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0432
-
2013년
Korean
고령층 ; communication ability ; elderly ; language ; questionnaire ; evaluation ; hearing ; speech ; tablet-device ; white matter change ; screening ; aging ; 의사소통능력 ; 평가 ; 태블릿디바이스 ; 언어 ; 말 ; 음성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
연구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제이다. 또한, 그 어려움은 본인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자에 의해서도 가장 쉽게 인식될 수 있다. 고령화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 언어, 말과 음성, 청각 등의 변화는 신체의 상태가 감퇴되면서 수반되는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평가하는 일은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고령자들을 판별해내는 ‘중재’의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태블릿 디바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활용한 다중양식적 평가가 가능하다. 둘째, 평가 기기의 이동성이 증대되어 검사자와 피검자 간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셋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연구 방법: 1차년도에서는 평가 프로토콜의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졌다. 단계적으로는 관련 문헌 조사, 평가 문항의 개발, 프로그램 사양 조사가 행해졌다. 2차년도에서는 487명의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문항 축약,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구축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차년도의 결과로는 관련 문헌 조사 및 평가 문항의 개발 측면에서 다음이 포함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정보 및 사전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둘째, '말/음성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에 속하는 본 평가의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말/음성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모음 연장 발성', 'DDK', 단모음, 이중모음, 자음, 문단읽기, 그림설명하기, 자발화, 따라말하기, 숫자세기, 노래하기 등이다. 언어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사물이름대기, 동사이름대기, 동물이름대기, 단어정의하기, 청각적 이해력 검사 등이다. 인지 영역에는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화용 등의 하위검사가 포함되었다. 2차년도에서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에서 말/음성, 언어, 인지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 요인이 검사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에 따라 문항 축소를 실시하였고, 최종의 문항들로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이 구축되었다. 프로그램 구축은 문항 등록/관리, 문항 다운로드, 검사 결과 업로드, 자료 추출/ 분석을 통한 융합적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Purpose: Communication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re included as daily activiti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bility occur not only in geriatric patients but only in normal aging people. In addition, the difficulti...
Background & Purpose: Communication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re included as daily activiti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bility occur not only in geriatric patients but only in normal aging people.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are recognized by the elderly themselves as well as conversation partners. With aging, we observe changes in cognition, language, voice, speech, and hear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and differentiate the abnormal elderly amon elderly people. Thus,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protocol using a tablet device for communication ability for elderly.
Methods: First, we developed contents of the evaluation protocol via literature review, item development, and program specification. Second, we administered the evaluation protocol to 487 normal elderly;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app program was built based on the paper-pencil version of the evaluation protocol
Results: In both paper-pencil and app program version, five sections were included. First, client information,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disease history, health behaviors,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daily living, and language history, was included. Second, pre-evaluation items to evaluate vision, hearing, motor literacy, dep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