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전후 일본에서 나타난 반전평화운동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후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이 운동에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15684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9-243(3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전후 일본에서 나타난 반전평화운동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후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이 운동에 영...
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전후 일본에서 나타난 반전평화운동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후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이 운동에 영향을 미친 쓰루미 슌스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전후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은 미국의 베트남 북폭을 계기로 나타났다. 이 운동의 중심이 된 것은 지식인들이었다. 일본의 전후 지식인들은 나이에 따라 전전·전중·전후파로 구분되어 전쟁에 대한 의견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전쟁을 겪었던 연령, 장소, 경험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전쟁의 표상을 품고서 다채로운 활동들을 전개해 나갔다. 여기서 반전평화운동을 이끈 주요 인사들은 1920년대 태어난 전중파 지식인들이었으며 그 중심에 쓰루미 슌스케가 있었다. 쓰루미의 반전평화사상은 정치명문가 집안에서 목도한 가해자로서의 일본인에 대한 반발과 미국에서 귀국한 후 겪었던 전쟁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하버드 대학 재학 중인 1941년 미일개전과 동시에 일본으로 귀국하여 군무원으로서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배치되어 위안소원으로서 전쟁을 체험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귀국자녀로서 근무한 전장(戦場)의 생활은 쓰루미에게 있어서 모럴의 파괴와 인권 유린, 가학적이며 잔혹한 전쟁의 실제와 대면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군경험을 통해 느끼는 회한과 가해의 자각은 그의 반전사상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것이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이 베헤렌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이었다. 따라서 베헤렌이 표방한 반전사상 또한 쓰루미가 겪었던 태평양전쟁에서의 종군경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즉 쓰루미의 사상은 그의 삶을 짙게 반영한 것이었으며 그의 사상은 행동으로서 표출되어 나타났던 것이다. 요컨대 베헤렌의 반전평화운동을 뒷받침한 사상적 토대는 쓰루미가 미국에서 겪었던 민주주의적 교육과 경험이었지만, 이것이 전후 일본의 상황에서 운동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에서의 경험과는 대조적인 위안소 관리원이라는 일본군 하급병사로서의 전쟁경험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anti-war principle and peace movement of post-war Japan, especially focused on Shunske Tsurumi. The anti-war movement of post-war Japan was began with the Beheiren(Peace to Vietnam! Citizens Federation) movement. Bei...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anti-war principle and peace movement of post-war Japan, especially focused on Shunske Tsurumi. The anti-war movement of post-war Japan was began with the Beheiren(Peace to Vietnam! Citizens Federation) movement. Beiheiren movement which was began with the Vietnamese war resisted to the US war to Vietnam and insisted on the suspension of US bombing towards the North Vietnam. The persons who leads to this movement are born at the 1920s and the key man of this organization is Shunske Tsurumi. The thought of Shunske Tsurumi was shaped through his prestigious family background, the studying in the USA and military service under the Imperialist Japan. His anti-war principle has influenced the citizens movement of Japan during the Vietnamese war and even now still has influenced through the ‘Article 9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후쿠시마 사태, 전후 일본 국가형성 논리의 파산 - 일본신좌파 운동의 대부, 무토이치요우②"
2 심승환, "프래그머티즘의 시각에서 본 배움의 의미" 교육문제연구소 (28) : 49-81, 2007
3 이영채, "전후 일본의 시민운동과 한일 시민연대" 48 : 105-124, 2005
4 최종길, "전향연구 재론 -근대 국민국가론의 관점에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2) : 141-170, 2012
5 쓰루미 슌스케, "일본제국주의 정신사" 한벗 1982
