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류용 수산종묘의 질병 관리에 대한 고찰 = Aquatic animal health management in stock enhan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56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2009년도 방류 품종 (해면 품종 22종과 내수면 품종 11품종)을 대상으로 수산동물전염병의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총 12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방류를...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2009년도 방류 품종 (해면 품종 22종과 내수면 품종 11품종)을 대상으로 수산동물전염병의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총 12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방류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및 충청남도는 해면품종을 주로 방류하였으며, 경기도, 전라북도 및 충청북도는 내수면 품종을 많이 방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품종중에서 해산품종으로는 전복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 (15.2%), 넙치 (11.5%), 감성돔과 조피볼락 (6.8%), 꽃게 (5.6%), 돌돔 (5.1%), 볼락 (4.6%), 붉은쏨뱅이 (4.5%)로 나타났다. 내수면 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19.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뱀장어 (17.0%), 동자개 (12.3%), 다슬기 (12.0%), 메기 (8.4)의 순으로 검사 실적이 많았다. 총 33종의 품종을 대상으로 1,080회의 검사가 의뢰되었으며, 검사항목별로 2,066건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19건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koi herpesvirus (KHV) 또는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MAFF) and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have inspected the hatchery-reared seeds of 22 marine species and 11 freshwater species for aquatic animal diseases in stock enhanceme...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MAFF) and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have inspected the hatchery-reared seeds of 22 marine species and 11 freshwater species for aquatic animal diseases in stock enhancement program in 2009. Results showed that total 12 local self-governments have been restocking the sea with cultured juveniles. Gyeongsangnam-do, Jeollanam-do, Jejudo and Chungcheongnam-do have a preference for marine species seeds to freshwater species. On the contrary, freshwater species were released mostly in Gyeonggi-do, Jeollabuk-do and Chungcheongbuk-do. In the marine species group, abalone was the most abundant as (24.5%, and then sea cucumber (15.2%), olive flounder (11.5%), swimming crab (5.6%), black sea bream and rockfish (6.8%), rock bream (5.1%), black rockfish (4.6%) and scorpionfish (4.5%) were followed. Crucian carp was the most abundant as 19.4%, and then eel (17.0%), Korean bullhead (12.3%), melanian snail (12.0%), catfish (8.4%) were followed in the freshwater species group. The total number of inspection cases in this study were 1,080 and disqualification cases were 19 by detection of aquatic animals pathogens such as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koi herpesvirus (KHV) or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수, "진해만 잠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방류산 볼락(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 42 (42): 73-77, 2009

      2 정달상, "종묘방류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지역집단의 유전학적 구조" 한국어류학회 20 (20): 156-162, 2008

      3 정달상, "종묘방류 해역에서 채집된 참전복의 microsatellte marker에 의한 유전 다양성 및 집단구조" 한국수산과학회 41 (41): 466-470, 2008

      4 이해영,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33 : 137-142, 2000

      5 노재구, "유전적 다양성이 고려되지 않은 어미 관리에 의한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 한국어류학회 20 (20): 248-254, 2008

      6 김광수, "울산 연안의 전복 방류사업에 대한 경제적 효과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8 (18): 261-271, 2006

      7 황진욱, "수산종묘방류사업의 경제성 평가" 한국수산경영학회 36 (36): 121-138, 2005

      8 노충환, "세화학물질,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Alizarin red S 및 Calcein의 침지처리에 의한 조피볼락 치어의 비늘 표지" 12 : 237-245, 1999

      9 김근식, "새우 양식장 주변 생물의 흰점바이러스 보유율 및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에 대한 흰점바이러스 전달 효과" 한국어병학회 22 (22): 15-21, 2009

      10 김종경, "대하새우로부터 분리한 WSBV의 게놈서열의 분석" 10 : 87-95, 1997

      1 김광수, "진해만 잠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방류산 볼락(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 42 (42): 73-77, 2009

      2 정달상, "종묘방류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지역집단의 유전학적 구조" 한국어류학회 20 (20): 156-162, 2008

      3 정달상, "종묘방류 해역에서 채집된 참전복의 microsatellte marker에 의한 유전 다양성 및 집단구조" 한국수산과학회 41 (41): 466-470, 2008

      4 이해영,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33 : 137-142, 2000

      5 노재구, "유전적 다양성이 고려되지 않은 어미 관리에 의한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 한국어류학회 20 (20): 248-254, 2008

      6 김광수, "울산 연안의 전복 방류사업에 대한 경제적 효과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8 (18): 261-271, 2006

      7 황진욱, "수산종묘방류사업의 경제성 평가" 한국수산경영학회 36 (36): 121-138, 2005

      8 노충환, "세화학물질,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Alizarin red S 및 Calcein의 침지처리에 의한 조피볼락 치어의 비늘 표지" 12 : 237-245, 1999

      9 김근식, "새우 양식장 주변 생물의 흰점바이러스 보유율 및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에 대한 흰점바이러스 전달 효과" 한국어병학회 22 (22): 15-21, 2009

      10 김종경, "대하새우로부터 분리한 WSBV의 게놈서열의 분석" 10 : 87-95, 1997

      11 유진형, "가막만 방류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초기 적응" 한국수산과학회 36 (36): 365-371, 2003

      12 Nakano, H, "Valuation Basis of Artificial Fish Fry. in: Condition of Healthy Seeding and Technics of Culture" Kouseigaku 9-18, 1993

      13 Choi, D.L., "Ultrastructural identification of herpes-like virus infection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in Korea" 61 : 165-168, 2004

      14 Do, J.W., "Sequence variation in the gene encoding the major capsid protein of Korean fish iridoviruses" 150 : 351-359, 2005

      15 Bell, J.D., "Restoking and stock enhancement of coastal fisheries: Potential, problems and progress" 80 : 1-8, 2006

      16 Tsukamoto, K, "Quality of fish for release. in: Healthy fry for release and their production techniques" Koseisya Koseikaku 102-113, 1993

      17 Fushimi, H., "Production of juvenile marine finfish for stock enhancement in Japan" 200 : 33-53, 2001

      18 "OIE 2009: White spot disease. In: Manual of diagnostic tests for aquatic animals" World animal health organization 121-122, 2009

      19 Kang. J.H.,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broodstock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llivaceus (Temmink and Schlegel)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37 : 701-707, 2006

      20 Kitada, S, "Effectiveness of Japan's stock enhancement programs: current perspectives. in: Stock enhancement and sea ranching" Fishing News Books 103-131, 1999

      21 Kawakami, H., "Cultured fish species affected by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from 1996 to 2000" 37 : 45-47, 2002

      22 MOMAF, "Annual report of fisheries in Korea" 324 : 77-78, 2007

      23 Bartley, D.M., "A risk analysis framework for aquatic animal health management in marine stock enhancement programmes" 80 : 28-36, 2006

      24 조미영, "2008년 우리나라 연근해산 어류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한국어병학회 22 (22): 75-8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