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윤석, "황일호의 한문 <홍길동전> 발견과 그 의미" 국립중앙도서관 2019
2 노익형, "홍길동전" 박문서관 1926
3 심재광,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479-486, 2010
4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5 "토월회 예제 교환(藝題 交換)"
6 "토월회 대구 공연"
7 "추풍감별곡"
8 고설봉, "증언연극사" 진양 1990
9 김남석, "조선의 영화 제작사들" 한국문화사 2013
10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 2010
1 이윤석, "황일호의 한문 <홍길동전> 발견과 그 의미" 국립중앙도서관 2019
2 노익형, "홍길동전" 박문서관 1926
3 심재광,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479-486, 2010
4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5 "토월회 예제 교환(藝題 交換)"
6 "토월회 대구 공연"
7 "추풍감별곡"
8 고설봉, "증언연극사" 진양 1990
9 김남석, "조선의 영화 제작사들" 한국문화사 2013
10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 2010
11 김남석, "조선 대중극의 용광로 동양극장(1)" 서강대출판부 2018
12 오영식, "오래된 근대, 딱지본의 책그림" 소명 2018
13 박기채, "영화 일년의 개관적(槪觀的) 회고"
14 "연쇄시대극(連鎻時代劇) <홍길동(洪吉童)>"
15 "연쇄극 <홍길동> 명(明) 26일부터 단성사서"
16 박진, "세세연년" 세손 1991
17 "매일신보"
18 "매일신보"
19 백승종, "고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회 80 : 1995
20 나운규, "개화당의 제작자로서" 4 (4): 1932
21 나운규, "개화당" 4 (4): 1932
22 "각계진용(各界陣容)과 현세(現勢)"
23 나운규, "‘개화당’의 영화화" 3 (3): 1931
24 "<홍길동전>과 <젊은이여우지말나> 단성사에서 공연"
25 김기동, "<홍길동전><이해룡전><정진사전><최척전>(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984
26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 나운규 주연"
27 김남석, "1920~30년대 조선 연극계의 공연 관행으로서 1일 3작품 공연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