6 정병욱,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역사비평 212-231, 2010
7 박희숙, "일본의 생활정치의 과제와 전망" 제3섹터연구소 7 (7): 73-110, 2009
8 남기정, "일본의 베트남전쟁 - ‘기지국가’의 ‘평화운동’과 ‘평화외교’" 한국사회사학회 (105) : 71-108, 2015
9 남기정, "일본의 반원전운동―기원으로서 베트남전쟁 반대운동과 ‘생활평화주의’의 전개" 역사문제연구소 (104) : 317-347, 2013
10 정아영, "일본의 1968년 학생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평가" 경제와 사회 70-89, 2007
1 "후쿠시마 사태, 전후 일본 국가형성 논리의 파산 - 일본신좌파 운동의 대부, 무토이치요우②"
2 심승환, "프래그머티즘의 시각에서 본 배움의 의미" 교육문제연구소 (28) : 49-81, 2007
3 이영채, "전후 일본의 시민운동과 한일 시민연대" 48 : 105-124, 2005
4 최종길, "전향연구 재론 -근대 국민국가론의 관점에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2) : 141-170, 2012
5 쓰루미 슌스케, "일본제국주의 정신사" 한벗 1982
6 정병욱,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역사비평 212-231, 2010
7 박희숙, "일본의 생활정치의 과제와 전망" 제3섹터연구소 7 (7): 73-110, 2009
8 남기정, "일본의 베트남전쟁 - ‘기지국가’의 ‘평화운동’과 ‘평화외교’" 한국사회사학회 (105) : 71-108, 2015
9 남기정, "일본의 반원전운동―기원으로서 베트남전쟁 반대운동과 ‘생활평화주의’의 전개" 역사문제연구소 (104) : 317-347, 2013
10 정아영, "일본의 1968년 학생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평가" 경제와 사회 70-89, 2007
11 한영혜, "일본 시민운동에서의 ‘생활’의 의미" 4 : 108-137, 2011
12 성해준, "일본 근대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의 생애를 통한 사상고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607-629, 2008
13 박진우, "일본 ‘전후역사학’의 전개와 변용"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1) : 3-46, 2011
14 오구마 에이지, "사회를 바꾸려면" 동아시아 2014
15 하홍규, "사회 이론에서 프래그머티즘적 전환" 한국이론사회학회 (23) : 49-74, 2013
16 남기정, "베트남전쟁의 현실과 일본의 평화담론: 베평련과 전공투를 중심으로" 통일평화연구원 6 (6): 66-103, 2014
17 남기정, "베트남 ‘반전탈주’ 미군병사와 일본의 시민운동 : 생활세계의 전쟁과 평화" 일본연구소 36 : 73-96, 2012
18 "벌레들 편에서 싸우다⑪ 일본인 오다 마코토의 반전 평화투쟁 “미군 병사들이여 탈영하라, 우리가 돕겠다"
19 김원, "국가/국민을 넘어서는 실험들" 실천문학 32-49, 2014
20 기하라 시게야(木原滋哉), "鶴見俊輔∙ベ平連∙限界政治" (93) : 68-73, 2017
21 쿠라카와 소오(黒川創), "鶴見俊輔――いつも新しい思想家" 河出書房新社 2008
22 나카이 이사오(中井久夫), "鶴見俊輔――いつも新しい思想家" 河出書房新社 2008
23 "鶴見俊輔~戦後日本人民の記憶"
24 "玉碎의 거짓, 難死의 진실"
25 오구마 에이지(小熊英二), "民主と愛国-戦後日本のナショナリズムと公共性" 新曜社 2002
26 우치다 세이코(内田聖子), "村瀬学から学ぶ鶴見俊輔" (93) : 41-47, 2017
27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日本人は何を捨ててきたのか : 思想家・鶴見俊輔の肉声" 筑摩書房 2015
28 NHKEテレ, "日本人は何をめざしてきたのか<知の巨人たち>鶴見俊輔と<思想の科学>"
29 마츠이 타카시(松井隆志), "戦争反対の根拠" 43 (43): 138-146, 2015
30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戦争が遺したもの鶴見俊輔に戦後世代が聞く" 新曜社 2015
31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思い出袋" 岩波新書 2010
32 오다 미노루(小田実), "市民運動とは何か : ベ平連の思想" 德間書店 1968
33 "天声人語<鶴見俊輔さん逝く>"
34 스가와라 가즈코(菅原和子), "声なき声の会の思想と行動:戦後市民運動の原点をさぐる" 11 : 41-57, 2008
35 요시카와 유이치(吉川勇一), "反戦平和の思想と行動" 社会評論社 30-38, 1995
36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不定形の思想" 文藝春秋 1968
37 소노미 스즈키(鈴木園巳),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 鶴見俊輔の戦後と言語への関心" 4 : 267-281, 2010
38 "インタヴゥー/ベトナムからイラクへ 平和運動の経験と思想の継承をめぐって/吉川勇一"
39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まなざし" 藤原書店 2015
40 "‘평화헌법 수호자’ 日사상가 쓰루미 별세"
41 권혁태, "‘국경’ 안에서 ‘탈/국경’을 상상하는 법: 일본의 베트남 반전운동과 탈영병사" 국학연구원 (157) : 113-166, 2012
42 강상규,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제국일본" 논형 2007
43 마스이 다카시, "1960년대 일본에서의 사회운동―학생운동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6 (16): 145-171, 2012
44 서동주, "1950년대 ‘기록운동’과 ‘기지일본’의 표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5) : 79-104, 2013
국가의 시민적 자유 제약에 대한 개인의 태도 결정 요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Peace Studie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평화연구소 ->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for Peace Studies, Korea University -> Peace & Democracy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4 | 1.22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