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시 섬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2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섬 정책 패러다임은 단순 개발에서 보전과 발전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인천시의 섬 정책 영역과 섬 활성화 사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섬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제안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에서는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을 ‘인천시 섬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행정기관과 지역사회 사이를 연결하며, 섬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추진을 위한 통합지원조직’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중간지원조직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인천시 섬 활성화 사업 추진 경험이 있는 행정기관,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범주화 결과,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관련 주체 역량 강화, 사업 지원 및 컨설팅, 네트워킹 및 중개, 조사 · 연구 및 모니터링 4개 분야의 11개 세부 역할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관련 주체 역량 강화는 지역주민 인식개선 및 역량강화 교육 필요, 사업지원 행정기관의 전문성 강화, 섬 활성화 사업 추진 주체 발굴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사업 지원 및 컨설팅은 섬 활성화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상담 창구 마련, 섬 활성화 관련 정책 및 사업 발굴 · 지원 역할이 강조되었다. 네트워킹 및 중개는 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필요 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등의 중개와 관련 이해관계자 간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촉진 역할이 제안되었다. 조사 · 연구 및 모니터링은 섬별 기초자료 조사 및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 수립, 섬 활성화 사업의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 개발, 사업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지원 역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 단위의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개념을 체계화하고, 인천시 섬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섬 정책 패러다임은 단순 개발에서 보전과 발전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인천시의 섬 정책 영역과 섬 활성화 사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섬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섬 정책 패러다임은 단순 개발에서 보전과 발전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인천시의 섬 정책 영역과 섬 활성화 사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섬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제안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에서는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을 ‘인천시 섬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행정기관과 지역사회 사이를 연결하며, 섬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추진을 위한 통합지원조직’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중간지원조직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인천시 섬 활성화 사업 추진 경험이 있는 행정기관,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범주화 결과, 인천시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관련 주체 역량 강화, 사업 지원 및 컨설팅, 네트워킹 및 중개, 조사 · 연구 및 모니터링 4개 분야의 11개 세부 역할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관련 주체 역량 강화는 지역주민 인식개선 및 역량강화 교육 필요, 사업지원 행정기관의 전문성 강화, 섬 활성화 사업 추진 주체 발굴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사업 지원 및 컨설팅은 섬 활성화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상담 창구 마련, 섬 활성화 관련 정책 및 사업 발굴 · 지원 역할이 강조되었다. 네트워킹 및 중개는 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필요 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등의 중개와 관련 이해관계자 간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촉진 역할이 제안되었다. 조사 · 연구 및 모니터링은 섬별 기초자료 조사 및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 수립, 섬 활성화 사업의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 개발, 사업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지원 역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 단위의 섬 활성화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개념을 체계화하고, 인천시 섬활성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adigm of island policy is changing from development to preservation and advancement. In addition, the need for intermediary organization as a new approach for the island invigoration policy is emerging while the scope of Incheon’s island policy and the island invigoration project have expand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ole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In this study,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are defined as "integrated support organizations for stable and professional implementation of island invigorating policies and projects and for connecting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communities for the process of island Invigorating policies and projects in Incheon." Also,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were conducted and interviewed with stakeholders such as the administrative agencies with the experience of promoting Incheon island invigoration projects, local residents, related agencies, and so fo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oles of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are given as eleven roles in four categories including, reinforcing capabilities of stakeholders, support and consulting on projects, networking and intermediation, and, research and monitoring.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invigorating islands at the local level and suggested the roles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번역하기

      The paradigm of island policy is changing from development to preservation and advancement. In addition, the need for intermediary organization as a new approach for the island invigoration policy is emerging while the scope of Incheon’s island poli...

      The paradigm of island policy is changing from development to preservation and advancement. In addition, the need for intermediary organization as a new approach for the island invigoration policy is emerging while the scope of Incheon’s island policy and the island invigoration project have expand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ole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In this study,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are defined as "integrated support organizations for stable and professional implementation of island invigorating policies and projects and for connecting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communities for the process of island Invigorating policies and projects in Incheon." Also,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were conducted and interviewed with stakeholders such as the administrative agencies with the experience of promoting Incheon island invigoration projects, local residents, related agencies, and so fo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oles of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are given as eleven roles in four categories including, reinforcing capabilities of stakeholders, support and consulting on projects, networking and intermediation, and, research and monitoring.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invigorating islands at the local level and suggested the roles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invigorating islands in Inche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 및 범주화 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 및 범주화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식경제부,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2 김재현,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3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7

      4 김귀분, "질적 연구방법론" 현문사 2005

      5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아카데미 2011

      6 김지헌, "중간지원조직과 거버넌스" 희망제작소 (5) : 2016

      7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8 강내영, "일본 시민사회의 꽃, NPO 지원센터를 가다" 희망제작소 2008

      9 심진범, "인천시 섬 관광 활성화 여건 진단 지표 및 매뉴얼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15

      10 심진범, "섬 활성화 정책과 중간지원조직" 2018

      1 지식경제부,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2 김재현,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3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7

      4 김귀분, "질적 연구방법론" 현문사 2005

      5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아카데미 2011

      6 김지헌, "중간지원조직과 거버넌스" 희망제작소 (5) : 2016

      7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8 강내영, "일본 시민사회의 꽃, NPO 지원센터를 가다" 희망제작소 2008

      9 심진범, "인천시 섬 관광 활성화 여건 진단 지표 및 매뉴얼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15

      10 심진범, "섬 활성화 정책과 중간지원조직" 2018

      11 관계부처 합동, "섬 발전 추진대책"

      12 마상진,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과 네트워크 활성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3 김태영, "사회적경제 영역의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 분석: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정부학연구소 22 (22): 81-125, 2016

      14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 안정화 방안 및 발전전략 연구" 2016

      15 유정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과제" 1 (1): 2013

      16 박세훈,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연구:정부-시민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국토연구원 2014

      17 심익섭, "기업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자원봉사센터 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6 (16): 209-229, 2015

      18 고재경,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19 内閣府, "中間支援組織の現状と課題に関する調査報告書" 2002

      20 Briggs, Xavier de Souza, "Working the Middle:Roles and Challenges of Intermediaries"

      21 RISO, "The Role of Intermediary Support Structures in Promotion Third System Employment Activities at Local Level"

      22 Sanyal, P., "Capacity Building Through Partnership:Intermediar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s Local and Global Actors" 35 (3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5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