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비판적 재구성 계급 무급 돌봄 : 가사 노동에 대한 보상 및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 The Critique and Transformation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Class, Compensation for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and Basic Inc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51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tudie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This problematic provides a perspective with which to research women’s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its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capitalist society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class, gender, race, and ecology, all in an integrated and non-reductive manner.
      This article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part of a more systematic program First, it reconstructs the research method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political economy. Second, it critically transforms some of the claim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It emphasizes the ‘precariat’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changed class dynamic of modern capitalism. It also highlights basic income to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and to promote alternative social reproduct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studie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This problematic provides a perspective with which to research women’s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its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he mu...

      This article studie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This problematic provides a perspective with which to research women’s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its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capitalist society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class, gender, race, and ecology, all in an integrated and non-reductive manner.
      This article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part of a more systematic program First, it reconstructs the research method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political economy. Second, it critically transforms some of the claim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It emphasizes the ‘precariat’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changed class dynamic of modern capitalism. It also highlights basic income to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and to promote alternative social re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이 사조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기초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사회경제, 계급, 젠더, 인종, 생태 등 자본주의 사회의 다층적 차원과의 체계적인 연관 아래 통합적이면서도 비환원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망과 단서를 제공함을 보인다. 또한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이러한 의의에 연계하여,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를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연구결과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보다 근본적·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둘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내·외부에서 제기되는 이견이나 쟁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주장들 일부를 비판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하는 쟁점은 계급 문제, 무급 돌봄·가사노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 문제 및 사회적 재생산의 대안적 전망의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이 사조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기초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이 사조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기초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사회경제, 계급, 젠더, 인종, 생태 등 자본주의 사회의 다층적 차원과의 체계적인 연관 아래 통합적이면서도 비환원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망과 단서를 제공함을 보인다. 또한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이러한 의의에 연계하여,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를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연구결과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보다 근본적·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둘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내·외부에서 제기되는 이견이나 쟁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주장들 일부를 비판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하는 쟁점은 계급 문제, 무급 돌봄·가사노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 문제 및 사회적 재생산의 대안적 전망의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노완,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프레카리아트와 기본소득의 확대: 플랫폼 자본의 인클로저 vs. 플랫폼 공유지배당" 사회과학연구원 17 (17): 98-119, 2020

      2 곽노완, "착취 및 수탈의 시공간과 기본소득 -맑스의 착취 및 수탈 개념의 재구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149-180, 2010

      3 권정임 ; 곽노완, "실질적 민주주의와 주권자 정치·언론 배당" 인문사회 21 11 (11): 1763-1778, 2020

      4 권정임, "생태적 재생산이론의 전망과 과제: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57-91, 2009

      5 홈스트롬, 낸시, "사회주의 페미니즘" 도서출판 따비 2012

      6 윤자영, "사회재생산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여성주의 정치경제학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연구원 9 (9): 184-211, 2012

      7 권정임, "분배정의와 기본소득" 진인진 2020

      8 폴브레, 낸시, "보이지 않는 가슴: 돌봄 경제학" 또하나의문화 2007

      9 심광현, "마르크스 사상의 역사지리적 생태과학으로의 확장과 사회주의 페미니즘과의 만남: '적-녹-보라 연대'의 약도 그리기" 사회과학연구원 10 (10): 79-123, 2013

      10 곽노완, "리얼 유토피아와 기본소득 - 라이트의 리얼 유토피아 기획의 재구성 -" 대한철학회 143 : 1-26, 2017

      1 곽노완,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프레카리아트와 기본소득의 확대: 플랫폼 자본의 인클로저 vs. 플랫폼 공유지배당" 사회과학연구원 17 (17): 98-119, 2020

      2 곽노완, "착취 및 수탈의 시공간과 기본소득 -맑스의 착취 및 수탈 개념의 재구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149-180, 2010

      3 권정임 ; 곽노완, "실질적 민주주의와 주권자 정치·언론 배당" 인문사회 21 11 (11): 1763-1778, 2020

      4 권정임, "생태적 재생산이론의 전망과 과제: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57-91, 2009

      5 홈스트롬, 낸시, "사회주의 페미니즘" 도서출판 따비 2012

      6 윤자영, "사회재생산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여성주의 정치경제학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연구원 9 (9): 184-211, 2012

