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특성화 방안을 찾아내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지역에는 무수히 많은 지역 자원이 존재하며, 그러한 지역자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특성화 계획을 추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5292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역별 특성화 방안을 찾아내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지역에는 무수히 많은 지역 자원이 존재하며, 그러한 지역자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특성화 계획을 추진...
지역별 특성화 방안을 찾아내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지역에는 무수히 많은 지역 자원이 존재하며, 그러한 지역자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특성화 계획을 추진하다 보니, 지역적 특성이 집중화 되지 못하고 다양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서 파악 가능한 자원요소를 기존 자원분류체계 사례조사, 현지답사자료 등을 수집ㆍ분석하여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논리에 의해 농촌자원평가 및 자원측성을 파악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의 대표성을 갖는 지역자원을 추출하여 디자인분야에 활용하고, 디자인을 통한 지역특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주된 연구 내용으로는
-지역특성화의 유형 분석 연구 : 지역특성화 유형을 문헌자료를 통해 파악
-디자인 활용을 위한 지역자원평가 및 자원분포도 작성 : 농촌자원요소별
평가기준작성 및 자료의 입출력, 중요도 평가 실시 및 자원 분포도 작성 방
법 연구
-주요 지역자원의 디자인 활용 방법 (지역자원의 의미화 작업)연구 : 자원평
가결과의 디자인분야 적용 방법
-지역이미지 통합 방법 (지역특성화 방법) 연구 : 디자인 제 분야의 활용
을 통한 지역이미지 통합 방법 연구 (3D시뮬레이션 제시)
-사례연구를 통한 연구의 타당성 검증 :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원추출방법
이나 자원의 디자인분야 활용에 관한 타당성 및 프로세스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사례대상지 2곳을 선정하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