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효 수행 = Analysis of the Great Filial Piety of the Female Character in Yussisamdae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 in Yussisamdaerok who represents the great filial piety. According to Confucian discourses on women’s filiality, women were expected to transfer their filial piety from their natal parents to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However, the eighteenth century novel Yussisamdaerok introduced a fictional character, Princess Jinyang, who continues to direct her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rather than her parents-in-law, even after she marries. This study focuses on this case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is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This analysis of Princess Jinyang’s character challenges the former understanding that devoted daughter characters usually represent a woman’s natural filiality that cannot be redirected, not even to abide by Confucian norms. Instead, an examination of how Princess Jinyang continues to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indicates there are diverse meanings of her noncompliance. For example, Princess Jinyang uses the Confucian virtue of filial piety as her political resource. Although she deviates from Confucian norms of the female virtue, she justifies her behavior with Confucian causes (i.e., filial piety), and by maintaining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she gains autonomy from her husband’s family.
      Accordingly, Princess Jinyang is not just another case of a devoted daughter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Rather, the representation of this character revea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haracter and Confucian ideology cannot be understood as a simple dichotomy of resistance versus subordin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 in Yussisamdaerok who represents the great filial piety. According to Confucian discourses on women’s filiality, women were expected to transfer their filial piety from their natal parents to t...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 in Yussisamdaerok who represents the great filial piety. According to Confucian discourses on women’s filiality, women were expected to transfer their filial piety from their natal parents to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However, the eighteenth century novel Yussisamdaerok introduced a fictional character, Princess Jinyang, who continues to direct her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rather than her parents-in-law, even after she marries. This study focuses on this case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is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This analysis of Princess Jinyang’s character challenges the former understanding that devoted daughter characters usually represent a woman’s natural filiality that cannot be redirected, not even to abide by Confucian norms. Instead, an examination of how Princess Jinyang continues to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indicates there are diverse meanings of her noncompliance. For example, Princess Jinyang uses the Confucian virtue of filial piety as her political resource. Although she deviates from Confucian norms of the female virtue, she justifies her behavior with Confucian causes (i.e., filial piety), and by maintaining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she gains autonomy from her husband’s family.
      Accordingly, Princess Jinyang is not just another case of a devoted daughter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Rather, the representation of this character revea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haracter and Confucian ideology cannot be understood as a simple dichotomy of resistance versus subord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라는 여성인물의 효 수행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교의 규범적 담론에서 규정하는 여성의 효 수행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진양공주의 경우와 견주어 살핀 뒤,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의 효 수행이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면서 그 의미를 차례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여성의 효에 관한 규범적 담론을 분석한 바, 여성은 혼인을 기점으로 효의 수행 대상을 친부모에게서 시부모에게로 전환하여야 한다는 점이 규범의 핵심임을 도출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혼인 이후에도 친모에 관하여 지극한 효성을 발휘하는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는 규범으로부터 일탈하는 인물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진양공주의 효 수행의 양상과 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가 수행하는 ‘효’가 어머니를 향한 딸의 효성의 발현이나 규범적인 덕목의 준수가 아닌,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유되는 일종의 정치적 자원임을 보였다. 나아가 『유씨삼대록』이 진양공주의 효 수행으로 인해 생긴 균열을 봉합하면서도 진양공주를 미화하는 서사임을 보임으로써, 이 인물의 유교적 덕목 수행이 저항과 복종의 틀로 해석될 수 없음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라는 여성인물의 효 수행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교의 규범적 담론에서 규정하는 여성의 효 수행에 ...

      이 논문은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라는 여성인물의 효 수행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교의 규범적 담론에서 규정하는 여성의 효 수행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진양공주의 경우와 견주어 살핀 뒤,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의 효 수행이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면서 그 의미를 차례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여성의 효에 관한 규범적 담론을 분석한 바, 여성은 혼인을 기점으로 효의 수행 대상을 친부모에게서 시부모에게로 전환하여야 한다는 점이 규범의 핵심임을 도출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혼인 이후에도 친모에 관하여 지극한 효성을 발휘하는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는 규범으로부터 일탈하는 인물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진양공주의 효 수행의 양상과 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가 수행하는 ‘효’가 어머니를 향한 딸의 효성의 발현이나 규범적인 덕목의 준수가 아닌,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유되는 일종의 정치적 자원임을 보였다. 나아가 『유씨삼대록』이 진양공주의 효 수행으로 인해 생긴 균열을 봉합하면서도 진양공주를 미화하는 서사임을 보임으로써, 이 인물의 유교적 덕목 수행이 저항과 복종의 틀로 해석될 수 없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자현, "효의 감성과 효의 가치-조선후기 효 담론의 변화" 국문학회 (13) : 155-203, 2005

      2 혜경궁 홍씨, "한중록" 문학동네 [서울] 2010

      3 "한국고전종합DB"

      4 김경미, "주자가례의 수용과 17세기 혼례의 양상 - 친영례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5) : 261-292, 2006

      5 권내현, "조선후기 부계 가족・친족의 확산과 몇 가지 문제" 고려사학회 (62) : 247-268, 2016

      6 "조선왕조실록"

      7 장병인,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혼례방식 - 新俗禮‧半親迎‧假館親迎의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9) : 137-182, 2015

      8 한희숙,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서울] 214-241, 2010

      9 정병설, "유효공선행록"

      10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1 김자현, "효의 감성과 효의 가치-조선후기 효 담론의 변화" 국문학회 (13) : 155-203, 2005

      2 혜경궁 홍씨, "한중록" 문학동네 [서울] 2010

      3 "한국고전종합DB"

      4 김경미, "주자가례의 수용과 17세기 혼례의 양상 - 친영례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5) : 261-292, 2006

      5 권내현, "조선후기 부계 가족・친족의 확산과 몇 가지 문제" 고려사학회 (62) : 247-268, 2016

      6 "조선왕조실록"

      7 장병인,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혼례방식 - 新俗禮‧半親迎‧假館親迎의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9) : 137-182, 2015

      8 한희숙,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서울] 214-241, 2010

      9 정병설, "유효공선행록"

      10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11 송시열, "우암션ᄉᆡᆼ계녀셔"

      12 주희, "소학" 홍익출판 2005

      13 "삼강행실도 효자편"

      14 "문챵셩탕평요얼"

      15 소혜왕후, "내훈" 한길사 2011

      16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171-200, 2005

      17 김문희, "고전소설에 나타난 이비고사(二妃故事)의 변용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8) : 5-40, 2014

      18 "南塘集"

      19 조용호, "「劉氏三代錄」의 敍事論的 硏究" 한국고전연구학회 1 : 289-316, 1995

      20 박일용, "「유씨삼대록」의 작가의식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12 : 187-220, 1997

      21 박길희,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125-161, 2014

      22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1-30, 2007

      23 장시광, "<유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223-269, 2009

      24 박영희, "<소현성록>에 나타난 공주혼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5-35, 2005

      25 이경하,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보고사 20-48, 2010

      26 홍인숙, "17세기 여성사의 문제적 인물, 尤庵 宋時烈" 동양고전학회 18 : 103-14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