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8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활속요가 고대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논거는 납득하기 어려운, 근거가 희박한 주장일 뿐이다. 무엇보다도 이들이 예로 든 생활속요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특별한 노래 장르로서 생활속요는 19세기 전반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개별적인 생활속요의 표본들이 있었을 뿐이다. 생활속요의 원형이라 칭할 수 있는 짧은 노래들은 독립적인 장르를 이루지 못하고 춤곡, 제례곡, 동요 등과 같은 노래의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져 있었다.
      18세기와 19세기 초반의 다양한 노래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더욱 분명한 것은 독립적인 장르로서 생활속요는 이 시기에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자료들이 보여주듯, 생활속요가 중앙 러시아의 다양한 곳곳에서 출현한 것은 1850~60년대 즈음이다. 2행에서 12행까지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진 익살맞은 내용의 짧은 노래들은 그 당시 다른 수많은 노래들에서 분리되고, 민중은 이 노래들을 특별한 장르로 인식한다.
      이렇듯, 자료들은 생활속요가 대략 19세기 중반부터 구비문학의 특별한 노래 장르로서 민중에게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50년대에는 이 노래들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생활속요는 1860, 7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그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다. 생활속요 출현 시기에 대한 이 같은 결론과 생활속요를 특별한 노래 형태로서 민중이 인식하기 시작한 사실은 현대인들의 증언에 의해 확인된다.
      생활속요는 다른 민요 장르들보다 구비문학의 즉흥적이고 즉시적인 성격을 훨씬 강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생활속요의 특성에 대해서는 초기 채록가들과 연구자들이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생활속요의 내용은 대단히 다면적이고 다각적이며, 생활속요에서 표현된 생각, 감정, 기분은 대단히 다양하다. 생활속요는 노래하는 자의 마음을 불안하게 했거나 단순히 살면서 느낀 것들이나 일상생활에서 생활속요 청취자들이 흥미로워하는 이야기들이나 예외 없이 모든 것을 노래했다. 생활속요의 대중적 호응은 인간 개인의 생각과 감정의 표현인 동시에 사회적인 공감이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들이, 생활속요의 구조가 전통적인 서정 노래들로부터 기계적으로 생겨난 것이라는 주장은 잘못되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생활속요의 일부 구성 방식은 태생적으로 전통 노래들과 약간의 연관성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 부분’, 그리고 특히 ‘두 부분’ 생활속요들에서 소재를 노래에 녹여내는 구성법의 대부분은 생활속요가 서정 노래형식과는 다른 독립적 장르로서 독창성과 시적 혁신성을 가진다고 증거하고 있다.
      번역하기

      생활속요가 고대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논거는 납득하기 어려운, 근거가 희박한 주장일 뿐이다. 무엇보다도 이들이 예로 든 생활속요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특별한 노래 장...

      생활속요가 고대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논거는 납득하기 어려운, 근거가 희박한 주장일 뿐이다. 무엇보다도 이들이 예로 든 생활속요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특별한 노래 장르로서 생활속요는 19세기 전반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개별적인 생활속요의 표본들이 있었을 뿐이다. 생활속요의 원형이라 칭할 수 있는 짧은 노래들은 독립적인 장르를 이루지 못하고 춤곡, 제례곡, 동요 등과 같은 노래의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져 있었다.
      18세기와 19세기 초반의 다양한 노래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더욱 분명한 것은 독립적인 장르로서 생활속요는 이 시기에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자료들이 보여주듯, 생활속요가 중앙 러시아의 다양한 곳곳에서 출현한 것은 1850~60년대 즈음이다. 2행에서 12행까지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진 익살맞은 내용의 짧은 노래들은 그 당시 다른 수많은 노래들에서 분리되고, 민중은 이 노래들을 특별한 장르로 인식한다.
      이렇듯, 자료들은 생활속요가 대략 19세기 중반부터 구비문학의 특별한 노래 장르로서 민중에게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50년대에는 이 노래들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생활속요는 1860, 7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그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다. 생활속요 출현 시기에 대한 이 같은 결론과 생활속요를 특별한 노래 형태로서 민중이 인식하기 시작한 사실은 현대인들의 증언에 의해 확인된다.
      생활속요는 다른 민요 장르들보다 구비문학의 즉흥적이고 즉시적인 성격을 훨씬 강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생활속요의 특성에 대해서는 초기 채록가들과 연구자들이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생활속요의 내용은 대단히 다면적이고 다각적이며, 생활속요에서 표현된 생각, 감정, 기분은 대단히 다양하다. 생활속요는 노래하는 자의 마음을 불안하게 했거나 단순히 살면서 느낀 것들이나 일상생활에서 생활속요 청취자들이 흥미로워하는 이야기들이나 예외 없이 모든 것을 노래했다. 생활속요의 대중적 호응은 인간 개인의 생각과 감정의 표현인 동시에 사회적인 공감이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들이, 생활속요의 구조가 전통적인 서정 노래들로부터 기계적으로 생겨난 것이라는 주장은 잘못되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생활속요의 일부 구성 방식은 태생적으로 전통 노래들과 약간의 연관성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 부분’, 그리고 특히 ‘두 부분’ 생활속요들에서 소재를 노래에 녹여내는 구성법의 대부분은 생활속요가 서정 노래형식과는 다른 독립적 장르로서 독창성과 시적 혁신성을 가진다고 증거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생활속요의 기원
      • 3. 생활속요의 구조적 특성
      • 4. 맺음말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생활속요의 기원
      • 3. 생활속요의 구조적 특성
      • 4. 맺음말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Клагге И. О, "композиции частушки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Л"

