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갑진자본 『韓文正宗』의 간행과 그 의미 = The Publication and its Significance of 『Hanwenzhengzong漢文正宗』 Printed with Gapjinja甲辰字 in the Early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each possesses a copy of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of 『Hanwenzhengzong漢文正宗』 printed with Gapjinja甲辰字. 『Hanwenzhengzong』 was edited by means of extracting some Han Yu(韓愈)’s works from 『Wenzhangzhengzong文章正宗』 published by Zhen Dexiu(陳德秀) in Song dynasty along with adding other works in the appendix, which were not appeared in 『Wenzhangzhengzong』. Forty pieces of Han Yu’s works with the literary style of Yilunti議論體 were carried in the first volume while 35 works with the literary style of Xushiti敍事體 and 13 new works of his were included in the second volume and in the appendix respectively. It is assumed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from 1484(the reign of Seongjong 15) when Gapjinja was cast in metal to 1532 when Shen Gongji申公濟) printed the book in wood block printed version in Pyeongyang.
      In 『Hanwenzhengzong』 printed with Gapjinja, 67 pieces out of 88 Han Yu’s works were annotated. Among them, only four annotations came from 『Wenzhangzhengzong』 while the rest of annotations were related to writing norms from 『Zhuwengongjiaochanglixianshengji朱文公校昌黎先生集』, 『Guwenguanjian古文關鍵』, 『Wenzhangguifan文章軌範』, 『Guwenzhenbao古文眞寶』, and 『Wenzuanxinjue文選心訣』. In addition to it, all 88 works in the book were imprinted with the same side dots as Xie Fangde謝枋得 utilized when he published 『The Rules for Writing(文章軌範)』. While 『Wenzhangguifan』 of Japanese official wood-block version contained several marks meaning Dian點, Ma抹, Pie撇, and Jie截, Korean 『Hanwenzhengzong』 independently put just two additional side dots(ヽ, ◦) in the parts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sentences.
      Chinese antholog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The first one was a kind of anthologies by Tanwenyipai談文一派 and 『Wenzuan文選』 which called the first poetry anthology represented the school’s tradition. And The second one was a kind of anthologies by Tanliyipai談理一派 emerged as Zhen Dexiu眞德秀 published 『Wenzhangzhengzong』. Han Yu’s writings, which Zhu Xi朱熹 later interpreted based on his moral principles, were considered as a masterpiece for many scholars in Joseon period where Zhuzixue朱子學 had rooted and blossomed. By applying several side dots, the Gapjinja version of 『Hanwenzhengzong』 reorganized as the Tanwen-centerd textbook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ith Han Yu’s Tanli-centered works in 『Wenzhangzhengzong』.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lied in the fact that it was utilized as the textook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the scholars who recognized Han Yu’s writings as literary exemplars in early Joseon dynasty.
      번역하기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each possesses a copy of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of 『Hanwenzhengzong漢文正宗』 printed with Gapjinja甲辰字. 『Hanwenzhengzong』 was edited by means of extract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each possesses a copy of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of 『Hanwenzhengzong漢文正宗』 printed with Gapjinja甲辰字. 『Hanwenzhengzong』 was edited by means of extracting some Han Yu(韓愈)’s works from 『Wenzhangzhengzong文章正宗』 published by Zhen Dexiu(陳德秀) in Song dynasty along with adding other works in the appendix, which were not appeared in 『Wenzhangzhengzong』. Forty pieces of Han Yu’s works with the literary style of Yilunti議論體 were carried in the first volume while 35 works with the literary style of Xushiti敍事體 and 13 new works of his were included in the second volume and in the appendix respectively. It is assumed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from 1484(the reign of Seongjong 15) when Gapjinja was cast in metal to 1532 when Shen Gongji申公濟) printed the book in wood block printed version in Pyeongyang.
      In 『Hanwenzhengzong』 printed with Gapjinja, 67 pieces out of 88 Han Yu’s works were annotated. Among them, only four annotations came from 『Wenzhangzhengzong』 while the rest of annotations were related to writing norms from 『Zhuwengongjiaochanglixianshengji朱文公校昌黎先生集』, 『Guwenguanjian古文關鍵』, 『Wenzhangguifan文章軌範』, 『Guwenzhenbao古文眞寶』, and 『Wenzuanxinjue文選心訣』. In addition to it, all 88 works in the book were imprinted with the same side dots as Xie Fangde謝枋得 utilized when he published 『The Rules for Writing(文章軌範)』. While 『Wenzhangguifan』 of Japanese official wood-block version contained several marks meaning Dian點, Ma抹, Pie撇, and Jie截, Korean 『Hanwenzhengzong』 independently put just two additional side dots(ヽ, ◦) in the parts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sentences.
