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한지형 마늘의 인경 발육 과정에서 내생 지베렐린류의 함량변화 = Changes in Endogenous Gibberellin Contents during Bulb Development Period in the Cold-type Cultivar of Garlic (Allium sativum L.)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7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늘의 안정적 수량 확보와 품질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늘의 인경 비대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지형 마늘의 인편 분화기에서 인편 비대 최성기까지 ...

      마늘의 안정적 수량 확보와 품질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늘의 인경 비대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지형 마늘의 인편 분화기에서 인편 비대 최성기까지 식물체내 호르몬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생육 특성과의 연관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늘 식물체(엽신과 엽초)의 GA 함량을 GC-MS로 동정한 결과 마늘 식물체에서 18종 이상의 GA를 확인하였다. GA 함량은 마늘에 고등식물체에서 주로 존재하는 두 생합성 경로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리활성 GA4를(7.25ng · g?¹ D.W.) 생합성 하는 non C-13 hydroxylation pathway(NCH)가 GA₁을(2.97ng · g?¹ D.W.) 생합성 하는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ECH) 보다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지형 의성마늘 인경 분화 및 비대 시 식물체내 호르몬 변화를 조사한 결과 total GA 함량은 인편 분화기부터 비대개시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인경이 비대되는 동안 점차 감소하였다. 생리활성 GA인 GA₄와 GA₁의 함량은 총 GA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여 인경 비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생장 양상과 엽초의 호르몬 변화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엽초의 호르몬 변화가 마늘 생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ytohormones in the bulbing of garlic in order to assess the yield and quality. The effect on endogenous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n (GA) content was also examined during growth stage i.e. c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ytohormones in the bulbing of garlic in order to assess the yield and quality. The effect on endogenous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n (GA) content was also examined during growth stage i.e. clove differentiation to bulbing in garlic. More than 18 gibberellins in garlic were identified with extensive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GAs were biosynthesized by both non C-13 hydroxylation pathway (NCH) and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ECH) in garlic plant. It was also revealed that NCH pathway leading to synthesis of bioactive GA₄ was the more prominent GA biosynthesis pathway than ECH pathway in which bioactive GA₁ was synthesized. Total GAs level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clove differentiation to bulbing and later decreased, which portrays the active role of GA in differentiation. The biosynthesis ratio of bioactive GA₄ and GA₁ concent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GAs content,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bulb development in gar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율균, "주아파종기를 이용한 마늘 주아재배법 확립" 한국원예학회 26 (26): 219-222, 2008

      2 남상식, "마늘의 구 비대기에 관수 수준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5 (25): 169-173, 2007

      3 조정은, "마늘 수확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한국원예학회 26 (26): 350-356, 2008

      4 김광수, "마늘 미숙주아로부터 적출한 생장점 배양을 통한 무병 종구 생산" 한국원예학회 24 (24): 441-446, 2006

      5 남상식, "남부지역에서 ‘남도’ 마늘 대립주아 파종시기 및 파종간격이 종구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3 (23): 265-268, 2005

      6 Walkey, D.G.A., "Production of virus-free garlic (Allium sativum L.) and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by meristem-tip culture" 62 : 211-220, 1987

      7 Lee, I.J., "Photoperiod control of gibberellin levels and flowering in Sorghum" 116 : 1003-1011, 1998

      8 MacMillan, J., "Occurrence of gibberellins in vascular plants, fungi, and bacteria" 20 : 387-442, 2002

      9 Wu, K., "Molecular cloning and photoperiod-regulated expression of gibberellin 20-oxidase from the long-day plant spinach.Plant Physiol.110:547-554" 110 : 547-554, 1996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coming data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1 안율균, "주아파종기를 이용한 마늘 주아재배법 확립" 한국원예학회 26 (26): 219-222, 2008

      2 남상식, "마늘의 구 비대기에 관수 수준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5 (25): 169-173, 2007

      3 조정은, "마늘 수확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한국원예학회 26 (26): 350-356, 2008

      4 김광수, "마늘 미숙주아로부터 적출한 생장점 배양을 통한 무병 종구 생산" 한국원예학회 24 (24): 441-446, 2006

      5 남상식, "남부지역에서 ‘남도’ 마늘 대립주아 파종시기 및 파종간격이 종구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3 (23): 265-268, 2005

      6 Walkey, D.G.A., "Production of virus-free garlic (Allium sativum L.) and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by meristem-tip culture" 62 : 211-220, 1987

      7 Lee, I.J., "Photoperiod control of gibberellin levels and flowering in Sorghum" 116 : 1003-1011, 1998

      8 MacMillan, J., "Occurrence of gibberellins in vascular plants, fungi, and bacteria" 20 : 387-442, 2002

      9 Wu, K., "Molecular cloning and photoperiod-regulated expression of gibberellin 20-oxidase from the long-day plant spinach.Plant Physiol.110:547-554" 110 : 547-554, 1996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coming data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11 Talon, M., "Identification of gibberellin in spinach and effects of light and darkness on their levels" 97 : 1521-1526, 1991

      12 Foster, K.R., "Genetic regulation of development in Sorghum bicolor. IX. The ma3 R allele disrupts diurnal control of gibberellin biosynthesis" 108 : 337-343, 1995

      13 Xu, Y.L., "Feedback regulation of ga5 expression and metabolic engineering of gibberellin levels in Arabidopsis" 11 : 921-936, 1999

      14 Rahim, M.A., "Environmental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bulbing in garlic" 555 : 181-188, 2001

      15 Arguello, J.A., "Dormancy in garlic (Allium sativum L.) cv. Rosado puraguayo. Ⅰ. Levels of growth substance in seed cloves under storage" 24 : 1559-1563, 1983

      16 Chang, M.U., "Distribution of garlic latent virus and garlic mosaic virus in infected garlic tissues" 29 : 253-265, 1998

      17 Mann, L.K., "Anatomy of the garlic bulb and factors affecting bulb development" 21 : 195-251, 1952

      18 Ayabe, M., "A novel and efficient tissue culture method-stem disc dome culture-for producing virus-free garlic (Allium sativum L.)" 20 : 503-507,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