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 초,중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미디어교육 실천방안 연구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강사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media education practice plan through after-school program in Loc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1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tual condition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 practical experience. Media education lecturers are dispatched for after-school media education program which operate in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Through their experience we can search actual condition and the fact that suggest to improvement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like these; First, media education lecturer must learning teaching skills as well as knowledge about media. There are so many variable in schooling, especially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So, lecturer make provision for their class. Second, materials archive is necessary to efficient media education because good materials serve good teaching. Third, the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must construct to reflect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and living environment. Fourth, actually, the support and concern of school authorities is very important resources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Fifth, for successful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media education program must combine with regular curriculum in official school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tual condition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 practical experience. Media education lecturers are dispatched for after-school media education program which operate in pri...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tual condition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 practical experience. Media education lecturers are dispatched for after-school media education program which operate in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Through their experience we can search actual condition and the fact that suggest to improvement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like these; First, media education lecturer must learning teaching skills as well as knowledge about media. There are so many variable in schooling, especially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So, lecturer make provision for their class. Second, materials archive is necessary to efficient media education because good materials serve good teaching. Third, the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must construct to reflect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and living environment. Fourth, actually, the support and concern of school authorities is very important resources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Fifth, for successful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media education program must combine with regular curriculum in official schoo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 "한국의 미디어교육: 미디어교육 실태 및 전문가의식 조사" 한국언론재단 2003

      2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3 김영순, "한국의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4 김기태, "한국 학교 미디어교육의 실태 및 특성,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5 정현선,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6 김은규,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 내 미디어교육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실태에 따른 학년별, 성별 차이 분석 -" 한국출판학회 34 (34): 93-127,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이정춘,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37 (37): 43-72, 2007

      9 이정춘, "미디어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중앙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06

      10 문혜성, "미디어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미디어 선용능력" 14 (14): 47-79, 2000

      1 정민, "한국의 미디어교육: 미디어교육 실태 및 전문가의식 조사" 한국언론재단 2003

      2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3 김영순, "한국의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4 김기태, "한국 학교 미디어교육의 실태 및 특성,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5 정현선,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6 김은규,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 내 미디어교육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실태에 따른 학년별, 성별 차이 분석 -" 한국출판학회 34 (34): 93-127,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이정춘,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37 (37): 43-72, 2007

      9 이정춘, "미디어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중앙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06

      10 문혜성, "미디어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미디어 선용능력" 14 (14): 47-79, 2000

      11 원용진, "미디어교육의 이념과 현실정책,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12 김양은, "미디어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13 김은규, "미디어교육에 대한 도시와 농촌 간의 실태 차이 비교 연구-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5 (35): 37-71, 2009

      14 이정춘, "미디어교육론" 집문당 2004

      15 김기태, "미디어교육과 교육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6 김양은, "미디어교육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In 미디어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7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18 문혜성, "미디어 교수법"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6

      19 강정훈, "깨미동의 미디어교육 사례" 2005

      20 옥성일, "깨미동 미디어교육 실천 사례"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