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Genet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relationship of the Jindo by polymorphism analysis of microsatellites = Microsatellite의 다형(polymorphism)분석을 이용한 진도개의 유전적 특성 및 개체간 상관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608276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수의학과 , 2000. 2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36.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45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고홍범
        참고문헌포함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indoes are Korean native dogs of fine characters, which was nominated as national natural monument #53 in recognition of its value of genetic resource. Their purity has been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till today, but the classical breeding method is based on physical observation of adult dogs. Therefore, the major aims of this experiment were to investigat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an automated approach to genotyping of the Jindoes for parentage verification using microsatellite polymorphisms.
      Microsatellite markers are distributed randomly throughout the genome and many are highly polymorphic. The technique of microsatellite polymorphism analysis using a fluorescence-based automated DNA fragment analyser was developed and used to estimate genetic relationships amongst 194 dogs, including 115 Jindoes bred in Jindo county, 59 Jindoes bred outside the county and 20 Japanese native dogs. we selected nine microsatellite marker on the basis of their reliability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polymorphism content with which alleles can be scored automatically by the Genotyper^TM program. By examing allelic variation at microsatellite loci, Dinucleotide microsatellite markers 134, 137, RVC1 and RVC8 were proved to be useful for studying the pedigree of the Jindo. The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is 8.5, 7.25 and 7.5 in the Jindo bred in Jindo county, the Jindo bred outside the county and Japanese native dogs, respectively. The value of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showing polymorphism within a breed is 0.697 in the Jindo bred in Jindo county, 0.627 in the Jindo bred outside the county and 0.695 in the Japanese native dogs. By examing allelic variation at four microsatellite loci 134, 137, RVC1 and RVC8, most the Jindo genetically similar each other. However, Although the Jindo is not different from the Japanese native dogs in the genetic relationship, two breeds of the Jindo and Japanese native dogs differ in their allele frequency distributions for all microsatellite markers that were polymorphic in tested breeds. Consequently, four canine microsatellite loci 134, 137, RVC1 and RVC8 are proved to be useful for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relationship of the Jindo. Especially, canine microsatellite loci 137, RVC8 are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genetic difference in the Jindo and Japanese nativedogs.
      번역하기

      The Jindoes are Korean native dogs of fine characters, which was nominated as national natural monument #53 in recognition of its value of genetic resource. Their purity has been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till today, but the classical breeding meth...

      The Jindoes are Korean native dogs of fine characters, which was nominated as national natural monument #53 in recognition of its value of genetic resource. Their purity has been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till today, but the classical breeding method is based on physical observation of adult dogs. Therefore, the major aims of this experiment were to investigat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an automated approach to genotyping of the Jindoes for parentage verification using microsatellite polymorphisms.
      Microsatellite markers are distributed randomly throughout the genome and many are highly polymorphic. The technique of microsatellite polymorphism analysis using a fluorescence-based automated DNA fragment analyser was developed and used to estimate genetic relationships amongst 194 dogs, including 115 Jindoes bred in Jindo county, 59 Jindoes bred outside the county and 20 Japanese native dogs. we selected nine microsatellite marker on the basis of their reliability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polymorphism content with which alleles can be scored automatically by the Genotyper^TM program. By examing allelic variation at microsatellite loci, Dinucleotide microsatellite markers 134, 137, RVC1 and RVC8 were proved to be useful for studying the pedigree of the Jindo. The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is 8.5, 7.25 and 7.5 in the Jindo bred in Jindo county, the Jindo bred outside the county and Japanese native dogs, respectively. The value of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showing polymorphism within a breed is 0.697 in the Jindo bred in Jindo county, 0.627 in the Jindo bred outside the county and 0.695 in the Japanese native dogs. By examing allelic variation at four microsatellite loci 134, 137, RVC1 and RVC8, most the Jindo genetically similar each other. However, Although the Jindo is not different from the Japanese native dogs in the genetic relationship, two breeds of the Jindo and Japanese native dogs differ in their allele frequency distributions for all microsatellite markers that were polymorphic in tested breeds. Consequently, four canine microsatellite loci 134, 137, RVC1 and RVC8 are proved to be useful for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relationship of the Jindo. Especially, canine microsatellite loci 137, RVC8 are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genetic difference in the Jindo and Japanese nativedo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진도개는 우리나라 고유의 동물이면서 우수한 품성을 가진 이유로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들의 순수성은 오늘날까지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으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점차 그 명성이 퇴색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외모에 의해서만 분류되고 있는 진도개의 순수성 확인과 유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전자 염기서열 자동분석기 (310 Genetic analyzer)를 이용하여 Microsatellite DNA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진도군청 진도개 보육관리소에 등록된 진도개 115마리, 진도개 품평회에서 입상한 다른 지역에서 사육되는 진도개 59마리, 그리고 일본토종개 20마리를 포함한 194마리를 대상으로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Microsatellite 탐침자들 가운데 134, 137, RVC1, RVC8의 4개 탐침자가 진도개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효하였다. 이 Microsatellite 탐침자들의 locus당 대립유전자 평균수는 진도군에서 사육되는 진도개는 8.5개, 품평회 입상견 7.25개였으며, 일본개는 7.5개였다. 다형성을 나타내는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값은 진도군에서 사육되는 진도개 0.697, 품평회 입상견 0.627, 그리고 일본개는 0.695였다. 진도개 집단은 대부분의 진도개들이 집단간 높은 유전적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진도개 집단은 일본 토종개 집단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대립유전자의 출현빈도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탐침자 134, 137, RVC1, RVC8은 진도개의 유전적 특성 및 개체간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유용한 표지인자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진도개는 우리나라 고유의 동물이면서 우수한 품성을 가진 이유로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들의 순수성은 오늘날까지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으나 체계적이고 과...

      진도개는 우리나라 고유의 동물이면서 우수한 품성을 가진 이유로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들의 순수성은 오늘날까지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으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점차 그 명성이 퇴색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외모에 의해서만 분류되고 있는 진도개의 순수성 확인과 유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전자 염기서열 자동분석기 (310 Genetic analyzer)를 이용하여 Microsatellite DNA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진도군청 진도개 보육관리소에 등록된 진도개 115마리, 진도개 품평회에서 입상한 다른 지역에서 사육되는 진도개 59마리, 그리고 일본토종개 20마리를 포함한 194마리를 대상으로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Microsatellite 탐침자들 가운데 134, 137, RVC1, RVC8의 4개 탐침자가 진도개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효하였다. 이 Microsatellite 탐침자들의 locus당 대립유전자 평균수는 진도군에서 사육되는 진도개는 8.5개, 품평회 입상견 7.25개였으며, 일본개는 7.5개였다. 다형성을 나타내는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값은 진도군에서 사육되는 진도개 0.697, 품평회 입상견 0.627, 그리고 일본개는 0.695였다. 진도개 집단은 대부분의 진도개들이 집단간 높은 유전적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진도개 집단은 일본 토종개 집단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대립유전자의 출현빈도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탐침자 134, 137, RVC1, RVC8은 진도개의 유전적 특성 및 개체간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유용한 표지인자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i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5
      • RESULTS = 12
      • DISCUSSION = 35
      • ABSTRACT = ii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5
      • RESULTS = 12
      • DISCUSSION = 35
      • REFERENCES = 39
      • 국문초록 =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