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a Narrative Inquiry Trends in the Field of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1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narrative inquires in the field of disability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provide researchers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tudies, such as published years, study types, and journals were examin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study topics, participants, data-collecting methods, and the research procedures. The studies were divided into four time periods; the first period (from 2009 to 2012), the second period (from 2013 to 2015), the third period (from 2016 to 2018), and the fourth period (from 2019 to 2021) in order to see the periodical trends in the research fiel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ourth period yielding 42 studies (47.7%) peaking in 2021 with 17 studies. The topics of studies are various such as the lives and caring in 31 studies taking up 35.2% of the field, the experiences of treatment and intervention in 17 studies taking up 19.3%, careers and adjustment at work in 15 studies taking up 17.0%,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12 studies taking up 13.6%, integrated education in 9 studies taking up 10.2%, violence in 3 studies taking up 3.4%, and other in a study taking up 1.1% of the research field. The study participants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8 studies, teachers in 27 studies, and parents in 21 studi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mostly from one to three as appeared in 59 studies taking up 67.0%.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mostly from one to three as appeared in 59 studies taking up 67.0%. The most common data collection type was to use both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data as shown in 37 studies taking up 42.0%. The most frequent number of interviews conducted in the studies is from one to three as shown in 26 studies which consist of 29.5% of the whole studies. 28 studies (31.8%) spend from one to two hours on interviews which was the most frequent time duration. 69 studies which take up 78.4% used Clandinin and Connelly’s process for the narrative inqui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narrative inquiries in the disability research fiel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narrative inquires in the field of disability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provide researchers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narrative inquires in the field of disability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provide researchers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tudies, such as published years, study types, and journals were examin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study topics, participants, data-collecting methods, and the research procedures. The studies were divided into four time periods; the first period (from 2009 to 2012), the second period (from 2013 to 2015), the third period (from 2016 to 2018), and the fourth period (from 2019 to 2021) in order to see the periodical trends in the research fiel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ourth period yielding 42 studies (47.7%) peaking in 2021 with 17 studies. The topics of studies are various such as the lives and caring in 31 studies taking up 35.2% of the field, the experiences of treatment and intervention in 17 studies taking up 19.3%, careers and adjustment at work in 15 studies taking up 17.0%,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12 studies taking up 13.6%, integrated education in 9 studies taking up 10.2%, violence in 3 studies taking up 3.4%, and other in a study taking up 1.1% of the research field. The study participants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8 studies, teachers in 27 studies, and parents in 21 studi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mostly from one to three as appeared in 59 studies taking up 67.0%.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mostly from one to three as appeared in 59 studies taking up 67.0%. The most common data collection type was to use both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data as shown in 37 studies taking up 42.0%. The most frequent number of interviews conducted in the studies is from one to three as shown in 26 studies which consist of 29.5% of the whole studies. 28 studies (31.8%) spend from one to two hours on interviews which was the most frequent time duration. 69 studies which take up 78.4% used Clandinin and Connelly’s process for the narrative inqui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narrative inquiries in the disability research fiel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의 경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이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9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발표된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총 8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시기 및 유형, 출처에 따른 기초 현황을 살펴본 후 5가지 영역(연구주제, 연구 참여자, 자료수집, 연구절차, 연구주제와 방법)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시기별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 1기(2009년∼2012년), 2기(2013년∼2015년), 3기(2016년∼2018년), 4기(2019년∼2021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는 2021년에 가장 많은 17편이 발표되었다. 시기별로는 4기에 42편(47.7%)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는 삶과 돌봄이 31편(35.2%)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 및 중재 경험이 17편(19.3%), 직업이 15편(17.0%), 교육과정 및 교수가 12편(13.6%), 통합교육 9편(10.2%), 폭력 3편(3.4%), 기타 1편(1.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당사자(28편), 교사(27편), 부모(21편)가 주를 이루었으며 참여자 수는 1명∼3명이 59편(67.0%)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료수집 형태는 개별인터뷰와 현장 자료를 같이 사용한 연구가 37편(42.0%)으로 가장 많았다. 인터뷰는 1회∼3회를 진행한 연구가 26편(29.5%)으로 가장 많았다. 인터뷰 시간은 1시간∼2시간이 28편(31.8%)으로 가장 많았고 이 연구의 대상인 88편의 논문 중 69편(78.4%)이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한계에 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의 경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이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의 경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이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9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발표된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총 8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시기 및 유형, 출처에 따른 기초 현황을 살펴본 후 5가지 영역(연구주제, 연구 참여자, 자료수집, 연구절차, 연구주제와 방법)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시기별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 1기(2009년∼2012년), 2기(2013년∼2015년), 3기(2016년∼2018년), 4기(2019년∼2021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는 2021년에 가장 많은 17편이 발표되었다. 시기별로는 4기에 42편(47.7%)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는 삶과 돌봄이 31편(35.2%)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 및 중재 경험이 17편(19.3%), 직업이 15편(17.0%), 교육과정 및 교수가 12편(13.6%), 통합교육 9편(10.2%), 폭력 3편(3.4%), 기타 1편(1.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당사자(28편), 교사(27편), 부모(21편)가 주를 이루었으며 참여자 수는 1명∼3명이 59편(67.0%)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료수집 형태는 개별인터뷰와 현장 자료를 같이 사용한 연구가 37편(42.0%)으로 가장 많았다. 인터뷰는 1회∼3회를 진행한 연구가 26편(29.5%)으로 가장 많았다. 인터뷰 시간은 1시간∼2시간이 28편(31.8%)으로 가장 많았고 이 연구의 대상인 88편의 논문 중 69편(78.4%)이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한계에 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웅, "한국특수교육에서의 생애사 연구 동향분석 -2000∼2017년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35 (35): 67-93, 2019