      Chinese antholog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The first one was a kind of anthologies by Tanwenyipai談文一派 and 『Wenzuan文選』 which called the first poetry anthology represented the school’s tradition. And The second one was a kind of anthologies by Tanliyipai談理一派 emerged as Zhen Dexiu眞德秀 published 『Wenzhangzhengzong』. Han Yu’s writings, which Zhu Xi朱熹 later interpreted based on his moral principles, were considered as a masterpiece for many scholars in Joseon period where Zhuzixue朱子學 had rooted and blossomed. By applying several side dots, the Gapjinja version of 『Hanwenzhengzong』 reorganized as the Tanwen-centerd textbook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ith Han Yu’s Tanli-centered works in 『Wenzhangzhengzong』.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lied in the fact that it was utilized as the textook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the scholars who recognized Han Yu’s writings as literary exemplars in early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조선전기에 甲辰字로 간행된 『韓文正宗』 상권 1책과 하권 1책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목판본 『한문정종』 상하 2권 2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宋代에 眞德秀가 편찬한 『文章正宗』에 수록된 한유의 작품을 별도로 뽑아놓고 『부록』에 일부 작품을 추가해 간행한 것이다. 이 책에는 상권에 한유의 議論體 작품 40편, 하권에 한유의 敍事體 작품 35편, 『부록』에 『문장정종』에 실려 있지 않은 한유 작품 13편이 수록되어 있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은 갑진자가 주조된 1484년(성종 15)에서 申公齊가 평양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1532년(중종 27)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에는 한유의 작품 88편 중 67편에 주석이 달려있다. 그중 『문장정종』의 주석은 4편에 불과하고, 나머지 주석들은 『주문공교창려선생집』, 『고문관건』, 『문장궤범』, 『고문진보』, 『문선심결』 등에서 문장의 형식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놓았다. 또한 이 책에는 한유 작품 88편에 모두 사방득이 『문장궤범』을 편찬하면서 사용한 傍點이 찍혀있다. 일본관판본 『문장궤범』에는 ‘點’, ‘抹’, ‘撇’, ‘截’ 등을 의미하는 기호들이 사용되었는데, 이 책에는 그중 문장의 구조와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곳에 방점 두 개(ヽ, ◦)가 찍혀있다.
      중국에서 간행된 선집류는 크게 두 계통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최초의 시문선집으로 불리는 『문선』을 중심으로 한 ‘談文一派’의 선집류이고, 다른 하나는 진덕수가 『문장정종』을 편찬한 것을 계기로 출현한 ‘談理一派’의 선집류이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은 『문장정종』에 수록된 談理 중심의 한유 문장을 談文 중심의 문장교재로 재편해놓은 것이다. 조선에서 주자학이 토착 개화되어 가던 시기에 주희가 도학적 문학관에 기초해 교감한 한유 문장은 조선의 문인학자들이 고문의 전범으로 삼기에 적합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당시 한유의 문장을 고문으로 전범으로 인식했던 문인학자들에 의해 과거준비를 위한 문장교재로 널리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한문산문의 전개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조선전기에 甲辰字로 간행된 『韓文正宗』 상권 1책과 하권 1책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목판본 『한문정종』 상하 2권...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조선전기에 甲辰字로 간행된 『韓文正宗』 상권 1책과 하권 1책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목판본 『한문정종』 상하 2권 2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宋代에 眞德秀가 편찬한 『文章正宗』에 수록된 한유의 작품을 별도로 뽑아놓고 『부록』에 일부 작품을 추가해 간행한 것이다. 이 책에는 상권에 한유의 議論體 작품 40편, 하권에 한유의 敍事體 작품 35편, 『부록』에 『문장정종』에 실려 있지 않은 한유 작품 13편이 수록되어 있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은 갑진자가 주조된 1484년(성종 15)에서 申公齊가 평양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1532년(중종 27)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에는 한유의 작품 88편 중 67편에 주석이 달려있다. 그중 『문장정종』의 주석은 4편에 불과하고, 나머지 주석들은 『주문공교창려선생집』, 『고문관건』, 『문장궤범』, 『고문진보』, 『문선심결』 등에서 문장의 형식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놓았다. 또한 이 책에는 한유 작품 88편에 모두 사방득이 『문장궤범』을 편찬하면서 사용한 傍點이 찍혀있다. 일본관판본 『문장궤범』에는 ‘點’, ‘抹’, ‘撇’, ‘截’ 등을 의미하는 기호들이 사용되었는데, 이 책에는 그중 문장의 구조와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곳에 방점 두 개(ヽ, ◦)가 찍혀있다.
      중국에서 간행된 선집류는 크게 두 계통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최초의 시문선집으로 불리는 『문선』을 중심으로 한 ‘談文一派’의 선집류이고, 다른 하나는 진덕수가 『문장정종』을 편찬한 것을 계기로 출현한 ‘談理一派’의 선집류이다. 갑진자본 『한문정종』은 『문장정종』에 수록된 談理 중심의 한유 문장을 談文 중심의 문장교재로 재편해놓은 것이다. 조선에서 주자학이 토착 개화되어 가던 시기에 주희가 도학적 문학관에 기초해 교감한 한유 문장은 조선의 문인학자들이 고문의 전범으로 삼기에 적합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당시 한유의 문장을 고문으로 전범으로 인식했던 문인학자들에 의해 과거준비를 위한 문장교재로 널리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한문산문의 전개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철, "주희의 『韓文考異』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34 : 2003

