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적인 환경에서 조기중재와 사회통합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시설이 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제도적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90091
2007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3-66(1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적인 환경에서 조기중재와 사회통합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시설이 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제도적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 �...
자연적인 환경에서 조기중재와 사회통합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시설이 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제도적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보육현황을 바탕으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장애 영·유아를 보육시설 입소 우선 대상에 포함하고, 장애 유형 정도 등에 따라 입소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며,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에 일반아동의 10% 정도는 장애 영·유아 보육을 하도록 한다.
둘째, 장애전담 보육시설은 특수교육과 다양한 치료서비스를, 통합 보육시설은 시간제 보육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야 하며, 기본적인 시설 설비 확충 및 보강사업은 국고사업 이외에 각 시도 및 시·군·구에서의 특별사업 지원책이 요구되며 장애등급과 장애성향에 따른 효과적인 교사 배치제도와 보수수준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련법등에 장애 영·유아 보육에 대한 조항을 별도로 두어 포괄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앙행정기관간의 상호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ycare faciliti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can function the role of early interven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in a natural environment. A uniform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for these facilities to ...
The daycare faciliti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can function the role of early interven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in a natural environment. A uniform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for these facilities to function proper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daycare faciliti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the possible measures for their improvements to be vitalized.
The followings are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hould have the priority when admitted newly for the daycare centers and the concrete admission requirements should be specified based on the types and the severities of their disabilities. Also, national, public or corporate daycare facilities should be obligated to share 10% of their total admissions to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econdly, the daycar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should be the top priority for the daycare policies. The daycare faciliti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and various medical treatment services and integrated daycare facilities to provide part-time care services. Also, various early intervention service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However, infants and preschoolers for the after-school cares should be transferred to children"s welfare institutes in the future.
Thirdly, the special provisions for the daycare of infants and preschoolers should be established in Mothers" and Children"s Health Act, Handicapped Persons" Welfare Act, Specialized Education Promotion Act and Infants" and Kids" Daycare Act, for the establishment of early diagnosis system for disabilities. The special rules of the daycar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provisions for them;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placement and treatment, individualized education, educational support, and integrated facilities in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Also, infants and preschoolers should be provided with prioritized assessments, special admission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and the severities of their disabilities, and part-time cares.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hould be interconnected for cooperation in order to provide inclusive welfare servic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우리나라의 幼兒敎育과 保育事業 動向 - 關聯法令 및 國家水準敎育課程 變遷을 中心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연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