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민참여 유형과 특성의 변화 분석 = A Study on the Change of Citizen Participa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the participation profiles of citizen in South Korea and explored whether these profiles varied across the time. The post-materialism and citizenship norms which are internalized to individua...

      Using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the participation profiles of citizen in South Korea and explored whether these profiles varied across the time. The post-materialism and citizenship norms which are internalized to individuals are utilized as main criteria in analyzing the profiles. The reason for choosing Korea as case study is because it experienced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ttern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study utiliz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face-to-face survey of 15,700 adults (ages 19 - 69) and identified significant changes patterns of citizen participation between 2015 and 2017. In 2015, there were three styles (Conformity, Implementation, Bystander) of citizen participation, but in 2017, one more style (Deviation) was added. The main reason for the change is the engaged citizenship norms grew, breaking through the political vortex. However, Deviation has especially low level of engaged citizenship norms among their internalized citizenship norms. It can be inferred they were disillusioned with politics and ignored political societies in the process of breaking through the political vort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시민참여 유형과 그 특성의 변화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15년과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집단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시민참여 유형과 그 특성의 변화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15년과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집단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시민참여 유형은 대통령 탄핵 정국을 돌파하면서 2015년 세 개 집단에서 2017년 네 개 집단으로 변화하였다. 각 집단은 그 특성을 고려하여 순응형, 도구형, 방관형 및 이탈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한국인의 의무적 시민의식 규범은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참여적 시민의식 규범은 상당히 많이 성장하였다. 셋째, 각 집단에 속한 시민들이 가진 자원의 특성도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었다. 넷째, 모든 집단의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낮게 형성되어 있었고 변화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흥,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코호트 분석" 한국사회학회 46 (46): 69-95, 2012

      2 양해만,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탈물질주의 : 왜 한국인들은 여전히 물질주의적인가?" 한국정치학회 52 (52): 75-100, 2018

      3 주성수, "한국 시민사회 30년(1987-2017)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제3섹터연구소 15 (15): 5-38, 2017

      4 강수택,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와 탈물질주의"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6 (26): 5-38, 2011

      5 김용철,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민주화가 정체된 결함 있는 민주주의" 현대정치연구소 9 (9): 31-62, 2016

      6 최태현, "참여가치인식과 정책이해도를 통한 시민참여 유형화 연구" 한국정책학회 23 (23): 231-256, 2014

      7 이승종, "시민참여론" 박영사 2018

      8 김동노, "시민운동의 정치 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59-88, 2013

      9 김욱,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179-202, 2006

      10 이영라, "사회갈등이 시민의 주장형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6 (56): 159-190, 2018

      1 박재흥,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코호트 분석" 한국사회학회 46 (46): 69-95, 2012

      2 양해만,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탈물질주의 : 왜 한국인들은 여전히 물질주의적인가?" 한국정치학회 52 (52): 75-100, 2018

      3 주성수, "한국 시민사회 30년(1987-2017)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제3섹터연구소 15 (15): 5-38, 2017

      4 강수택,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와 탈물질주의"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6 (26): 5-38, 2011

      5 김용철,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민주화가 정체된 결함 있는 민주주의" 현대정치연구소 9 (9): 31-62, 2016

      6 최태현, "참여가치인식과 정책이해도를 통한 시민참여 유형화 연구" 한국정책학회 23 (23): 231-256, 2014

      7 이승종, "시민참여론" 박영사 2018

      8 김동노, "시민운동의 정치 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59-88, 2013

      9 김욱,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179-202, 2006

      10 이영라, "사회갈등이 시민의 주장형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6 (56): 159-190, 2018

      11 이혜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 유형과 특성의 변화 분석 -" 한국정책학회 27 (27): 329-358, 2018

      12 이숙종, "개인의 사회자본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44 (44): 287-313, 2010

      13 어수영, "가치변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1990-2001년 간의 변화 비교연구" 한국정치학회 38 (38): 193-214, 2004

      14 Sabucedo, J. M.,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 multidimensional analysis" 20 : 93-102, 1991

      15 Scaff, L. A., "Two Concep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28 (28): 447-462, 1975

      16 Seligson, M. A., "Trust, Efficacy and Mod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 Study of Costa Rican Peasants" 10 (10): 75-98, 1980

      17 Mcbeth, M. K., "The Story of Good Citizenship: Framing Public Policy in the Context of Duty-Based Versus Engaged Citizenship" 38 (38): 1-23, 2010

      18 Magidson, J.,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Inc 205-232, 2004

      19 오영민, "The Effect of Political Institutions on the Use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8 (28): 25-48, 2013

      20 Conge, P. J., "The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Toward a Definition" 20 (20): 241-249, 1988

      21 Milbrath, L. W.,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7

      22 Verba, S., "Participation in America –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Harper and Row 1972

      23 Lanza, S. T., "PROC LCA: A SAS Procedure for Latent Class Analysis" 14 (14): 671-694, 2007

      24 Inglehart, R., "Mor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The human development sequ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5 Barnes, S. H.,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Sage Publications 1979

      26 Laska, M. N., "Latent Class Analysis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Health Risk Behaviors among College Youth" 2009

      27 Porcu, M.,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Analysis With Applications" 37 (37): 129-158, 2017

      28 Bomhoff, E. J., "East Asia Remains Different: A Comment on the Index of “Self-Expression Values,” by Inglehart and Welzel" 43 (43): 373-383, 2012

      29 Economist Intelligence Unit, "Democracy Index 2018: Me too? Political participation, protest and democracy"

      30 Chang, W. -C., "Culture, Citizenship Norm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mpirical Evidence from Taiwan" 17 (17): 256-277, 2016

      31 Inglehart, R.,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32 Denters, B., "Citizenship and Involvement in European Democracies" Routledge 87-107, 2007

      33 Dalton, R. J., "Citizenship Norms and the Expans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56 (56): 76-98, 2008

      34 Lyons, W. E., "Citizen Responses to Dissatisfaction in Urban Communities: A Partial Test of a General Model" 51 (51): 841-868, 1989

      35 Putnam, R.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1

      36 Oser, J., "Assessing How Participators Combine Acts in Their "Political Tool Kits": A Person-Centered Measurement Approach for Analyzing Citizen Participation" 133 (133): 235-258, 2016

      37 Muller, E. N., "An explanatory model for differing types of participation" 10 : 1-16, 1982

      38 Ramaswamy, V.,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12 (12): 103-124, 1993

      39 Anthony, E. K., "A latent class analysis of resilient development among early adolescents living in public housing" 35 : 82-90, 2013

      40 Hooghe, M., "A comparative analysis of 'good citizenship': A latent class analysis of adolescents' citizenship norms in 38 countries" 31 (31): 115-129, 2016

      41 한국행정연구원,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한국행정연구원 2017

      42 한국행정연구원, "2015년 사회통합실태조사" 한국행정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