      2 Новгород, "губ. ведомости"

      3 Рукописныйотдел Госуд, "библиотеки им. В.И,Ленина(Москва), Архив П.В.Киреевского,Ф-125, папка No.17, л. 4454"

      4 Аникин В.П, "Традиции жанра как критерий фольклорности в современном творчестве(частушки и пословицы)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М., ; Л."

      5 Колпакова Н.П, "Типы народной частушки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М., Л"

      6 "Современник. 1864, Т.111"

      7 Варенцов В, "Сборник песен Самарского край. Спб"

      8 Елеонская Е.Н, "Сборник великорусских частушек. М"

      9 Симаков В.И, "Сборние деревенскиех частушек. Ярославль"

      10 Соколов Ю.М, "Русскийфольклор. Учпедгиз, М"

      1 Клагге И. О, "композиции частушки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Л"

      2 Новгород, "губ. ведомости"

      3 Рукописныйотдел Госуд, "библиотеки им. В.И,Ленина(Москва), Архив П.В.Киреевского,Ф-125, папка No.17, л. 4454"

      4 Аникин В.П, "Традиции жанра как критерий фольклорности в современном творчестве(частушки и пословицы)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М., ; Л."

      5 Колпакова Н.П, "Типы народной частушки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М., Л"

      6 "Современник. 1864, Т.111"

      7 Варенцов В, "Сборник песен Самарского край. Спб"

      8 Елеонская Е.Н, "Сборник великорусских частушек. М"

      9 Симаков В.И, "Сборние деревенскиех частушек. Ярославль"

      10 Соколов Ю.М, "Русскийфольклор. Учпедгиз, М"

      11 Шейн П.В,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М"

      12 Лазутин С.Г, "Русская частушка. Вопросы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жанра.Воронеж"

      13 Позднев А.Б, "Рукописные песенники XVII-XVIII веков. <Ученые записки Московскогогосуд. заочного пединститута>, т.1. М"

      14 Лазутин С.Г, "Р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М"

      15 СоболевскийА.И, "Рецензия на брошюру Д.Зеленина Новые веяния в народнойпозии .М., 1901. (Литературныйвестник, 1902)"

      16 Дикарев М.А, "Пословицы, поговорки, припевы и поверья Воронежской губернии. Воро-нежский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Вороенж"

      17 Даль В.И, "Пословицы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М"

      18 Пругавин А, "Песни современнойдеревни. Русские ведомости"

      19 Зеленин Д, "Песни деревенско молодежи. Вятка"

      20 "Памятная книга Воронежской губернии за 1913 год. Воронеж"

      21 А.Балов, "Одна из современных форм народ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Ярослав. губ. ведомости>"

      22 ЧеканинскийИв, "О частушках Енисейскойгубернии. Сибирскийархив"

      23 Власова З.И, "О приемах компазиции в частушке // Русский фольклор. М., Л"

      24 УспенскийГ, "Новые народные стишки(из деревенских заметок)//Соч"

      25 Падучев А, "Новые деревенские песни. Тамбов. губ. ведомости"

      26 Львов И.Я, "Новое время - новые песни. Устюг"

      27 "Литературное обозрение"

      28 Ухов П.Д, "Кто и как сочиняет частушки в советское время? // Вопросы литературы"

      29 Пальчиков Н, "Крестьянские песни, записанные в с. Николаевке Мензелинского уезда,Уфимскойгуб. Н.Пальчиковым. Спб"

      30 "ГИМ, Ф-440, ед. хр"

      31 СоболевскийА.И, "Велико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Спб"

      32 Шейн П.В, "Великорусс в своих песнях, обрядах, обычаях, верованиях, сказках, легендах ит. п. Материалы, собранные и приведенные в порядок П.В.Шейном, Т.1, В.1,Спб"

      33 Терещенко А, "Быт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В семи частях. Спб"

      34 Аничков Е.В, "Бороздни А.К. Овсянико-КуликовскийД.Н. История русскойлитературы.Т.1, Вып.1-5, 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