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국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대한 법·제도적 고찰 - 학습, 고용, 생활세계의 연계체계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modes of regul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0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국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은 1980년대부터 제도화된 이래 90년대 중반이후 본격화되며, 집권 정당에 따라 정책의 초점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즉, 보수당 정부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

      영국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은 1980년대부터 제도화된 이래 90년대 중반이후 본격화되며, 집권 정당에 따라 정책의 초점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즉, 보수당 정부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주도의 정책을 우선시한 반면, 1997년 노동당의 집권 이후에는 경제 성장과 사회통합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상대적으로 파트너십과 네트워킹이 정책적으로 강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평생학습 체제의 구축 과정을 정책이 수립되는 상황적 맥락 속에서 법, 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법, 제도 고찰을 위한 비교 분석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역사상 처음으로 노동당이 재집권하는 데 기여한 평생학습정책을 크게 5가지 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국가 수준의 평생학습 체계의 구축, 연계를 위한 프로토콜의 개발, 직업 및 자격과 연관된 계속교육의 확대, 평생학습을 위한 기초학습능력의 강조, 평생학습 파트너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추진축 설립이 어떻게 연관되고 평생학습 체제의 구축으로 발전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has evolved in the UK since the 1970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learning framework and driving mechanism on the basis of analysing policies and the modes of regulation of li...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has evolved in the UK since the 1970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learning framework and driving mechanism on the basis of analysing policies and the modes of regulation of lifelong learning.
      In this regard, the network model of lifelong learning is compared with four different international models,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UK. The analysis of the UK system is focused on a qualifications framework, the expansion of further education, and the Learning and Skills Council(LSC). In addition, the Third Way of the Labour government is discussed in relation to lifelong learning policies.
      More important,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five key factors in building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UK. The five factors are the lifelong learning framework at the national level, protocol for networking, expansion of further education in relation to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s,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lifelong learning, and launch of driving force for networking between learning partners.
      Finally, the paper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coordination and the partnership between stake-holders in developing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영국 평생학습 정책의 유형적 분석
      • Ⅲ. 평생학습체제 구축의 전개와 현황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영국 평생학습 정책의 유형적 분석
      • Ⅲ. 평생학습체제 구축의 전개와 현황
      • Ⅳ.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영국 대학의 과제: 디어링(Dearing)의 참여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육학회 5 (5): 141-159, 1999

      2 "미국과 영국의 대학계속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제 30집 : 339-355, 2000

      3 "교육구좌제 도입 방안 연구" 서울: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1997

      4 "고령자를 위한 기업교육훈련 사례: 일본, 영국, 고령사회와 인적자원개발" 12 : 2005

      5 "개방형 고등교육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6 "from policies to practice" 1982

      7 "Thematic review of the transition from initial education to working life" Paris: OECD 1999

      8 "The three stages of lifelong learning: romance, evidence and implementation" Bristol: The Policy Press 2 : 2000

      9 "Th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adults of recent government policies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United Kingdom" 1997

      10 "Lifelong learning: a brave and proper vision" The Falmer Press tion : 1995

      1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영국 대학의 과제: 디어링(Dearing)의 참여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육학회 5 (5): 141-159, 1999

      2 "미국과 영국의 대학계속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제 30집 : 339-355, 2000

      3 "교육구좌제 도입 방안 연구" 서울: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1997

      4 "고령자를 위한 기업교육훈련 사례: 일본, 영국, 고령사회와 인적자원개발" 12 : 2005

      5 "개방형 고등교육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6 "from policies to practice" 1982

      7 "Thematic review of the transition from initial education to working life" Paris: OECD 1999

      8 "The three stages of lifelong learning: romance, evidence and implementation" Bristol: The Policy Press 2 : 2000

      9 "Th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adults of recent government policies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United Kingdom" 1997

      10 "Lifelong learning: a brave and proper vision" The Falmer Press tion : 1995

      11 "Lifelong learning for all" OECD: Paris 1996

      12 "Lifelong learning and the learning society: different european models of organization" London: Kogan Page 2000

      13 "Learning to succeed: a new framework for post-16 learning" London: DfEE 1999

      14 "Further education" London: Routledge 2002

      15 "Credit level descriptors for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2003

      16 "Changing skills form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 South Korea" 2003

      17 "Changing notions of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48 : 93-110, 2002

      18 "Breaking the consensus: lifelong learning as social capital" 25 (25): 1999

      19 "Beyond A Levels: curriculum 2000 and the reform of 14-19 qualifications" London: Kogan Page 2003

      20 "Are skills the answer?: The political economy of skill creation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1 "'From the 1991 White Paper to the Dearing Report: a conceptual and historical framework for the 1990s" London: Kogan Page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