      2 민진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19-1038, 2020

      3 최성규 ; 장효민 ; 김혜진,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159-185, 2017

      4 신서영 ; 박창언, "특수학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신고사건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7 (7): 35-54, 2019

      5 서유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35-164, 2020

      6 이은주, "특수교사의 발달장애학생 행동문제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283-307, 2021

      7 강유진,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비정 ; 홍재영,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85-116, 2020

      9 황순영 ; 이은화 ; 김혜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간의 관계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73-199, 2013

      10 지종민,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81-205, 2010

      1 김남웅, "한국특수교육에서의 생애사 연구 동향분석 -2000∼2017년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35 (35): 67-93, 2019

      2 민진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19-1038, 2020

      3 최성규 ; 장효민 ; 김혜진,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159-185, 2017

      4 신서영 ; 박창언, "특수학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신고사건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7 (7): 35-54, 2019

      5 서유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35-164, 2020

      6 이은주, "특수교사의 발달장애학생 행동문제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283-307, 2021

      7 강유진,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비정 ; 홍재영,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85-116, 2020

      9 황순영 ; 이은화 ; 김혜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간의 관계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73-199, 2013

      10 지종민,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81-205, 2010

      11 윤지원,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 선택과 효율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15-133, 2015

      12 홍예리 ; 김세훈, "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경험에 대한 연구 - 자기관리역량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7 (7): 143-164, 2016

      13 노정환 ; 구자영, "청각장애 태권도 선수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3 (23): 54-63, 2021

      14 유민아 ; 신성순, "청각장애 중년여성의 사진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481-522, 2020

      15 임상훈 ; 이용호 ; 조가람, "척수장애 운동선수의 휠체어 럭비팀 입문 및 적응과정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1-17, 2019

      16 민솔희 ; 박종균, "척수장애 운동선수의 장애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51-167, 2016

      17 최명옥 ; 최선남, "척수장애 남성의 미술치료 활동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1111-1131, 2015

      1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교육과학사 2013

      19 강주희, "지적장애인 직업재활사의 직무역할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26 (26): 57-72, 2013

      20 함미애,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임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21 이해란 ; 박창언 ; 양진숙,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차별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1 (21): 1-19, 2020

      22 이지선, "지적장애 특수학교 음악교사의 수업 딜레마 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23 강선경 ; 이정기, "지역사회 거주 중도장애인의 종교생활 참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99-121, 2015

      24 장유진 ; 윤현수 ; 정주혁, "중복장애 남중생의 통합 체육수업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3 (23): 77-94, 2019

      25 권진숙 ; 박시현, "중도시각장애인 부인의 위기 직면 및 극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33 (33): 242-257, 2019

