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 경기도 지역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7523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교학점제는 학점제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희망하는 진로·진학과 관련하여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경기도 지역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음악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교사 인식을 조사하여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교학점제는 제도 도입의 과도기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상의 여러 변화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의 혼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제도 및 선택 과목의 안내와 교사의 전문성 증진, 체계적인 학생 관리 방안 마련,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지원 확대를 제안하였다.
      둘째, 음악 교과와 대학 입시 제도와의 연계가 강화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교과의 성적을 대학 입시제도에 반영하는 두 가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감상과 비평>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재구성 방향과 이수 권장 및 가능 시기의 조정을 제안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존중하되 일정한 기준을 설정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단일 편성으로 시수를 부여하고 음악 선택 과목 안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과 원만한 협의를 위한 교사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의 사례 조사 및 교사 인식에 대한 교육 현장의 직접적인 경험이 담긴 연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고교학점제의 2023년 단계적 도입과 2025년 전면 도입에 따른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져 성공적으로 음악과의 고교학점제가 운영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고교학점제는 학점제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희망하는 진로·진학과 관련하여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경기도 지역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음...

      고교학점제는 학점제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희망하는 진로·진학과 관련하여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경기도 지역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음악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교사 인식을 조사하여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교학점제는 제도 도입의 과도기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상의 여러 변화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의 혼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제도 및 선택 과목의 안내와 교사의 전문성 증진, 체계적인 학생 관리 방안 마련,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지원 확대를 제안하였다.
      둘째, 음악 교과와 대학 입시 제도와의 연계가 강화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교과의 성적을 대학 입시제도에 반영하는 두 가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감상과 비평>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재구성 방향과 이수 권장 및 가능 시기의 조정을 제안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존중하되 일정한 기준을 설정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단일 편성으로 시수를 부여하고 음악 선택 과목 안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과 원만한 협의를 위한 교사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의 사례 조사 및 교사 인식에 대한 교육 현장의 직접적인 경험이 담긴 연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고교학점제의 2023년 단계적 도입과 2025년 전면 도입에 따른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져 성공적으로 음악과의 고교학점제가 운영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lows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curriculum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career plans. This study conducted FGI interviews with six music teachers who worked for a year or longer at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and assess how the system is perceived by music teachers, so as to derive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aused some confusion because it is still in a period of transition and brings many changes to existing policies. This study propo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ystem and subject selection,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velop measures for systematic student management, and expand support in consideration of feedback from teacher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music curriculum and university entrance exam. Two measures were proposed to reflect high school music grades in university admissions.
      Third,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subject, recommendation of subject completion, and adjustment of possible completion period.
      Fourth, subject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while respecting students’ right to choose their own subjects. The proposed measures were to assign credit hours solely to music subjects, grant student autonomy within the scope of music electives, and for teachers to exert efforts to provide related consul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ssessing the act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ing phased in in 2023 and fully implemented in 2025,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ollow-up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번역하기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lows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curriculum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career plans. This study conducted FGI interviews with six music teachers who worked for a year or longer at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lows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curriculum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career plans. This study conducted FGI interviews with six music teachers who worked for a year or longer at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and assess how the system is perceived by music teachers, so as to derive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aused some confusion because it is still in a period of transition and brings many changes to existing policies. This study propo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ystem and subject selection,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velop measures for systematic student management, and expand support in consideration of feedback from teacher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music curriculum and university entrance exam. Two measures were proposed to reflect high school music grades in university admissions.
      Third,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subject, recommendation of subject completion, and adjustment of possible completion period.
      Fourth, subject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while respecting students’ right to choose their own subjects. The proposed measures were to assign credit hours solely to music subjects, grant student autonomy within the scope of music electives, and for teachers to exert efforts to provide related consul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ssessing the act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ing phased in in 2023 and fully implemented in 2025,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ollow-up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제한점 4
      • II. 이론적 배경 5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제한점 4
      • II. 이론적 배경 5
      • 1. 고교학점제 5
      • 1) 고교학점제 도입 배경 5
      • 2)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13
      • 2.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17
      • 1) 음악과의 교과 17
      • 2) 음악과의 평가 22
      • 3) 고교학점제 관련 음악과의 선행연구 25
      • III. 연구 방법 33
      • 1. 연구 대상 33
      • 2. 연구 내용 및 방법 37
      • 1) 연구 방법 37
      • 2) 연구 도구 38
      • 3) 자료 분석 42
      • 3. 연구 절차 46
      • IV. 연구 결과 48
      • 1. 경기도 지역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분석 48
      • 1) 교원 연수 프로그램 48
      • 2)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55
      • 3) 학교 특색 프로그램 64
      • 2. 음악 교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분석 74
      • 1) 수업 기획 74
      • 2) 수업 진행 79
      • 3) 수업 평가 92
      • 4) 수업 지원 102
      • 3. 고교학점제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 106
      • 1) 교육과정 운영 106
      • 2) 음악 선택 과목 113
      • 3) 음악교사의 교수 역량 120
      • 4) 교사의 업무 부담 124
      • 5) 고교학점제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 125
      • V. 결론 및 제언 129
      • 참고문헌 135
      • 부록 140
      • Abstract 1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