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1장 동다송(東茶頌)에 나타난 다도정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ado's Spirit Appearing in the Dongdasong(東茶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Dado's spririt of Dondasong. First of all, to analyse the Dado's sprit of Dongdasong is required for the understanding of world-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The Dongdasong's world-view is the cognition system on the society, nature, human being and world appearing in the Dongdasong. The Dongdasong's world-view is as follows. First, it is that it imbues Dado with special significance. Next, Dongdasong places emphasis on the interrelation of self and nature. Finally, Dongdasong regards tea(da) as the means for the self-examination and self-awareness. On this point, the contents of Dado's spirit appearing in Dongdasong is as followa. First, it indicates the spirit of nature-self oneness. Secondly, it is the spirit of external objects-self oneness. Finally, the Dado's spirit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absolute spirit. The absolute spirit is absence from the mind of wariness and distinction.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Dado's spririt of Dondasong. First of all, to analyse the Dado's sprit of Dongdasong is required for the understanding of world-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The Dongdasong's world-view is the cognition syste...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Dado's spririt of Dondasong. First of all, to analyse the Dado's sprit of Dongdasong is required for the understanding of world-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The Dongdasong's world-view is the cognition system on the society, nature, human being and world appearing in the Dongdasong. The Dongdasong's world-view is as follows. First, it is that it imbues Dado with special significance. Next, Dongdasong places emphasis on the interrelation of self and nature. Finally, Dongdasong regards tea(da) as the means for the self-examination and self-awareness. On this point, the contents of Dado's spirit appearing in Dongdasong is as followa. First, it indicates the spirit of nature-self oneness. Secondly, it is the spirit of external objects-self oneness. Finally, the Dado's spirit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absolute spirit. The absolute spirit is absence from the mind of wariness and distin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다서(茶書)인 ‘동다송’(東茶頌)의 다도정신을 규명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동다송의 다도정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동다송에 나타난 세계관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동다송의 세계관은 동다송에 나타난 사회, 자연, 인간, 세계 등에 대한 인식체계를 말한다. 동다송의 세계관은 우선 다도를 단순히 행위작용으로만 보지 않고 다도에 분명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동다송은 나와 자연은 상호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은 차를 단순한 기호품으로 보지 않고 자기성찰과 자각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기초로 하여 동다송의 다도정신의 내용을 설명하면 첫째, 자연합일의 정신을 지적할 수 있다. 자연합일의 정신은 자연과 다도와 나를 동일선상에 놓고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도는 나와 자연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물아일체의 정신을 지적할 수 있다. 객관적인 존재인 나와 나 앞에 놓여 있는 객관적 존재의 일체인 대상 간의 합일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의 다도정신은 절대자유의 정신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절대자유의 정신은 경계심과 분별심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다서(茶書)인 ‘동다송’(東茶頌)의 다도정신을 규명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동다송의 다도정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동다송에 나타난 세계관에 대한...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다서(茶書)인 ‘동다송’(東茶頌)의 다도정신을 규명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동다송의 다도정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동다송에 나타난 세계관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동다송의 세계관은 동다송에 나타난 사회, 자연, 인간, 세계 등에 대한 인식체계를 말한다. 동다송의 세계관은 우선 다도를 단순히 행위작용으로만 보지 않고 다도에 분명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동다송은 나와 자연은 상호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은 차를 단순한 기호품으로 보지 않고 자기성찰과 자각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기초로 하여 동다송의 다도정신의 내용을 설명하면 첫째, 자연합일의 정신을 지적할 수 있다. 자연합일의 정신은 자연과 다도와 나를 동일선상에 놓고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도는 나와 자연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물아일체의 정신을 지적할 수 있다. 객관적인 존재인 나와 나 앞에 놓여 있는 객관적 존재의 일체인 대상 간의 합일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의 다도정신은 절대자유의 정신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절대자유의 정신은 경계심과 분별심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창구, "한국의 선비정신과 정의사회의 구현 -정치인과 정치교수의 행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131-156, 2012

      2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3 막스 뮐러, "철학소사전" 以文出版社 1996

      4 정경환, "주체(1)"

      5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25-166, 2009

      6 정천구, "제2장 불교와 한국의 국가"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47-86, 2009

      7 趙芝薰, "멋의 연구 : 한국적 미의식의 구조를 위하여, In 趙芝薰 전집 8 : 한국학 연구" 나남출판 1996

      8 김진윤, "韓國思想의 源流와 그 正體性"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41-64, 2012

      9 尹炳相, "茶道古典 : 茶神傳/東茶頌/茶經"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10 초의, "東茶頌"

      1 변창구, "한국의 선비정신과 정의사회의 구현 -정치인과 정치교수의 행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131-156, 2012

      2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3 막스 뮐러, "철학소사전" 以文出版社 1996

      4 정경환, "주체(1)"

      5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25-166, 2009

      6 정천구, "제2장 불교와 한국의 국가"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47-86, 2009

      7 趙芝薰, "멋의 연구 : 한국적 미의식의 구조를 위하여, In 趙芝薰 전집 8 : 한국학 연구" 나남출판 1996

      8 김진윤, "韓國思想의 源流와 그 正體性"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41-64, 2012

      9 尹炳相, "茶道古典 : 茶神傳/東茶頌/茶經"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10 초의, "東茶頌"

      11 高裕燮, "朝鮮 美術文化의 몇낱 性格, In 高裕燮全集2 : 韓國美術文化史論叢" 東方文化社 1993

      12 元曉, "大乘起信論疎․別記, In 韓國의 佛敎思想" 三省出版社 1983

      13 申一撤, "主體性 - 哲學思想의 主體性問題, In 二十世紀의 韓國" 博友社 1963

      14 李在峰, "中國哲學에 있어서의 天人合一論에 관한 연구 : 先秦 宋明儒家를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1

      15 釋明正, "『茶』이야기, 禪이야기" 대원정사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