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향토 멜로드라마와 여성의 위치성: 박경리의 <파시(波市)>를 중심으로 = Local melodrama and women's positionality : Focused on Park, Kyung-Ri's Pashi(Seasonal Fish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fines Park, Kyung-ri's "Pasi" as a "local melodrama", and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melodrama, modernity and gender, specially the meaning of mobility and locality of women who entered the field of public society due to Korean War. The premise is that plotting and the narrative intention of local melodrama which is related to the barbarianism, nativism are closely related to the appropriation of femininity.
      This paper focuses on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women, ‘su-ok’ as the 'primitive existence', ‘noble savage’ of Ray Chow. Su-ok’s mobility from the north->Busan->Tongyeong-> Gaesum->Tongyeong and her positionality as the periphery-local area-suffering woman questions the war violence, capital, and modernit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ality of ‘Hak-ja’ is related to moving from local Tongyeong to metropolitan city Busan. The mobility of Hak-ja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social position of femininity during Korean War. She performs the femininity and sexuality positively in a different hierarchical position from bourgeois women such as ‘Jook-hee’, ‘Myeong Hwa’, and shows the positionality of women who live in the war and after the war.
      ‘Myeong-hwa’ and ‘Eung-ju’ are the character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melodrama. Tongyoung is a place where the local melodrama is held and their love lasts and ends. While the local melodrama of ‘Hak-ja’, ‘Hak-su’ and ‘Su-ok’ overcome the vigor of the market and war, and they reach the stage of maturity, the melodrama of ‘Myeong-hwa’ and ‘Eung-ju’ is obsessed with the fate of bloodline and incest, and idealizes the innocence and romanticism. Even though these two local melodramas hav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as the similar narratives which protest the ideology of Korean War and the modernity of the snobs.
      번역하기

      This paper defines Park, Kyung-ri's "Pasi" as a "local melodrama", and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melodrama, modernity and gender, specially the meaning of mobility and locality of women who entered the field of public society due to Korean War. ...

      This paper defines Park, Kyung-ri's "Pasi" as a "local melodrama", and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melodrama, modernity and gender, specially the meaning of mobility and locality of women who entered the field of public society due to Korean War. The premise is that plotting and the narrative intention of local melodrama which is related to the barbarianism, nativism are closely related to the appropriation of femininity.
      This paper focuses on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women, ‘su-ok’ as the 'primitive existence', ‘noble savage’ of Ray Chow. Su-ok’s mobility from the north->Busan->Tongyeong-> Gaesum->Tongyeong and her positionality as the periphery-local area-suffering woman questions the war violence, capital, and modernit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ality of ‘Hak-ja’ is related to moving from local Tongyeong to metropolitan city Busan. The mobility of Hak-ja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social position of femininity during Korean War. She performs the femininity and sexuality positively in a different hierarchical position from bourgeois women such as ‘Jook-hee’, ‘Myeong Hwa’, and shows the positionality of women who live in the war and after the war.
      ‘Myeong-hwa’ and ‘Eung-ju’ are the character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melodrama. Tongyoung is a place where the local melodrama is held and their love lasts and ends. While the local melodrama of ‘Hak-ja’, ‘Hak-su’ and ‘Su-ok’ overcome the vigor of the market and war, and they reach the stage of maturity, the melodrama of ‘Myeong-hwa’ and ‘Eung-ju’ is obsessed with the fate of bloodline and incest, and idealizes the innocence and romanticism. Even though these two local melodramas hav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as the similar narratives which protest the ideology of Korean War and the modernity of the snob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박경리의 <파시>를 ‘향토 멜로드라마’로 정의하고, 멜로드라마-근대성-젠더 간의 관련성,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해 공적 사회의 장에 진출한 여성들의 이동성과 위치성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전제가 되는 것은 야만, 미개, 토착성과 관련이 있는 향토 멜로드라마의 이야기짜기(plotting), 서사적 의도가 여성(성)의 전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레이 초우의 ‘원시적 존재’, ‘고귀한 야만인’으로서의 여성을 <파시>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인 ‘수옥’에 주목하였다. 이북->부산->통영->개섬->통영에 이르는 수옥의 이동, 주변부-향토-수난 받는 여성이라는 위치성은 전쟁과 자본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근대의 동력에 의문을 표한다.
      한편, 학자의 위치성은 통영-향토에서 부산-대도시로 이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학자의 이동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여성성의 사회적 지형이 변화한 데 기인한다. 그녀는 죽희나 명화같은 부르주아 여성과는 다른 계층적 위치에서 여성성과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연행하고, 욕망을 드러냄으로써 전쟁과 그 이후를 살아가는 여성의 위치성을 보여준다.
      향토 멜로드라마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은 명화와 응주이다. 통영은 이들의 사랑이 지속되고 끝나는, 향토 멜로드라마가 펼쳐지는 장소이다. 학수와 학자, 수옥의 향토-멜로드라마가 시장과 전시 상태의 엄혹함을 이겨내고 이들이 모종의 성숙을 이루는 데 도달한 반면, 명화와 응주의 향토 멜로드라마는 혈통과 근친상간이라는 운명에 강박된, 현실성이 소거된 순진성, 낭만성을 이상화 한다. 이 성격이 다른 두 향토 멜로드라마는 한국전쟁이라는 이데올로기와 속물들의 근대에 항의를 표하는 청춘들의 서사라는 점에서 동전의 양면 같은 서사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박경리의 <파시>를 ‘향토 멜로드라마’로 정의하고, 멜로드라마-근대성-젠더 간의 관련성,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해 공적 사회의 장에 진출한 여성들의 이동성과 위치성이 ...

