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과제와 방향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복지주체의 활동쟁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29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해 고민해야 할 과제와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여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성...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해 고민해야 할 과제와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여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시점에서 이것이 작동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현장의 쟁점을 검토하여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한 방향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복지주체간의 활동 쟁점을 사회복지 관련 계획, 각종 위원회, 사회서비스로 나누어 검토해 본 결과, 지자체의 주도적·통합적 역할과 관련한 무기력함, 지자체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의지 부족, 복지사업 담당인력 기획능력 및 전문성 부족, 공공영역 내 및 민·관간의 협의 조정 능력 부족, 민·관의 기능과 역할 중복·누락, 연계·협력 미비, 민간영역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도성 부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의 방향을 복지권에 대한 지방정부의 실질적인 책임 및 권한 강화,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역량 제고, 민․관의 역할 명료화와 상보적 협력, 민간영역의 적극적인 지역사회복지사업 참여와 주도로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derive the tasks and directions to be elaborated for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An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derive the tasks and directions to be elaborated for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And, at the present time, this study examined issues i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field where this is working, and derived the tasks. And on the basis of this, the directions for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presente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issues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among the social welfare related plans, various committees and social servi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helplessness associated with the dominant and integrated role of local governments, lack of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of local governments" community social welfare, lack of welfare project personnel inadequate planning ability and expertise, lack of public‐private coordination within the public domain, duplication and omission of public·private functions and roles, lack of succession and cooperation, and lack of active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in the private sector, etc.
      Based on these task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strengthening the practical responsibilities and powers of local governments on social welfare rights, strengthening the social welfar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clarification of public‐private roles and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private sector’s active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of community social welf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지역사회 복지주체의 활동쟁점과 과제
      • Ⅳ.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방향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지역사회 복지주체의 활동쟁점과 과제
      • Ⅳ.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방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