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restoring the topography of future prospects embedded in Joseon(Korean) Literature in 1939. 「Character of Joseon(Korean) Literature to be newly established」, a New Year's literary symposium that was planned ≪Dong-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restoring the topography of future prospects embedded in Joseon(Korean) Literature in 1939. 「Character of Joseon(Korean) Literature to be newly established」, a New Year's literary symposium that was planned ≪Dong-A...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restoring the topography of future prospects embedded in Joseon(Korean) Literature in 1939. 「Character of Joseon(Korean) Literature to be newly established」, a New Year's literary symposium that was planned ≪Dong-A Ilbo≫ in 1939, is a vivid record of writers discuss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Joseon literature.
That record has significance in discussing the vision of Joseon(Korean) Literature by setting impossible goal “building a new literature”. It is worthy of notice that while authors of Kim Sang-yong, Kim Kwang-sup, etc. Haewoimunhakpa(The School of Foreign Literature) have led the symposium, made the problem of the Joseon(Korean) literary globalization as a major proposition. Rather than diagnosing the defeat phenomenon of reality, it visualized the future of Joseon(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reproduction of prospect.
It was a bit of compromise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aggressive criticism: Lim-hwa advocates The Great Books of western during the symposium and Kim Nam-cheon's position to change reality through the kinds of Novel of Manners etc.. This is the passion of realist writers who tried to find new ways after Realism in the late 1930s failed.
Ami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strategy of Japan was accelerating, they showed different and variety viewpoints such as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Western Classic Advocacy, Novel of Manners and Peasant Literature in identifying contemporary issues of Joseon(Korean) literature. It has identified the contemporary issues facing the Joseon(Korean) literature by showing the difference of different positions, the future direction of Joseon(Korean) literature will be examined.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39년 조선문학에 내재된 미래적 전망의 지형도 복원에 의의를 가진다. 1939년 ≪동아일보≫에서 기획한 신년문인좌담회 「新建할 朝鮮文學의 性格」은 당대 조선문학의 현재와 미래...
본고는 1939년 조선문학에 내재된 미래적 전망의 지형도 복원에 의의를 가진다. 1939년 ≪동아일보≫에서 기획한 신년문인좌담회 「新建할 朝鮮文學의 性格」은 당대 조선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두고 논의되었던 당대적 육성이 살아 숨 쉬는 주요한 사료이다.
“新建”이라는 불가능한 목표 설정을 통해 조선문학의 비전을 고찰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특히 김상용, 김광섭 등 해외문학 논자들이 좌담을 주도하면서, 조선문학의 세계화의 문제를 주요 명제로 삼았던 점이 주목된다. 당면한 현실의 패배적 현상을 진단하기보다 전망의 재생산을 통해 조선문학의 미래를 가시화한 것이다.
임화가 좌담 내내 서구 고전을 옹호하는 입장이나 김남천이 세태소설을 통해 현실을 개진해나가려는 입장 등은 종래의 호전적인 비평 태도와는 일정 수준 절충된 입장이다. 이는 1930년대 말 리얼리즘론의 실패 이후 또 다른 모색을 기획하려했던 리얼리즘 논자들의 열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전략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조선문학의 세계화, 고전옹호, 세태소설론, 농민문학론 등 조선문학이 처한 당대의 논제를 규명함에 있어 서로 다른 입장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조선문학이 나가갈 미래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화, "현대문학의 정신적 기축― 주체의 재건과 현실의 의의"
2 고명철, "해외문학파와 근대성, 그 몇 가지 문제" 한민족문화학회 10 : 2002
3 김윤식, "한국근대문학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4 임화, "최근 10년간 문예비평의 주조와 변천" 5-6, 1939
5 김승구, "중일전쟁기 김용제의 내선일체문화운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4) : 57-89, 2009
6 임화, "주체의 재건과 문학의 세계"
7 임화, "조선적 비평의 정신"
8 임화, "조선어와 위기하의 조선문학"
9 임화, "조선문화와 신휴머니즘론" 1937
10 임화, "조선문학의 신정세와 현대적 諸相"
1 임화, "현대문학의 정신적 기축― 주체의 재건과 현실의 의의"
2 고명철, "해외문학파와 근대성, 그 몇 가지 문제" 한민족문화학회 10 : 2002
3 김윤식, "한국근대문학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4 임화, "최근 10년간 문예비평의 주조와 변천" 5-6, 1939
5 김승구, "중일전쟁기 김용제의 내선일체문화운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4) : 57-89, 2009
6 임화, "주체의 재건과 문학의 세계"
7 임화, "조선적 비평의 정신"
8 임화, "조선어와 위기하의 조선문학"
9 임화, "조선문화와 신휴머니즘론" 1937
10 임화, "조선문학의 신정세와 현대적 諸相"
11 김남천, "조광" 1937
12 임형택, "임화의 문학사 인식논리" 창비 (봄) : 2013
13 김외곤, "임화의 ‘신문학사’와 오리엔탈리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5 : 1999
14 조은주, "임화의 ‘비평적 주체’의 정립 과정과 비평의 윤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283-301, 2009
15 임화, "임화 전집 2, 3, 4, 5" 소명출판 2009
16 임화, "사실의 재인식"
17 조윤정, "번역가의 과제, 글쓰기의 윤리 -임화와 해외문학파의 논쟁적 글쓰기-" 반교어문학회 (27) : 373-410, 2009
18 임화, "문학상의 지방주의 문제" 1936
19 김남천, "김남천 전집 1" 박이정 2000
20 임화, "飛翔하는 작가정신"
21 임화, "朦朧 중에 투명한 것을?"
22 김용제, "朝鮮文學의 新世代―리얼리즘으로 본 휴맨이즘"
23 김광섭, "朝鮮文學의 成格(2)―生活과 個性의 創造"
24 김남천, "朝鮮文學의 成格 (3)― 모랄의 確立"
25 백철, "時代的 偶然의 受理―事實에 대한 情神의 態度"
26 서항석, "明日의 朝鮮文學"
27 이무영, "新建할 朝鮮文學의 性格"
28 김문집, "文壇主流說再批判 (1)∼(4)"
29 임화, "批評의 高度"
30 "創刊卷頭辭" (창간) : 1927
31 이혜령, "『동아일보』와 외국문학, 해외문학파와 미디어" 한국문학연구소 (34) : 361-393, 2008
32 임화, "『대지』의 세계성―노벨상 작가 펄벅에 대하여"
33 김동식, "‘리얼리즘의 승리’와 텍스트의 무의식 - 임화의 「의도와 작품의 낙차와 비평」에 관한 몇 개의 주석" 민족문학사학회 (38) : 94-130, 2008
34 박성준, "1938년 조선문학 살롱 -「明日의 朝鮮文學」에서 제기된 ‘미래’의 의미" 우리어문학회 (60) : 93-122, 2018
35 이현식, "1930년대 후반 안함광 문학론의 구조" 민족문학사연소 5 : 1994
36 손종호, "1930년대 전원파 시의 도가사상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45) : 281-309, 2012
이름 없는 자들에 대한 기록 -이병주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잡지 『신민』에 재현된 사회주의 담론의 양상과 전략 -1925년 전후 ‘치안유지법’ 실시를 중심으로-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인정투쟁’의 논리와 전개 양상 연구
자화상 에세이 쓰기에 활용할 콘텐츠에 관한 고찰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오리’(Logotheorie)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8 | 1.28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