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배후에 감춰진 후진적이 고 비민주주의적인 문화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인의 일상적인 생활, 특히 의사소통과 공동체 생활 그리고 사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41707
2013
Korean
신체중심주의 ; 의사소통 ; 즉물성 ; 직접성 ; 한국적 일상 ; 합리성 ; communication ; immediacy ; immediate materialism ; Korean daily routine life ; rationality ; self-physical-lust centrism
KCI등재
학술저널
71-101(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배후에 감춰진 후진적이 고 비민주주의적인 문화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인의 일상적인 생활, 특히 의사소통과 공동체 생활 그리고 사태...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배후에 감춰진 후진적이 고 비민주주의적인 문화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인의 일상적인 생활, 특히 의사소통과 공동체 생활 그리고 사태인식에서 나타나는 즉물(卽物)적인 성향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성향이 한국사회에 급작스럽게 출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사유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 글은 밝힌다.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부조리한 행태는 합리성과 객관성을 결여한 자기 신체이익 중심주의와 비매 개적인 감각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서양의 플라톤 이후 로고스 중심의 합리적이고 매개적인 사유와 대조를 이룬다. 한국사회가 세계의 중심문화와 호흡을 같이하기 위해서는 그간의 물질적 성장에 비해 턱없이 뒤쳐져 있는 문화의식을 제 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일상의 한국인이 사태와 관계 하는 데에서 즉물적인 태도를 지양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 less advanced and less democratic cultural behaviors, veiled behind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s pointing out their tendency of the immediate materialism, a kind of Philistinism appeared within...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 less advanced and less democratic cultural behaviors, veiled behind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s pointing out their tendency of the immediate materialism, a kind of Philistinism appeared within their daily routine life, in particular throughout their communication, community life and their factual awareness. The study argues that this tendency is not the one that emerged by sudden, but is rooted from the traditional thinking. Those irrational behaviors rampant throughout the Koreans` life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selfphysical- lust centrism lack of rationality and objectivity and the nonparametric sensationalism and this is contrasted with the rational parametric thinking of Western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logos’ since Plato. For upgrading Korean cultural and spiritual foundation, Koreans are needed to improve the cultural awareness far left behind the material expansion so far, and for this, as the initial and primary step, Koreans ought to reject their deep rooted immediate materialism in the way of relation toward the outer and inner world events emerging from their daily routine life.
참고문헌 (Reference)
1 구 해근, "한국의 중산층을 다시 생각한다" (봄) : 403-421, 2012
2 "한겨레 김 보협 기자의 인터넷 자료"
3 메를로-퐁티, 모리스,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4 유헌식, "자기 몸에 따르는 말들 - 대화와 토론 실패의 원인 -" 대한철학회 83 : 19-54, 2002
5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국일출판사 1998
6 카뮈, 알베르, "이방인" 동화출판사 1970
7 이승환, "유가적 몸과 소속된 삶" (여름) : 20-35, 1999
8 "엉덩이 만진 게 文化차이? 윤 창중 변명에 국민 분노"
9 서산대사, "선가귀감(禪家龜鑑)" 법통사 1964
10 유헌식, "동시다발적 인간의 출현" (가을) : 133-148, 2008
1 구 해근, "한국의 중산층을 다시 생각한다" (봄) : 403-421, 2012
2 "한겨레 김 보협 기자의 인터넷 자료"
3 메를로-퐁티, 모리스,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4 유헌식, "자기 몸에 따르는 말들 - 대화와 토론 실패의 원인 -" 대한철학회 83 : 19-54, 2002
5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국일출판사 1998
6 카뮈, 알베르, "이방인" 동화출판사 1970
7 이승환, "유가적 몸과 소속된 삶" (여름) : 20-35, 1999
8 "엉덩이 만진 게 文化차이? 윤 창중 변명에 국민 분노"
9 서산대사, "선가귀감(禪家龜鑑)" 법통사 1964
10 유헌식, "동시다발적 인간의 출현" (가을) : 133-148, 2008
11 콜버그, 로렌스,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0
12 노자, "도덕경(道德經)" 을유문화사 1974
13 김영현, "대장금 오리지널 시나리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4 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15 공자, "논어(論語)" 육문사 1996
16 "기천문 본문, In 氣天" 초록배 매직스 2000
17 김구, "白凡逸志" 서문당 1979
18 최상진, "We-ness: A Korean discourse of collectivism, In Psychology of the Korean people: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Dong-A Publishing & Printing Co., Ltd 57-84, 1994
19 Habermas, Jürgen,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 1" Suhrkamp 1987
20 Hegel, Wilhelm Friedrich, "Phänomenologie des Geistes" Suhrkamp 1986
21 Cassirer, Ernst, "Philosophie der symbolischen Formen 1, In Die Sprache" Wissenschftliche Buchhandlung Darmstadt 1973
22 Mead, George Hebert, "Mead, George Heber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23 Jon Huer, "Is Korea at Margin of World Culture?"
24 Perice, Charles Sanders, "Collected Papers, Vol. I, In Principles of Philosophy" The Belknap Press of Havard University Press 1960
<박충구, “삶의 이론으로서 신학의 새 과제: 비신정정치화”>의 토론문
<유 헌식, “한국적 일상의 즉물성에 대하여”>의 토론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82 | 1.401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