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h of the Balujun Army’ was composed at Yanan, then anti-Japanese base, by Jeong Yulseong and another lyricist Gongmu in 1939. This song was one part of ‘the Balujun chorus’ which aimed to encourage the brave soldiers who fight the Japane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23993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54(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ch of the Balujun Army’ was composed at Yanan, then anti-Japanese base, by Jeong Yulseong and another lyricist Gongmu in 1939. This song was one part of ‘the Balujun chorus’ which aimed to encourage the brave soldiers who fight the Japanes...
‘March of the Balujun Army’ was composed at Yanan, then anti-Japanese base, by Jeong Yulseong and another lyricist Gongmu in 1939. This song was one part of ‘the Balujun chorus’ which aimed to encourage the brave soldiers who fight the Japanese invaders regardless of their lives. After liberation, the song was pu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as taught to many students, more importantly, later it became the military song of the PLA. Viewing from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March of the Balujun Army’ has great value since it reflect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paper illustrates Jeong Yulseong’s life experience and the background of his great work ‘March of the Balujun Army’, furthermore the paper also tries to analyze the social role the work plays.
국문 초록 (Abstract)
정율성(鄭律成)에 의해 창작된 ‘팔로군 행진곡’(八路軍進行曲)은 1939년 작사가 공목(公木)과 함께 중국의 항일 근거지인 연안(延安)에서 당시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는 팔로군들의 기세를 ...
정율성(鄭律成)에 의해 창작된 ‘팔로군 행진곡’(八路軍進行曲)은 1939년 작사가 공목(公木)과 함께 중국의 항일 근거지인 연안(延安)에서 당시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는 팔로군들의 기세를 북돋아주기 위하여 창작되었다. ‘팔로군행진곡’은 ‘팔로군대합창’(八路軍大合唱) 모음곡 중 하나의 속곡(屬曲)으로서 해방 이후, 중국 정부에서 ‘중국인민해방군 군가(中國人民解放軍軍歌)’로 채택될 만큼 영향력 있는 항일 음악작품으로 간주되었으며, 현재 중국의 초·중학교 음악교과서에도 수록되어 학생들의 역사의식 제고를 위하여 가르치고 있다. ‘팔로군행진곡’은 역사적·사회적·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한·중 양국 간의 문화예술 교류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있어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항일 전쟁 시기 한인 음악가 정율성에 의해 작곡된 ‘팔로군행진곡’의 창작 배경과 음악작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광주문화재단"
2 송서평, "정율성의 음악창작 탐구" 남북문화예술학회 (5) : 53-71, 2009
3 이미화, "정율성의 성악작품에 관한 연구 : <연안송> <연수요> <팔로군행진곡>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율성 음악 축제 ‒ 한·중 전통문화 음악 교류"
5 김성준, "정률성의 음악활동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6 이종한, "음악이 나의 무기다" 지식산업사 2006
7 김주용, "鄭律成의 생애와 항일민족운동"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1) : 329-357, 2011
8 송한용, "鄭律成의 사상형성과 지향" 호남사학회 (29) : 427-453, 2007
9 金成俊, "郑律成音乐世界管窥" 4 : 1997
10 梁茂春, "郑律成论" 4 : 1997
1 "한국광주문화재단"
2 송서평, "정율성의 음악창작 탐구" 남북문화예술학회 (5) : 53-71, 2009
3 이미화, "정율성의 성악작품에 관한 연구 : <연안송> <연수요> <팔로군행진곡>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율성 음악 축제 ‒ 한·중 전통문화 음악 교류"
5 김성준, "정률성의 음악활동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6 이종한, "음악이 나의 무기다" 지식산업사 2006
7 김주용, "鄭律成의 생애와 항일민족운동"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1) : 329-357, 2011
8 송한용, "鄭律成의 사상형성과 지향" 호남사학회 (29) : 427-453, 2007
9 金成俊, "郑律成音乐世界管窥" 4 : 1997
10 梁茂春, "郑律成论" 4 : 1997
11 唐咏, "郑律成在延安的音乐活动与创作" 南京艺术学院 2012
12 王越, "郑律成儿童歌曲研究" 延边大学 2013
13 唐磊, "郑律成作品‒ 「中国人民解放军军歌」 鉴赏" 9 : 2010
14 莫耶, "遥远的怀念‒ 由郑律成作品音乐会想起的" 1 : 1978
15 "共创中韩合作未来, 同襄亚洲振兴繁荣"
16 崔敏革, "八路軍大合唱硏究" 南京艺术学院 2012
17 公木, "八路军大合唱是怎样产生的" 10 : 2009
18 丁雪松, "作曲家鄭律成" 辽宁人民出版社 2009
19 于林青, "从「八路军进行曲」到「中国人民解放军军歌」" 6 : 2012
20 "中韩青年紧握双手,共创美好辉煌未来, 韩国总统文在寅在北京大学发表演讲"
21 "中韩合拍影片≪青年郑律成≫签约仪式在京举行"
22 "中华社会文化发展基金会"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6-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 ![]() |
2013-03-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3 | 1.457 | 0.16 |
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Network Service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Ju-Sung, Jun사회복지실천론
서원대학교 오봉욱글로벌 인재포럼 2007: 평생학습을 위한 대학의 역할
글로벌 인재포럼 Hans G. Schuetze, Richard Yelland, Dae-Bong Kwon글로벌 인재포럼 2007: HR 글로벌 인재 시장의 트렌드
글로벌 인재포럼 David Arkless(Manpower Inc), Reiji Ohtaki(Hay Group Asia), Adele M. Yeargen(Hewitt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