      26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9-42, 2013

      27 한동일, "중도 실명 시각장애학생의 시각장애학교 전공과 적응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133-151, 2021

      28 조현근, "중도 시각장애 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09-226, 2016

      29 박향경, "정신장애인의 어머니가 경험한 가족생활 내러티브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30 정원미 ; 선미정, "정신장애인 신체의 자유 제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49 : 435-472, 2018

      31 조미솔 ; 강지영, "정서행동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거주형 치료재활시설 종사자의 행복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7 (37): 1-27, 2021

      32 김태종, "재활 승마교수와 학습자의 학습 경험 탐색: 한 재활승마지도사와 장애 승마자의 교수·학습경험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01-116, 2019

      33 임효정 ; 김민지,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질적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한국융합학회 12 (12): 243-252, 2021

      34 강희연, "장애통합학급 유아교사의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49-175, 2011

      35 권애림 ; 김갑숙,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7 (37): 85-104, 2021

      36 하미용,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가족생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37 신정란, "장애인형제를 부양하는 비장애인 미혼여성의 애환에 관한 내러티브적 사례연구 : 명상 상담을 중심으로" 10 : 65-78, 2013

      38 채 린, "장애인엘리트 골프선수들의 성공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8

      39 장숙, "장애인복지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10 (10): 73-102, 2019

      40 여진아, "장애인당사자가 느끼는 장벽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2 (2): 39-76, 2017

      41 박남영, "장애인단기거주시설 기독여성시설장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20

      42 조주희, "장애의 사회문화적 고찰: 여성장애인의 장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적 분석" 한국교육인류학회 24 (24): 97-128, 2021

      43 임부연 ; 남다현 ; 최남정,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24, 2009

      44 황희숙 ; 최한옥 ; 이경화,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69-292, 2009

      45 강유진, "장애유아 어머니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장애자녀의 이야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29-638, 2017

      46 조현근, "장애유아 어머니들의 ‘돌봄’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57-187, 2015

      47 송정문 ; 양영희, "장애운동가인 중증지체장애 어머니를 둔 비장애자녀의 장애 경험"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165-195, 2021

      48 김슬기 ; 이병인 ; 조현근,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1-29, 2021

      49 주성희 ; 한경임, "장애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삶"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43-268, 2017

      50 이효진 ; 최선남,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사에 대한 경험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121-144, 2018

      51 이원희 ; 곽승철,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분석 및 과제: 2005년~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61-290, 2015

      52 박지영, "장애아 어머니의 몸중심 마음챙김 경험 이야기" 7 (7): 67-86, 2017

      53 박진희 ; 김선아, "장애미술교육 경험에 관한 미술교사 내러티브 탐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4) : 135-160, 2020

      54 차순주 ; 최선남, "장애 아동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매체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7 (27): 1-26, 2020

      55 박계신,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응용행동분석 기반 중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309-341, 2016

      56 김도희,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아스퍼거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57 노민희 ; 김은경, "자폐성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는 성인 형제자매의 삶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자폐학회 18 (18): 1-33, 2018

      58 이원희, "자폐성 장애아 부모의 삶과 교육에 대한 존재론적 사유"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59 이효진 ; 최선남, "자폐 스펙트럼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치료사의 경험 이야기"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347-369, 2019

      60 문소영 ; 이소현 ; 고미애,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통합교육 관련 질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한국자폐학회 17 (17): 47-74, 2017

      61 위유섭 ; 원영인 ; 김지태, "은퇴개념 모형을 적용한 장애인 운동선수의 은퇴지각 탐색" 한국체육학회 57 (57): 407-421, 2018

      62 원길재 ; 조현근, "유치원 통합교육 현장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갈등과 상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7-391, 2014

      63 이현숙 ; 이병인 ; 조현근,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97-133, 2019

      64 Webster, L., "연구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Using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an introduction to using critical event narrative analysis in research on learning and teaching]" 학지사 2017

      65 송인애,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계 넘기’ 과정의 평생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1

      66 김형란 ; 강민철, "양극성정동장애 중년남성에 대한 미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인문사회 21 11 (11): 207-222, 2020