      2 孫昭, "국역 襄敏公集" 동강서원 1982

      3 정재철, "고문진보 연구" 문예원 2014

      4 "韓文正宗(목판본)"

      5 "韓文正宗(목판본)"

      6 "韓文正宗(목판본)"

      7 "韓文正宗(갑진자본)"

      8 "韓文正宗(갑진자본)"

      9 "韓文正宗(갑진자본)"

      10 李東歡,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1982

      1 정재철, "주희의 『韓文考異』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34 : 2003

      2 孫昭, "국역 襄敏公集" 동강서원 1982

      3 정재철, "고문진보 연구" 문예원 2014

      4 "韓文正宗(목판본)"

      5 "韓文正宗(목판본)"

      6 "韓文正宗(목판본)"

      7 "韓文正宗(갑진자본)"

      8 "韓文正宗(갑진자본)"

      9 "韓文正宗(갑진자본)"

      10 李東歡,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1982

      11 李滉, "退溪集" 한국고전번역원

      12 劉剡, "詳說古文眞寶大全後集"

      13 劉剡, "詳說古文眞寶大全後集"

      14 金詮, "續東文選" 한국고전번역원

      15 謝枋得, "疊山先生文章軌範"

      16 李德馨, "漢陰先生文稿 권12" 한국고전번역원

      17 河受一, "松亭先生文集" 한국고전번역원

      18 謝枋得, "文章軌範"

      19 眞德秀, "文章正宗"

      20 眞德秀, "文章正宗"

      21 眞德秀, "文章正宗"

      22 樓昉, "崇古文訣"

      23 永瑢, "四庫全書總目"

      24 黃堅, "善本大字諸儒箋解古文眞寶"

      25 呂祖謙, "古文闗鍵"

      26 黃虞稷, "千頃堂書目"

      27 魏仲擧, "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28 金崙壽, "『詳說古文眞寶大全』과 『批點古文』" 중국어문학회 15 : 1988

      29 김윤조, "15세기 산문의 양상과 김종직의 古文倡導"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4) : 191-21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