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대중극단 신무대의 연쇄극 <홍길동전> 제작 과정과 의의에 관한 일 고찰 = A Study on the Story of Hong Gil-dong as the Kino Drama Produced by Shinmoodae in the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3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Story of Hong Gil-dong performed in the 1930s popular theater Shinmoodae. Since September 1932, Shinmoodae has improved the system and goals of the theatrical company and started to produce kino drama. The previous Shinmoodae aimed to play a drama based on the production of comedy, so the policy of kino drama meant that the direction of management and production was chang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is policy, which succeeded when Na Un-kyoo joined the theater, Story of Hong Gil-dong was a leading pioneering work that experimented and led the production of kino drama. Moreover in Korean culture and art world, the scenarios and drama scripts that were adapted from Story of Hong Gil-dong were very rare. Therefore, the case of Shinmoodae is a leading example of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ntents of Story of Hong Gil-dong.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study on Story of Hong Gil-dong performed in the 1930s popular theater Shinmoodae. Since September 1932, Shinmoodae has improved the system and goals of the theatrical company and started to produce kino drama. The previous Shinmoodae ...

      This paper is a study on Story of Hong Gil-dong performed in the 1930s popular theater Shinmoodae. Since September 1932, Shinmoodae has improved the system and goals of the theatrical company and started to produce kino drama. The previous Shinmoodae aimed to play a drama based on the production of comedy, so the policy of kino drama meant that the direction of management and production was chang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is policy, which succeeded when Na Un-kyoo joined the theater, Story of Hong Gil-dong was a leading pioneering work that experimented and led the production of kino drama. Moreover in Korean culture and art world, the scenarios and drama scripts that were adapted from Story of Hong Gil-dong were very rare. Therefore, the case of Shinmoodae is a leading example of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ntents of Story of Hong Gil-d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석, "황일호의 한문 <홍길동전> 발견과 그 의미" 국립중앙도서관 2019

      2 노익형, "홍길동전" 박문서관 1926

      3 심재광,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479-486, 2010

      4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5 "토월회 예제 교환(藝題 交換)"

      6 "토월회 대구 공연"

      7 "추풍감별곡"

      8 고설봉, "증언연극사" 진양 1990

      9 김남석, "조선의 영화 제작사들" 한국문화사 2013

      10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 2010

      1 이윤석, "황일호의 한문 <홍길동전> 발견과 그 의미" 국립중앙도서관 2019

      2 노익형, "홍길동전" 박문서관 1926

      3 심재광,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479-486, 2010

      4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5 "토월회 예제 교환(藝題 交換)"

      6 "토월회 대구 공연"

      7 "추풍감별곡"

      8 고설봉, "증언연극사" 진양 1990

      9 김남석, "조선의 영화 제작사들" 한국문화사 2013

      10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 2010

      11 김남석, "조선 대중극의 용광로 동양극장(1)" 서강대출판부 2018

      12 오영식, "오래된 근대, 딱지본의 책그림" 소명 2018

      13 박기채, "영화 일년의 개관적(槪觀的) 회고"

      14 "연쇄시대극(連鎻時代劇) <홍길동(洪吉童)>"

      15 "연쇄극 <홍길동> 명(明) 26일부터 단성사서"

      16 박진, "세세연년" 세손 1991

      17 "매일신보"

      18 "매일신보"

      19 백승종, "고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회 80 : 1995

      20 나운규, "개화당의 제작자로서" 4 (4): 1932

      21 나운규, "개화당" 4 (4): 1932

      22 "각계진용(各界陣容)과 현세(現勢)"

      23 나운규, "‘개화당’의 영화화" 3 (3): 1931

      24 "<홍길동전>과 <젊은이여우지말나> 단성사에서 공연"

      25 김기동, "<홍길동전><이해룡전><정진사전><최척전>(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984

      26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 나운규 주연"

      27 김남석, "1920~30년대 조선 연극계의 공연 관행으로서 1일 3작품 공연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3 0.8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