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IMF 관리체제하에서의 농촌주민 삶의 질 = 기업적 경영농가와 일반농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41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IMF관리체제에 놓이면서 농촌주민들의 삶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에 의하면, 6가지 삶의 질 영역 가운데 ‘지역사회 참여’ 부문만이 이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족생활 영역은 외환위기 이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4가지 삶의 질 영역은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은 가장 악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생활, 여가생활, 그리고 직업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촌주민 가운데 일반농가와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변화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직업만족과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생활, 경제생활,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장 대조적인 차이는 가족생활 영역을 제외한 사회적 형평성 인식,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경제생활 영역에서 발견되는데,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하락이 일반농가보다 더욱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998년 초반부터 시작된 IMF의 한국경제 개입이 농촌지역 주민들 가운데서도 기업적 경영농가에게 보다 부정적 영향을 미쳐 삶의 질 수준을 크게 악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IMF의 한국경제 개입 이후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한 결과,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응답자의 농업유형, 소득변화, 현재의 계층지위, 그리고 현재 보증 총액 등이었다. 다시 말해서, 기업적 경영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 감소한 사람일수록, 계층지위가 하락한 사람일수록, 그리고 보증 총액이 많은 사람일수록, 삶의 질 하락이 더욱 심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응답자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현재의 소득, 부채 규모 등은 삶의 질 하락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IMF관리체제에 놓이면서 농촌주민들의 삶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에 의하면, 6가지 삶의 ...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IMF관리체제에 놓이면서 농촌주민들의 삶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에 의하면, 6가지 삶의 질 영역 가운데 ‘지역사회 참여’ 부문만이 이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족생활 영역은 외환위기 이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4가지 삶의 질 영역은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은 가장 악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생활, 여가생활, 그리고 직업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촌주민 가운데 일반농가와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변화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직업만족과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생활, 경제생활,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장 대조적인 차이는 가족생활 영역을 제외한 사회적 형평성 인식,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경제생활 영역에서 발견되는데,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하락이 일반농가보다 더욱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998년 초반부터 시작된 IMF의 한국경제 개입이 농촌지역 주민들 가운데서도 기업적 경영농가에게 보다 부정적 영향을 미쳐 삶의 질 수준을 크게 악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IMF의 한국경제 개입 이후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한 결과,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응답자의 농업유형, 소득변화, 현재의 계층지위, 그리고 현재 보증 총액 등이었다. 다시 말해서, 기업적 경영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 감소한 사람일수록, 계층지위가 하락한 사람일수록, 그리고 보증 총액이 많은 사람일수록, 삶의 질 하락이 더욱 심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응답자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현재의 소득, 부채 규모 등은 삶의 질 하락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residents has declined after economic crisis in 1997. According to our data analysis, rural resi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rather than before the economic crisis, and their satisfaction of family life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However, all their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eir economic life, leisure lif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ve been seriously deteriorated since Korea’s economic crisi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of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with that of old subsistence farmers. We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have experienced the more serious decline in their economic lif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an the old subsistence farmers. That is, Korea’s economic crisis has had more serious effect on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and deteriorated their quality of life more seriously than that of the old subsistence farmers.
      Finally, we examined to what factors have contributed to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our regression data, the agricultural type of rural residents, their current class, income change, and their guaranteed money are all significant to the decline of the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However, the rural residents’ education, age, current income, and debt amount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line of their quality of life.
      번역하기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residents has declined after economic crisis in 1997. According to our data analysis, rural resi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ir community activiti...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residents has declined after economic crisis in 1997. According to our data analysis, rural resi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rather than before the economic crisis, and their satisfaction of family life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However, all their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eir economic life, leisure lif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ve been seriously deteriorated since Korea’s economic crisi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of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with that of old subsistence farmers. We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have experienced the more serious decline in their economic lif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an the old subsistence farmers. That is, Korea’s economic crisis has had more serious effect on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and deteriorated their quality of life more seriously than that of the old subsistence farmers.
      Finally, we examined to what factors have contributed to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our regression data, the agricultural type of rural residents, their current class, income change, and their guaranteed money are all significant to the decline of the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However, the rural residents’ education, age, current income, and debt amount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line of their quality of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경제위기와 삶의 질에 관한 문헌검토
      • Ⅲ. 자료분석 결과
      • Ⅳ.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경제위기와 삶의 질에 관한 문헌검토
      • Ⅲ. 자료분석 결과
      • Ⅳ.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