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익수, "李夫人行錄 「여흥민씨가승기략」 권4"
2 심경호, "한문산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제안" 동방한문학회 (31) : 7-34, 2006
3 김영, "한글필사본 『광산김씨언행록』의 자료적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473-488, 2017
4 한희숙, "조선후기 兩班女性의 생활과 여성리더십 - 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1-48, 2008
5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6 민익수, "정경부인이씨언행록" 규장각
7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8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81-110, 2016
9 이경하, "망실행장류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26, 2007
10 이현재, "도시적 여성 혐오에 나타난 왜곡된 ‘인정’의 논리 - 과열된 성취인정과 인정의 이데올로기화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3-327, 2016
1 민익수, "李夫人行錄 「여흥민씨가승기략」 권4"
2 심경호, "한문산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제안" 동방한문학회 (31) : 7-34, 2006
3 김영, "한글필사본 『광산김씨언행록』의 자료적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473-488, 2017
4 한희숙, "조선후기 兩班女性의 생활과 여성리더십 - 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9) : 1-48, 2008
5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6 민익수, "정경부인이씨언행록" 규장각
7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8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81-110, 2016
9 이경하, "망실행장류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26, 2007
10 이현재, "도시적 여성 혐오에 나타난 왜곡된 ‘인정’의 논리 - 과열된 성취인정과 인정의 이데올로기화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3-327, 2016
11 이승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션비졍부인박시유ㅅ·』의 자료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5) : 97-126, 2016
12 황윤정, "가문 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 <先妣貞敬夫人行狀>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547-580, 2014
13 이경하, "管의 전통, 그 일상의 정치" 국문학회 15 (15): 77-94, 2007
14 김경미, "家와 여성 : 18세기 여성 생활과 문화" 여이연 15-42, 2012
15 김명숙, "『李夫人行錄』을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삶" 동양고전학회 (39) : 133-161, 2010
16 김명숙, "『驪興閔氏家乘記略』을 통해 본 17-18세기 여흥 민문의 형성과 가문 정비" 한국사상문화학회 (46) : 277-315, 2009
17 이규대, "“先全州李氏行狀”을 통해 본 18세기 여성의 생활상" 한국역사민속학회 (25) : 203-233, 2007
18 김현미, "19세기 선비행장(先妣行狀)류 글에 형상화된 어머니의 가르침- 자녀 교육 태도와 교육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439-467, 2014
19 황수연,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권~8권" 보고사 2010
20 김경미,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4권" 보고사 2006
21 황수연,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 161-19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