      이 논문은 박경리의 <파시>를 ‘향토 멜로드라마’로 정의하고, 멜로드라마-근대성-젠더 간의 관련성,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해 공적 사회의 장에 진출한 여성들의 이동성과 위치성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전제가 되는 것은 야만, 미개, 토착성과 관련이 있는 향토 멜로드라마의 이야기짜기(plotting), 서사적 의도가 여성(성)의 전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레이 초우의 ‘원시적 존재’, ‘고귀한 야만인’으로서의 여성을 <파시>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인 ‘수옥’에 주목하였다. 이북->부산->통영->개섬->통영에 이르는 수옥의 이동, 주변부-향토-수난 받는 여성이라는 위치성은 전쟁과 자본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근대의 동력에 의문을 표한다.
      한편, 학자의 위치성은 통영-향토에서 부산-대도시로 이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학자의 이동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여성성의 사회적 지형이 변화한 데 기인한다. 그녀는 죽희나 명화같은 부르주아 여성과는 다른 계층적 위치에서 여성성과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연행하고, 욕망을 드러냄으로써 전쟁과 그 이후를 살아가는 여성의 위치성을 보여준다.
      향토 멜로드라마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은 명화와 응주이다. 통영은 이들의 사랑이 지속되고 끝나는, 향토 멜로드라마가 펼쳐지는 장소이다. 학수와 학자, 수옥의 향토-멜로드라마가 시장과 전시 상태의 엄혹함을 이겨내고 이들이 모종의 성숙을 이루는 데 도달한 반면, 명화와 응주의 향토 멜로드라마는 혈통과 근친상간이라는 운명에 강박된, 현실성이 소거된 순진성, 낭만성을 이상화 한다. 이 성격이 다른 두 향토 멜로드라마는 한국전쟁이라는 이데올로기와 속물들의 근대에 항의를 표하는 청춘들의 서사라는 점에서 동전의 양면 같은 서사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한국여성연구소 8 (8): 197-222, 2008

      2 정민우, "페미니즘 없는 문화연구?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 메타비평과 페미니스트 지식의 위치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54-196, 2009

      3 박경리, "파시" 나남 1993

      4 김양선,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 ―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131-149, 2011

      5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이산 2004

      6 나보령, "시장의 풍경에 주목해 다시 읽는 전후소설 시론 -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시장의 의미 연구 -"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7-66, 2016

      7 조윤아,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통영 공간의 상상력" 한국비평문학회 (32) : 197-220, 2009

      8 벤 싱어,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9

      9 이상진, "「토지」와 박경리 문학" 솔 287-296, 1996

      10 박은정,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파시』, 『소시민』을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회 17 (17): 209-240, 2016

      1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한국여성연구소 8 (8): 197-222, 2008

      2 정민우, "페미니즘 없는 문화연구?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 메타비평과 페미니스트 지식의 위치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54-196, 2009

      3 박경리, "파시" 나남 1993

      4 김양선,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 ―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131-149, 2011

      5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이산 2004

      6 나보령, "시장의 풍경에 주목해 다시 읽는 전후소설 시론 -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시장의 의미 연구 -"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7-66, 2016

      7 조윤아,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통영 공간의 상상력" 한국비평문학회 (32) : 197-220, 2009

      8 벤 싱어,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9

      9 이상진, "「토지」와 박경리 문학" 솔 287-296, 1996

      10 박은정,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파시』, 『소시민』을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회 17 (17): 209-240,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