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江華 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 = A Study on Guanghwa-Yangmyong School(江華陽明學派)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6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강화(江華) 양명학파(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힌 것이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강화도(江華島)’라는 지역을 거점으로 성립․전개한 학파 즉 강화학파(江華學派)를 ‘양명학’적 관점에서 조명, 지칭한 이른바 ‘강화 양명학파’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논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종래의 연구성과, 특히 유명종의 연구를 토대로 강화 양명학파의 학술, 문예적 업적을 <① 주체적인 사관 확립[良知史觀] - 사학, ② 주체적인 언어[訓民正音學/우리말] 연구 - 언어학, ③ 창의적 서화(書畵)의 개화 - 문예학, ④ 성령문학(性靈文學)의 전개 - 문학, ⑤ 실학(實學)과 제휴 - 실학>의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더욱 추진되어야 하며, 여기서 거론되지 않은 강화 양명학파의 여타의 학술, 문예적 특징들은 새롭게 밝혀져야 한다.
      앞으로 강화 양명학파를 연구함에 있어서 보다 주목되어야만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화학파의 ‘양지’ 발휘로서의 자유로운 인간 개성 중시, 문예 중시의 사조를 아나키즘(anarchism)의 예술론의 경향과 대비, 비교해 볼만하다.
      둘째, 주체적인 언어[訓民正音學] 연구는, 한어(漢語)와 우리 고유어(=한글)가 배타적인 관계로 있던 조선시대에 큰 의미를 지니므로 ‘국학(國學)’의 태동과 전개라는 시야에서 새롭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하곡의 양명학은 좌파적 성향보다는 우파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렇다면 하곡의 양명학을 계승하는 강화 양명학파는 과연 어떤 정황을 보여주고 있는가 하는 점을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화양명학파의 사상적 특질, 특히 (양명의) ‘양지학(良知學)’에서 ‘허가(虛假)비판과 실심실학(實心實學)’으로라는 사상사적 계보가 중국, 일본 등지의 양명학파와 객관적으로 비교, 대비되어 그 의미와 위상 등이 충분히 밝혀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강화(江華) 양명학파(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힌 것이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강화도(江華島)’라는 지역을 거점으로 성립․전개한 학파 즉 강화학파(江華...

      이 글은 강화(江華) 양명학파(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힌 것이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강화도(江華島)’라는 지역을 거점으로 성립․전개한 학파 즉 강화학파(江華學派)를 ‘양명학’적 관점에서 조명, 지칭한 이른바 ‘강화 양명학파’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논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종래의 연구성과, 특히 유명종의 연구를 토대로 강화 양명학파의 학술, 문예적 업적을 <① 주체적인 사관 확립[良知史觀] - 사학, ② 주체적인 언어[訓民正音學/우리말] 연구 - 언어학, ③ 창의적 서화(書畵)의 개화 - 문예학, ④ 성령문학(性靈文學)의 전개 - 문학, ⑤ 실학(實學)과 제휴 - 실학>의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더욱 추진되어야 하며, 여기서 거론되지 않은 강화 양명학파의 여타의 학술, 문예적 특징들은 새롭게 밝혀져야 한다.
      앞으로 강화 양명학파를 연구함에 있어서 보다 주목되어야만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화학파의 ‘양지’ 발휘로서의 자유로운 인간 개성 중시, 문예 중시의 사조를 아나키즘(anarchism)의 예술론의 경향과 대비, 비교해 볼만하다.
      둘째, 주체적인 언어[訓民正音學] 연구는, 한어(漢語)와 우리 고유어(=한글)가 배타적인 관계로 있던 조선시대에 큰 의미를 지니므로 ‘국학(國學)’의 태동과 전개라는 시야에서 새롭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하곡의 양명학은 좌파적 성향보다는 우파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렇다면 하곡의 양명학을 계승하는 강화 양명학파는 과연 어떤 정황을 보여주고 있는가 하는 점을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화양명학파의 사상적 특질, 특히 (양명의) ‘양지학(良知學)’에서 ‘허가(虛假)비판과 실심실학(實心實學)’으로라는 사상사적 계보가 중국, 일본 등지의 양명학파와 객관적으로 비교, 대비되어 그 의미와 위상 등이 충분히 밝혀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목, "한국의 양명학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영남대학교철학과 21 : 1997