      67 권은미 ; 전성숙, "약물치료를 받는 ADHD 아동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간호과학연구소 10 (10): 54-68, 2020

      68 박서정 ; 주용국, "아스퍼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과 성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207-231, 2014

      69 조재성, "심층면담 가이드 개발에 관한 방법적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29-52, 2019

      70 차노휘, "시시포스의 일상, 지체장애인의 내재화된 낙인 견디기"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845-864, 2021

      71 송민철,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초임 순회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5 (35): 41-67, 2019

      72 홍재영, "시각장애학교 초임 미술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53-179, 2018

      73 길은영, "시각장애인 미술치료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4 (4): 235-273, 2018

      74 한동일,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교사의 교육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충청북도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7 (37): 181-198, 2021

      75 김민영 ; 최한, "성인여성 지적장애인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COVID-19 재난 상황에서"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1345-1364, 2021

      76 정은주, "성인 신체장애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6 (16): 143-171, 2020

      77 김수진 ; 홍영숙, "상담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9년∼2018년)"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63-89, 2019

      78 박향경, "삶, 종교, 돌봄-한 정신장애인의 어머니 이야기-" 2 (2): 1-22, 2014

      79 배영미,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청각장애대학생에 관한 연구" 9 : 97-117, 2010

      80 엄수정 ; 정가희, "사건, 탈주, 탈영토화: 한 특수교사의 가치 갈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139-171, 2019

      81 황상현 ; 노형규, "발달재활서비스에서 건져 낸 특수체육의 가치와 가능성: 성인기 자폐성 자녀를 둔 두 어머니의 경험 이야기"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99-116, 2021

      82 홍심근 ; 강경선, "발달장애인의 비장애 형제자매를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가사 내용분석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107-125, 2021

      83 오은경, "발달장애인 부모의 부부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6

      84 조민주 ; 허윤정,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현장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277-292, 2021

      85 심미선, "발달장애아부모의 전기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86 윤혜원, "발달장애아를 둔 초등학교 형제자매의 미술치료활동에관한 경험 :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 3 (3): 49-73, 2003

      87 염지숙, "발달장애아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삶: 희망과 가능성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03-425, 2012

      88 이은정,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여성의 요가심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 9 (9): 23-47, 2019

      89 안혜신 ; 이숙향, "발달장애 성인의 가족이 참여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27-61, 2020

      90 백숙희 ; 김갑숙,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활용한 농인(聾人)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987-1014, 2021

      91 이현미, "다문화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6 (6): 1-31, 2021

      92 엄수정 ; 유애란, "누구를 위한 특수교육인가? : ‘장애학생’들이 갖는 특수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33, 2015

      93 박정란, "농인의 수화사용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0

      94 김미라 ; 주경필, "농인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농인 교사들의 농(聾)정체성 확립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교육연구소 42 (42): 131-159, 2021

      95 조현정 ; 이병인, "노인요양센터 노인과 장애영유아 세대 간 교류에 관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67-188, 2014

      96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교육과학사 2015

      97 윤희봉,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장애학생의일반학교 내 학교폭력 처리과정의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12 (12): 115-136, 2017

      98 홍영숙,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7-28, 2020

      99 하미영 ; 신세인 ; 이준기, "그들은 왜 자연계열로 들어서지 못하였나? - 청각장애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한국생물교육학회 48 (48): 489-503, 2020

      100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101 김경신, "광주·전남지역 성폭력피해 지적장애여성의 내러티브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9-41, 2017

      102 조주희 ; 조홍중, "경도장애의 의미: 뇌성마비 여성 S의 생애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41-166, 2012

      103 임희진 ; 구자경, "경계선 지능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독서치료학회 11 (11): 63-84, 2019

      104 조주희 ; 박문석, "건강한 사람들의 세계에서 병(病)을 가진 사람의 장애 경험 탐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31-166, 2020

      105 홍영숙,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81-107, 2019

      106 Miller, J. L., "Sound of silence breaking : Women, autobiography, curriculum" Peter Lang Publishing 2005

      107 Foucault, M.,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Pantheon Books 1980

      108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109 Polkinghone, 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110 Connelly, F. M.,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477-487, 2007

      111 지종민, "ADHD 영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11-13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