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자현, "효의 감성과 효의 가치-조선후기 효 담론의 변화" 국문학회 (13) : 155-203, 2005
2 혜경궁 홍씨, "한중록" 문학동네 [서울] 2010
3 "한국고전종합DB"
4 김경미, "주자가례의 수용과 17세기 혼례의 양상 - 친영례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5) : 261-292, 2006
5 권내현, "조선후기 부계 가족・친족의 확산과 몇 가지 문제" 고려사학회 (62) : 247-268, 2016
6 "조선왕조실록"
7 장병인,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혼례방식 - 新俗禮‧半親迎‧假館親迎의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9) : 137-182, 2015
8 한희숙,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서울] 214-241, 2010
9 정병설, "유효공선행록"
10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1 김자현, "효의 감성과 효의 가치-조선후기 효 담론의 변화" 국문학회 (13) : 155-203, 2005
2 혜경궁 홍씨, "한중록" 문학동네 [서울] 2010
3 "한국고전종합DB"
4 김경미, "주자가례의 수용과 17세기 혼례의 양상 - 친영례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5) : 261-292, 2006
5 권내현, "조선후기 부계 가족・친족의 확산과 몇 가지 문제" 고려사학회 (62) : 247-268, 2016
6 "조선왕조실록"
7 장병인,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혼례방식 - 新俗禮‧半親迎‧假館親迎의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9) : 137-182, 2015
8 한희숙,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서울] 214-241, 2010
9 정병설, "유효공선행록"
10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11 송시열, "우암션ᄉᆡᆼ계녀셔"
12 주희, "소학" 홍익출판 2005
13 "삼강행실도 효자편"
14 "문챵셩탕평요얼"
15 소혜왕후, "내훈" 한길사 2011
16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171-200, 2005
17 김문희, "고전소설에 나타난 이비고사(二妃故事)의 변용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8) : 5-40, 2014
18 "南塘集"
19 조용호, "「劉氏三代錄」의 敍事論的 硏究" 한국고전연구학회 1 : 289-316, 1995
20 박일용, "「유씨삼대록」의 작가의식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12 : 187-220, 1997
21 박길희,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125-161, 2014
22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1-30, 2007
23 장시광, "<유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223-269, 2009
24 박영희, "<소현성록>에 나타난 공주혼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5-35, 2005
25 이경하,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보고사 20-48, 2010
26 홍인숙, "17세기 여성사의 문제적 인물, 尤庵 宋時烈" 동양고전학회 18 : 103-14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