      2 유준기, "한국근대유교 개혁운동사" 서울: 도서출판 삼문 1994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전개(한국 현대 양명학의 위상)" 2004

      4 "하곡 정제두의 자연학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양명학회 6 : 2001

      5 "퇴계의 양명학관에 대하여 - 퇴계의 독자적 심학 형성 과정에 대한 일 시론" 서울: 퇴계학연구원 113 : 2003

      6 "초기 강화학파의 양명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1

      7 벤자민 슈워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개정판)" 서울: 살림 2004

      8 "전습록에 대하여(왕양명 철학연구)" 수원: 청계출판사 2001

      9 조동일, "인문학문의 사명"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0 민영규, "위당 정인보 선생의 행장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 실학 원시 -" 13 : 1972

      1 최재목, "한국의 양명학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영남대학교철학과 21 : 1997

      2 유준기, "한국근대유교 개혁운동사" 서울: 도서출판 삼문 1994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전개(한국 현대 양명학의 위상)" 2004

      4 "하곡 정제두의 자연학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양명학회 6 : 2001

      5 "퇴계의 양명학관에 대하여 - 퇴계의 독자적 심학 형성 과정에 대한 일 시론" 서울: 퇴계학연구원 113 : 2003

      6 "초기 강화학파의 양명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1

      7 벤자민 슈워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개정판)" 서울: 살림 2004

      8 "전습록에 대하여(왕양명 철학연구)" 수원: 청계출판사 2001

      9 조동일, "인문학문의 사명"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0 민영규, "위당 정인보 선생의 행장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 실학 원시 -" 13 : 1972

      11 윤사순, "우리 사상 100년" 서울: 현암사 2001

      12 "왕양명의 삶과 사상: 내 마음이 등불이다" 서울: 이학사 2002

      13 "왕양명과 양명학" 서울: 청계 2002

      14 최영성, "양명학의 전래와 발전韓國儒學思想史』Ⅲ"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5

      15 박연수, "양명학의 이해: 양명학과 한국양명학" 서울: 집문당 1999

      16 박홍규, "아나키즘 예술론(아나키․환경․공동체)" 서울: 모색 1996

      17 최재목, "동아시아의 양명학" 서울: 예문서원 1996

      18 "국내 상산학 양명학 연구 총목록" 한국양명학회 5 : 2001

      19 김세정, "국내 상산학 양명학 연구 목록(양명학: 인간과 자연의 한몸짜기)" 문경출판사 2001

      20 서경숙, "강화학파의 원류 - 사상의 현장을 찾아서(오늘의 동양사상)" 서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0

      21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4)" 수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22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3)" 수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3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2)" 수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1)" 수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5 "강화학의 虛假 批判論" 대동한문학회 14 : 2001

      26 민족문화연구소, "韓末 嶺南 儒學界에서 實學의 계승과 陽明學 수용의 문제(韓末 嶺南 儒學界의 동향)"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1998

      27 유명종, "韓國의 陽明學"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28 정제두, "霞谷全書" 서울: 여강출판사 1988

      29 "漢學 ― その書記․生成․權威(近世日本社會と儒敎)" 東京: ぺりかん社 2003

      30 유명종, "江華學派의 양명학 전통" 철학연구회 29 : 1980

      31 박준호, "江華學派의 文學世界에 대한 一考察" 대동한문학회 14 : 2001

      32 민영규, "江華學 최후의 광경" 서울: 도서출판 又半 1994

      33 빈무식, "朝鮮朝 陽明學에 있어서의 江華學派 형성에 關한 硏究" 인하대학교 1981

      34 "性理學과 陽明學"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94

      35 "心學派―江華學派(續儒學近百年)" 서울: 여강출판사 1989

      36 금장태, "心學(陽明學)의 역할과 강화학파의 성립(한국 종교사상사 - 유교․기독교 편)" 서울: 연세대출판부 1986

      37 諸橋轍次, "大漢和辭典권4" 東京: 大修館書店 1984

      38 "周易"

      39 왕수인, "傳習錄"

      40 정도전, "三峰集"

      41 심경호, "19세기 말 20세기초 강화학파의 지적 고뇌와 문학" 안암어문학회 41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