      7 권정임, "분배정의와 기본소득" 진인진 2020

      8 폴브레, 낸시, "보이지 않는 가슴: 돌봄 경제학" 또하나의문화 2007

      9 심광현, "마르크스 사상의 역사지리적 생태과학으로의 확장과 사회주의 페미니즘과의 만남: '적-녹-보라 연대'의 약도 그리기" 사회과학연구원 10 (10): 79-123, 2013

      10 곽노완, "리얼 유토피아와 기본소득 - 라이트의 리얼 유토피아 기획의 재구성 -" 대한철학회 143 : 1-26, 2017

      11 윤자영, "돌봄불이익과 기본소득"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31-55, 2018

      12 윤자영, "돌봄노동과 기본소득 모형" 한국여성연구원 33 (33): 3-29, 2016

      13 권정임, "기본소득과 젠더 정의: 젠더 정의를 위한 사회재생산모형" 사회과학연구원 10 (10): 104-141, 2013

      14 권정임, "과학과 현실-바슐라르, 그람시 및 알뛰세르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261-299, 2008

      15 티디 바타차르야, "계급을 지나치지 않는 방법: 노동의 사회적 재생산과 세계 노동계급" 사회과학연구원 16 (16): 12-46, 2019

      16 엥겔스, 프리드리히,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책세상 2019

      17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책세상 2019

      18 정성진, "가사노동 논쟁의 재발견: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페미니즘의 결합 발전을 위하여" 사회과학연구원 10 (10): 12-48, 2013

      19 권정임,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이중체계론과 바레트의 여성억압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19 (19): 34-64, 2022

      20 월비, 실비아, "가부장제 이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0

      21 Marx, K, "Werke[MEW ]"

      22 Katz, C, "Vagabond Capitalism and the Necessity of Social Reproduction" 33 (33): 709-728, 2002

      23 Vogel, L., "Toward a Unitary Theory" Brill 2013

      24 Hartmann, H., "The Unhappy Marriage of Marxism and Feminism"

      25 Firestone, S, "The Dialectic of Sex" The Women’s Press 1979

      26 Picchio, A, "Social Reproduc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Labour Mark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7 Luxton, M, "Social Reproduction. Feminist Political Economy Challenges Neo-Liberalism"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6

      28 Bakker, I, "Social Reproduction and the Constitution of a Gendered Political Economy" 12 (12): 541-556, 2007

      29 Bhattacharya, T, "Social Reproduction Theory" Pluto Press 2017

      30 Vogel, L, "Social Reproduction Theory" Pluto Press 2017

      31 Fraser, N, "Social Reproduction Theory" Pluto Press 2016

      32 Millet, K., "Sexual Politics" Sphere 1971

      33 Bakker, I., "Power, Production and Social Reproduction" Palgrave Macmillan 3-16, 2003

      34 Bakker, I., "Power, Production and Social Reproduction" Palgrave Macmillan 2003

      35 Vogel, L., "Marxism and the Oppression of Women. Toward a Unitary Theory" Brill 2013

      36 Ferguson, S., "Marxism and the Oppression of Women" Brill 2013

      37 Van Parijs, Ph, "Green Light on Europe" Heretic Books Ltd 1991

      38 Brenner, J., "Gender, Social Reproduction, and Women’s Self-Organization: Considering the U.S. welfare State" 5 (5): 311-333, 1991

      39 Laslett, B., "Gender and Social Reproduction : Historical Perspective" 15 : 381-404, 1989

      40 Arruzza, C, "Functionalist, Determinist, Reductionist :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and it’s Critics" 80 (80): 9-30, 2016

      41 Marx, K, "Die Deutsche Ideologie; Artikel, Druckvorlagen, Entwürfe, Reinshcriftenfragmente und Notizen zu ‘I. Feuerbach und II. Sankt bruno.’" 2004

      42 Delphy, C, "Close to Home: a materialist analysis of women’s oppression" Hutchinson 1984

      43 Fraser, N., "Capitalism : A Conversation in Critical Theory" Polity 2018

      44 Ferguson, S, "Building on the Strengths of the Socialist feminist Tradition" 25 (25): 1-15, 1999

      45 Armstrong, P., "Beyond Sexless Class and Classless Sex : towards Feminist Marxism" 10 (10): 7-43, 1983

      46 Lebowitz, M, "Beyond Capital: Marx’s Political Economy of the Working Class" Palgrave McMillan 2003

      47 Folbre, N., "An Intersectional Political Economy" Verso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