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ffecting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9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and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ffected that a teacher implemented new curriculum in yearly order. A elementary teacher Kim participated this case study and implemented curriculum...

      This study was planned and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ffected that a teacher implemented new curriculum in yearly order. A elementary teacher Kim participated this case study and implemented curriculum innovation for two years from 2004 to 2005. The curriculum innovation that was implemented by Kim was “elementary math curriculum innovation enhancing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implementation year, Kim did not implement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Because she still relied on traditional teach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implemented the curriculum with the mind of uncertainty on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But in the second year Kim let the students solve the problems actively and implemented the intention of new curriculum. Because Kim deepened h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study gives u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ly, although teacher implemented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curriculum understanding should be administered prior to student understanding. Secondly, teachers' curriculum understand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even if the clarity and practicality of curriculum are secured. Thirdly, teacher deepen his(h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by experienc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사례를 통해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이라는 ...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사례를 통해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한 김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김 교사가 처음 교육과정을 실행했을 때와 해를 거듭하여 다시 한 번 교육과정을 실행했을 때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김 교사는 교육과정을 처음 실행할 때 보다는 실행이 거듭되었을 때 새로운 교육과정의 의도를 더 많이 반영하여 실행했다. 여기에는 김 교사가 처음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에는 교육과정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지 못했지만, 실행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간 점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실행에서 학습자에 대한 이해보다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의 진보적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육과정이 명료하고 실천 가능하게 계획된 경우라도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교사는 실행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해서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2000

      2 "초등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19 (19): 69-99, 2006

      3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4학년 “소수” 관련 단원 -" 교육과학사 2005

      4 "제7차 교육과정 운영과 교원의 능력 개발" 11 (11): 97-113, 2001

      5 "사회과 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연수 특징 분석: 교사연수의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18 (18): 411-430, 2005

      6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7 "교육과정의 운영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3-226, 2002

      8 "교육과정 탐구 주제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41 (41): 75-92, 2003

      9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24 (24): 87-109, 2006

      10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 (20): 229-252, 2002

      1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2000

      2 "초등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19 (19): 69-99, 2006

      3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4학년 “소수” 관련 단원 -" 교육과학사 2005

      4 "제7차 교육과정 운영과 교원의 능력 개발" 11 (11): 97-113, 2001

      5 "사회과 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연수 특징 분석: 교사연수의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18 (18): 411-430, 2005

      6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7 "교육과정의 운영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3-226, 2002

      8 "교육과정 탐구 주제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41 (41): 75-92, 2003

      9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24 (24): 87-109, 2006

      10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 (20): 229-252, 2002

      11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4-14, 1986

      12 "Understanding by design (2nd ed.)." ASCD 2005

      13 "The teaching gap" The Free Press 1999

      14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3r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5 "The lives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Press 1993

      16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교사는 지성인이다" 2001

      17 "Teacher as mediator of school reform: An examination of teacher practice in 36 California restructuring schools" 104 (104): 301-324, 2002

      18 "Successful school change: Creating setting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4

      19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Sage 2002

      20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Jossey-Bass 2005

      21 "Overcoming the paradox of change without difference: A model of change in the arena of fundamental school reform" 16 (16): 763-782, 2002

      22 "Learning policy: When state education reform Works" Yale University Press 2001

      23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k (k): 1999

      24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Allyn & Bacon 2001

      25 "Factors Facilitating Mathematics Reform Efforts: Listening to the Teachers' Perspectives" 25 (25): 78-90, 2003

      26 "Extending educational reform: from one school to many" RoutledgeFalmer dat (dat): 2002

      27 "Educational reform, personal practical theories, and disaffection: The anatomy of change in college science teaching" 40 (40): 731-767, 2003

      28 "Developing the curriculum: solo and group deliberation" Longman Publishers USA 1995

      29 "Developing the curriculum" Longman 2001

      30 "Curriculum: The teacher's initiative (3rd ed.)" Pearson Education Merrill Prentice Hall 2003

      31 "Curriculum improvement: Decision making and process (3rd ed.)" Allyn and Bacon 1996

      32 "Comprehensive school reform: Five lessons from the field" Author 2000

      33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인지와 교육과정" Teachers College Press 교육과학사 2003

      3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Sage Publications 2003

      35 "A fifth-grade teacher' re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literacy teaching: Exploring interaction among identity, learning, and subject matter" 100 (100): 307-330,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