 의존하며 자체적인 자기동일성을 구축하지 못한 이경 성의 미술비평은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전후세대로서 이경성이 지닌 세대적 정 체성이 역사적 관점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성, "현대한국미술의 상황" 일지사 1976

      2 마샬 버만, "현대성의 경험 : 견고한 모든 것은 대기 속에 녹아 버린다" 현대미학사 2004

      3 이경성, "한국현대조각의 현황과 제 문제" 227 : 1986

      4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전집 1" 한국일보사 1977

      5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일지사 1988

      6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특수여건" 3 : 1970

      7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이정표―현대작가초대미술전 평"

      8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역설"

      9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Ⅳ1" ICAS 2004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현대문화사대계Ⅰ : 문학·예술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75

      1 이경성, "현대한국미술의 상황" 일지사 1976

      2 마샬 버만, "현대성의 경험 : 견고한 모든 것은 대기 속에 녹아 버린다" 현대미학사 2004

      3 이경성, "한국현대조각의 현황과 제 문제" 227 : 1986

      4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전집 1" 한국일보사 1977

      5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일지사 1988

      6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특수여건" 3 : 1970

      7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이정표―현대작가초대미술전 평"

      8 이경성, "한국현대미술의 역설"

      9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Ⅳ1" ICAS 2004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현대문화사대계Ⅰ : 문학·예술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75

      11 박종화, "한국예술총람 개관 편" 대한민국 예술원 1964

      12 이경성, "한국예술총람 개관 편" 대한민국 예술원 1964

      13 이경성, "한국사론5 : 근대" 국사편찬위원회 1978

      14 이경성, "한국근대미술의 형성과 그 양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5 이경성, "한국근대미술의 양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 1980

      16 이경성, "한국근대미술연구" 동화출판공사 1974

      17 이경성, "한국근대미술사 서설" 홍익대학교 5 : 1973

      18 이경성, "한국근대미술: 한국근대미술60년전 도록" 국립현대미술관 1973

      19 이경성, "한국 회화의 근대적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1 : 1959

      20 김달진, "한국 미술평론의 역사"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018

      21 이경성, "종장의 문턱서 되돌아 본 60년대 ③ 미술 – 전근대에서 근대로"

      22 이경성, "조형의 연금술―제2회 현대작가미술전 평"

      23 한수영, "전후문학을 다시 읽는다" 소명출판 2015

      24 이경성,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 시공사 1998

      25 홍선표, "석남 이경성의 미술사 연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132 : 2019

      26 이은기, "서양미술사전" 미진사 2015

      27 이경성,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한국미술의 현대적 과업" 35 : 1956

      28 이경성, "새로운 기풍의 창조―현대미술작가초대전의 과제"

      29 이경성, "백남준 쇼크" 102 : 1984

      30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 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1 이경성, "미술정책의 방향감각"

      32 이경성, "미술문화 육성의 문제점" 1967

      33 이경성, "미술교육과 국제교류―이해 화단의 과제"

      34 이경성, "미술 60년의 문제들" 50 : 1968

      35 M. 칼리니스쿠,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4

      36 홍선표, "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성" 학고재 2009

      37 최열, "근대미술사 서술의 관점과 그 기원― 1950-60년대 이경성의 미술사학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7) : 71-95, 2006

      38 최열, "근대미술 기점 연구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3) : 7-39, 2004

      39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의 회고와 전망"

      40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의 과제" 2 : 1970

      41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 그 이름의 모순" 146 : 1988

      42 이경성,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맹견도에 대한 의문점" 129·130 : 1976

      43 이경성, "고전미술과 현대미술―한국미술의 개념과 정립 문제" 5 (5): 1977

      44 이경성, "韓国現代絵画展" 일본 도쿄국립근대미술관 1968

      45 신종화, "‘모던modern’의 한국적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근대近代’에 관한 『조선왕조실록』의 언어적 용례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7) : 5-48, 2013

      46 김기수, "‘1989년 이후 컨템퍼러리 아트’에서 ‘동시대성’의 문제: 미술사적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21 (21): 53-112, 2017

      47 Calinescu, Matei, "Five Faces of Modernity : Modernism, Avant-garde, Decadence, Kitsch, Postmodernism" Duke University Press 1987

      48 Berman, Marshall.,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The Experience of Modernity" Penguin Books 1988

      49 이경성, "70년대의 문학과 80년대의 그 전망―세계 속의 미술로 정착"

      50 이인범, "2003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6 이경성"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1.04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