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18세기 어머니 행장(先妣行狀) 연구: 母子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the records of a deceased mother (Haengjang) in the 18th : the focus on the mother and son's recogni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examined mother 's Haengjang of 18th century focusing on recognition of mother and son. Mothers' intellectual ability and literacy leads to in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The son was willing to limit the role of women not revealing mother’s writing. Sons acknowledged that their mother's sacrifice and economic activity. They suggests that it could be possible by shaping them as an insensible and unselfish person. Sons acknowledged them as a woman who practiced and conformed Confucian order. But these women have helped to reproduce sexual discrimination ideology. The mother wanted to "being recognized" and the son recorded them through "recognition." Mother’s Haengjang is the writing that combines the desire of mother and son.
      번역하기

      I examined mother 's Haengjang of 18th century focusing on recognition of mother and son. Mothers' intellectual ability and literacy leads to in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The son was willing to limit the role of women not revealing mother’s wri...

      I examined mother 's Haengjang of 18th century focusing on recognition of mother and son. Mothers' intellectual ability and literacy leads to in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The son was willing to limit the role of women not revealing mother’s writing. Sons acknowledged that their mother's sacrifice and economic activity. They suggests that it could be possible by shaping them as an insensible and unselfish person. Sons acknowledged them as a woman who practiced and conformed Confucian order. But these women have helped to reproduce sexual discrimination ideology. The mother wanted to "being recognized" and the son recorded them through "recognition." Mother’s Haengjang is the writing that combines the desire of mother and 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세기 어머니 행장을 어머니와 아들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지적 능력과 문자 생활은 평설 및 남편과 아들의 출처와 교우 관계에 대한 충고를 비롯하여 간접적인 정치적 참여로 이어진다. 하지만 아들은 어머니의 문자 생활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을 경계하여 여성의 역할을 제한하였다. 어머니의 희생으로 가족이 조화를 이루고 살 수 있었으며 치산을 담당했던 사실을 인정했다. 아들은 어머니를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물욕에 욕심이 없는 성격으로 형상함으로써 그것이 가능했던 근거를 제시한다. 투기 금지와 삼종지도를 주장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유교 질서에 순응하고 실천한 여성이었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러한 여성은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데 일조했다.
      어머니는 자신의 삶이 기억되고 ‘인정받기’ 원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행장을 작성한 아들은 ‘인정하기’를 통해 어머니의 삶을 자신의 시선에 의거하여 기록하였다. 어머니 행장은 조선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인정받고 싶어 하는 어머니의 욕망과 가문의 격을 높이는데 일조한 어머니의 공로를 인정한 아들의 욕구가 결합한 글쓰기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18세기 어머니 행장을 어머니와 아들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지적 능력과 문자 생활은 평설 및 남편과 아들의 출처와 교우 관계에 대한 충고를 비롯하여 간접...

      본고는 18세기 어머니 행장을 어머니와 아들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지적 능력과 문자 생활은 평설 및 남편과 아들의 출처와 교우 관계에 대한 충고를 비롯하여 간접적인 정치적 참여로 이어진다. 하지만 아들은 어머니의 문자 생활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을 경계하여 여성의 역할을 제한하였다. 어머니의 희생으로 가족이 조화를 이루고 살 수 있었으며 치산을 담당했던 사실을 인정했다. 아들은 어머니를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물욕에 욕심이 없는 성격으로 형상함으로써 그것이 가능했던 근거를 제시한다. 투기 금지와 삼종지도를 주장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유교 질서에 순응하고 실천한 여성이었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러한 여성은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데 일조했다.
      어머니는 자신의 삶이 기억되고 ‘인정받기’ 원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행장을 작성한 아들은 ‘인정하기’를 통해 어머니의 삶을 자신의 시선에 의거하여 기록하였다. 어머니 행장은 조선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인정받고 싶어 하는 어머니의 욕망과 가문의 격을 높이는데 일조한 어머니의 공로를 인정한 아들의 욕구가 결합한 글쓰기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익수, "李夫人行錄 「여흥민씨가승기략」 권4"

      2 심경호, "한문산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제안" 동방한문학회 (31) : 7-34, 2006

      3 김영, "한글필사본 『광산김씨언행록』의 자료적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473-488, 2017

      4 한희숙, "조선후기 兩班女性의 생활과 여성리더십 - 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1-48, 2008

      5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6 민익수, "정경부인이씨언행록" 규장각

      7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8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81-110, 2016

      9 이경하, "망실행장류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26, 2007

      10 이현재, "도시적 여성 혐오에 나타난 왜곡된 ‘인정’의 논리 - 과열된 성취인정과 인정의 이데올로기화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3-327, 2016

      1 민익수, "李夫人行錄 「여흥민씨가승기략」 권4"

      2 심경호, "한문산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제안" 동방한문학회 (31) : 7-34, 2006

      3 김영, "한글필사본 『광산김씨언행록』의 자료적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473-488, 2017

      4 한희숙, "조선후기 兩班女性의 생활과 여성리더십 - 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1-48, 2008

      5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6 민익수, "정경부인이씨언행록" 규장각

      7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8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81-110, 2016

      9 이경하, "망실행장류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26, 2007

      10 이현재, "도시적 여성 혐오에 나타난 왜곡된 ‘인정’의 논리 - 과열된 성취인정과 인정의 이데올로기화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3-327, 2016

      11 이승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션비졍부인박시유ㅅ·』의 자료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5) : 97-126, 2016

      12 황윤정, "가문 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 <先妣貞敬夫人行狀>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547-580, 2014

      13 이경하, "管의 전통, 그 일상의 정치" 국문학회 15 (15): 77-94, 2007

      14 김경미, "家와 여성 : 18세기 여성 생활과 문화" 여이연 15-42, 2012

      15 김명숙, "『李夫人行錄』을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삶" 동양고전학회 (39) : 133-161, 2010

      16 김명숙, "『驪興閔氏家乘記略』을 통해 본 17-18세기 여흥 민문의 형성과 가문 정비" 한국사상문화학회 (46) : 277-315, 2009

      17 이규대, "“先全州李氏行狀”을 통해 본 18세기 여성의 생활상" 한국역사민속학회 (25) : 203-233, 2007

      18 김현미, "19세기 선비행장(先妣行狀)류 글에 형상화된 어머니의 가르침- 자녀 교육 태도와 교육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439-467, 2014

      19 황수연,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권~8권" 보고사 2010

      20 김경미,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4권" 보고사 2006

      21 황수연,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 161-19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