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한 교양교육연구 : D 대학교 교양과목 유형을 중심으로 = Study on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with Concentration on the D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Course Categ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2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us far, there has been little to no focus on demand for future liberal arts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study. The authors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325 college students in the D university that includes items asking their demand for a new course (‘Understanding post-human’) and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hen offere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ose differ across students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knowledge-acquisition type vs. knowledge-inquiry type and basic liberal arts courses vs. bridge liberal arts courses. In order to tackle the infeasibility of causal inference in most of the observational studies,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designs. Hence, this study was able to compare two se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 more valid fashion.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the following: 1) On average, the demand for the new course and the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ere greater in students who took knowledge-inquiry type and bridge liberal arts courses than their counterparts. Specifically, the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re were mixed patterns of findings: in comparison of knowledge-acquisition type vs. knowledge-inquiry type, the group difference after matching became smaller whereas that in comparison of basic liberal arts courses vs. bridge liberal arts courses became larger. By taking an approach and introducing a methodology that have been rarely addressed,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he literature of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 terms of diversity and novelty.
      번역하기

      Thus far, there has been little to no focus on demand for future liberal arts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study. The authors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325 college students in the D university that includes items asking their demand for a new co...

      Thus far, there has been little to no focus on demand for future liberal arts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study. The authors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325 college students in the D university that includes items asking their demand for a new course (‘Understanding post-human’) and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hen offere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ose differ across students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knowledge-acquisition type vs. knowledge-inquiry type and basic liberal arts courses vs. bridge liberal arts courses. In order to tackle the infeasibility of causal inference in most of the observational studies,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designs. Hence, this study was able to compare two se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 more valid fashion.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the following: 1) On average, the demand for the new course and the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ere greater in students who took knowledge-inquiry type and bridge liberal arts courses than their counterparts. Specifically, the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register for the cour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re were mixed patterns of findings: in comparison of knowledge-acquisition type vs. knowledge-inquiry type, the group difference after matching became smaller whereas that in comparison of basic liberal arts courses vs. bridge liberal arts courses became larger. By taking an approach and introducing a methodology that have been rarely addressed,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he literature of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 terms of diversity and novel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교양교육 연구에서 교양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성격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들은 D 대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상이한 유형의(기본교양 대 브릿지교양, 지식습득형 수업 대 지식탐구형 수업) 교양과목 수강생 325명을 대상으로 향후 개설을 준비 중인 ‘포스트휴먼의 이해’ 라는 교양강좌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요조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규로 개설될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와 개설되었을 때 수강할 의향이 자신이 속한 교양과목 유형에 따라 다른지 분석하였다. 한편 관찰연구에서 인과적 추론의 타당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준실험적 연구 방법의 일종인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선택편의를 보정한 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교양 보다는 브릿지교양 수강생이, 지식습득형보다는 지식탐구형 강좌 수강생이 대체로 신규 개설 교과목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며 개설시 수강의향도 높았다. 특히 수강의향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네 가지 조건 하의 분석 결과는 매칭 전후 두 집단 비교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학습유형에 의한 비교(지식습득형 대 지식탐구형)에서는, 매칭 이후에 두 집단의 차이가 감소했으나, 이수구분에 의한 비교(기본교양 대 브릿지교양)에서는 매칭 이후에 두 집단의 차이가 더 증가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접근법을 택함으로써, 교양교육연구의 다양성과 참신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교양교육 연구에서 교양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성격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들은 D 대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상이한 유형의(기본교양 대 브릿지교양, 지식습득...

      지금까지 교양교육 연구에서 교양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성격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들은 D 대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상이한 유형의(기본교양 대 브릿지교양, 지식습득형 수업 대 지식탐구형 수업) 교양과목 수강생 325명을 대상으로 향후 개설을 준비 중인 ‘포스트휴먼의 이해’ 라는 교양강좌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요조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규로 개설될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와 개설되었을 때 수강할 의향이 자신이 속한 교양과목 유형에 따라 다른지 분석하였다. 한편 관찰연구에서 인과적 추론의 타당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준실험적 연구 방법의 일종인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선택편의를 보정한 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교양 보다는 브릿지교양 수강생이, 지식습득형보다는 지식탐구형 강좌 수강생이 대체로 신규 개설 교과목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며 개설시 수강의향도 높았다. 특히 수강의향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네 가지 조건 하의 분석 결과는 매칭 전후 두 집단 비교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학습유형에 의한 비교(지식습득형 대 지식탐구형)에서는, 매칭 이후에 두 집단의 차이가 감소했으나, 이수구분에 의한 비교(기본교양 대 브릿지교양)에서는 매칭 이후에 두 집단의 차이가 더 증가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접근법을 택함으로써, 교양교육연구의 다양성과 참신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2 송주현,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말하기 수업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 검토- 한신대학교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창의적 말하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67-288, 2017

      3 김아름, "장애여부가 고혈압 및 당뇨병 이환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하여"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503-1517, 2018

      4 김응준, "인문교양교육과 포스트휴먼 인문과학"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5-44, 2020

      5 박천웅, "영어 강의 교양 교육에 관한 학부생 인식연구 -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41-165, 2018

      6 손승남, "엔그램 뷰어를 활용한 교양교육 개념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3-34, 2020

      7 김수지, "성향점수를 활용한 국내 성인에서의 알레르기비염 환경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989-2997, 2017

      8 류지인, "성향점수 및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장애인 경제활동의 지역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877-1886, 2017

      9 황혜영, "사고와 표현 토론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문제 진단"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89-112, 2019

      10 이민정, "비전공자 SW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모형의 효과성 탐색: SW 해결안의 시각적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8 (18): 1313-1321, 2017

      1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2 송주현,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말하기 수업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 검토- 한신대학교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창의적 말하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67-288, 2017

      3 김아름, "장애여부가 고혈압 및 당뇨병 이환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하여"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503-1517, 2018

      4 김응준, "인문교양교육과 포스트휴먼 인문과학"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5-44, 2020

      5 박천웅, "영어 강의 교양 교육에 관한 학부생 인식연구 -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41-165, 2018

      6 손승남, "엔그램 뷰어를 활용한 교양교육 개념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3-34, 2020

      7 김수지, "성향점수를 활용한 국내 성인에서의 알레르기비염 환경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989-2997, 2017

      8 류지인, "성향점수 및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장애인 경제활동의 지역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877-1886, 2017

      9 황혜영, "사고와 표현 토론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문제 진단"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89-112, 2019

      10 이민정, "비전공자 SW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모형의 효과성 탐색: SW 해결안의 시각적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8 (18): 1313-1321, 2017

      11 김선주,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 차이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53-75, 2019

      12 김완섭, "대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인식 추이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61-180, 2019

      13 김남희,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41-66, 2018

      14 박재현, "대학 교양 토론 교육의 쟁점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교육적 시사점"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61-198, 2017

      15 지희진,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3-466, 2013

      16 서혜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 소프트웨어 교과목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587-598, 2020

      17 김근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평균효과 및 분위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19-146, 2016

      18 김재경, "교양영어 과목에서의 세 가지 코칭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13-38, 2016

      19 백평구,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31-466, 2012

      20 Loh, J., "Trans and Posthumanism" Junius Verlag 135-, 2019

      21 Toby, O., "The precipice: existential risk and the future of humanity" Hachette Books 13-35, 2020

      22 Gormley, J. W. T., "The effects of universal pre-K on cognitive development" 41 (41): 872-884, 2005

      23 Rosenbaum, P.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 41-55, 1983

      24 Callahan, R., "School context and the effect of ESL placement on Mexican origin adolescents' achievement" 89 (89): 177-198, 2008

      25 Morgan, C. J., "Reducing bia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25 : 404-406, 2018

      26 Dehejia, R. H., "Propensity score-matching methods for nonexperimental causal studies" 84 (84): 151-161, 2002

      27 Son, D. H., "Philosophy and History of Reality" 2019

      28 Morgan, S. L., "Parental networks, social closure, and mathematics learning : A test of Coleman’s social capital explanation of school effects" 64 : 661-681, 1999

      29 Schafer, J. L., "Missing data : our view of the state of the art" 7 (7): 147-177, 2002

      30 Pinker, S., "Enlightenment now : The case for reason, science, humanism, and progress" Viking 39-52, 2018

      31 Rosenbaum, P. R., "Constructing a control group using multivariate matched sampling methods that incorporate the propensity score" 39 : 33-38, 1985

      32 Foster, E. M.,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instrumental variables : Do neighborhood conditions affect a young person's chance of finishing high school?" 1 (1): 249-260, 1996

      33 Yamaguchi, s., "Age of the new type" Influential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