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형간염 고유병지역 위험 요인 심층실태조사 방법 개발 및 사전조사 = Development and Primary Investigation of In-Depth Survey of Risk Factors in Hepatitis A Endemic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8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 has an acute course of disease. Although the course of hepatitis A showed mild to moderate in children, HAV infection can lead to fulminant hepatitis, which can lead to death in adults. HAV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dborne infections associated with water contamination and poor hygiene, and has the potential to cause worldwide epidemics. HAV infection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has developed a safe an effective vaccine. Since December 2010, Korea has designated hepatitis A as an infectious disease in Group 1 and has been operating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Since May 1, 2015, HAV vaccine has been introduced as a universal vaccine. It is inoculated free of charge for babies born after January 1, 2012. Hepatitis A have been increasing between the ages of 10 and 30 years since 1995, and some areas have been identified as endemic areas. Although a region with an average of over 100,000 population statistics can be related to population migration,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n epidemiological linkage in urban areas. Catch-up vaccination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are most appropriate as a national strategy of hepatitis A,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domestic pollutants such as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such as ground water and spring water, and external attractiveness factors such as imported ingredients in the endemic areas. The hepatitis A epidemic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HAV antibody and may require a strong strategy for catch-up vaccination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that fundamentally enhances the HAV antibody prevalence rate. The post-exposure prophylaxis, which can expect a more direct and immediate effect, can reduce the expression of hepatitis A in contacting acute hepatitis A patients and prevent the infection of HAV by blocking the secondary infection. Therefore, more rapid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is warranted in Korea. To date, the strategy for domestic hepatitis A have been systematically formulated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y?s strategy for hepatitis A. The effectiveness of epidemiological surveys, which play a pivotal role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was evaluated. We recommended that the current epidemiological survey types were classified as basic epidemiological surveys and in-depth epidemiological surveys, suggesting a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epidemiological survey system and reporting the revised epidemiological surveys. We strongly recommend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one-health-based cooperation system into the hepatitis A management system actively.
      번역하기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 has an acute course of disease. Although the course of hepatitis A showed mild to moderate in children, HAV infection can lead to fulminant hepatitis, which can lead to death in adults. HAV is one of the most common f...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 has an acute course of disease. Although the course of hepatitis A showed mild to moderate in children, HAV infection can lead to fulminant hepatitis, which can lead to death in adults. HAV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dborne infections associated with water contamination and poor hygiene, and has the potential to cause worldwide epidemics. HAV infection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has developed a safe an effective vaccine. Since December 2010, Korea has designated hepatitis A as an infectious disease in Group 1 and has been operating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Since May 1, 2015, HAV vaccine has been introduced as a universal vaccine. It is inoculated free of charge for babies born after January 1, 2012. Hepatitis A have been increasing between the ages of 10 and 30 years since 1995, and some areas have been identified as endemic areas. Although a region with an average of over 100,000 population statistics can be related to population migration,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n epidemiological linkage in urban areas. Catch-up vaccination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are most appropriate as a national strategy of hepatitis A,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domestic pollutants such as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such as ground water and spring water, and external attractiveness factors such as imported ingredients in the endemic areas. The hepatitis A epidemic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HAV antibody and may require a strong strategy for catch-up vaccination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that fundamentally enhances the HAV antibody prevalence rate. The post-exposure prophylaxis, which can expect a more direct and immediate effect, can reduce the expression of hepatitis A in contacting acute hepatitis A patients and prevent the infection of HAV by blocking the secondary infection. Therefore, more rapid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is warranted in Korea. To date, the strategy for domestic hepatitis A have been systematically formulated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y?s strategy for hepatitis A. The effectiveness of epidemiological surveys, which play a pivotal role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was evaluated. We recommended that the current epidemiological survey types were classified as basic epidemiological surveys and in-depth epidemiological surveys, suggesting a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epidemiological survey system and reporting the revised epidemiological surveys. We strongly recommend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one-health-based cooperation system into the hepatitis A management system a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A형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경과를 보이며 소아에서는 불현성 감염 혹은 가벼운 간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성인에서 발병 시 사망을 초래하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할 수 있고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는 간염임. A형간염 바이러스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오염된 물, 불결한 위생 상태 등과 연관되어 있는 가장 흔한 식품매개 감염의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순환 재발하는 경향성과 유행이 폭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바이러스임. A형 바이러스 간염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있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환임.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0년 12월부터 A형 바이러스 간염을 제1군 감염병으로 변경 지정하여 전수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년 5월 1일부터 A형간염 백신이 국가 예방 접종으로 도입되었으며, 201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를 대상으로 무료로 접종을 실시하고 있음. 그러나 1995년 이후 10-30세 사이의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 고유병지역이 확인됨. 인구 10만명 당 발생 통계가 평균을 상회하는 지역은 인구 이동과의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으나,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역학적으로 연관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으로는 따라잡기 접종과 노출 후 관리가 가장 적절하지만, 고유병지역에 대해서는 지하수 및 먹는 샘물 등의 음용수 관리 등의 국내 오염원 관리나 수입 식자재 등의 외부 유인 요인 등에 대한 접근을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음. A형간염 유행은 항체 보유율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어 근본적으로는 A형간염 항체 보유율을 높이는 A형 간염 백신 접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따라잡기 백신 접종에 대해 국가적인 사업 계획이 필요할 수 있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노출 후 예방접종은 급성 A형간염 환자 주변 노출자의 A형간염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2차 감염 루트를 차단하여 A형간염 대유행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빠른 국가적 계획 수립이 요구됨. 국내 A형간염 관리 대책은 전반적으로 국외와 비교해 볼 때 부족함 없이 체계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감염원 관리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는 역학조사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으며, 현재의 역학조사 형태를 기본 역학 조사와 유행 역학 조사로 분류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역학 조사 시스템을 제시하고, 수정된 역학 조사서를 보고함. 또한 한국형 원헬스 기반 협력체계를 A형간염 관리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보다 완벽한 A형간염 관리를 권고함.
      번역하기

      A형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경과를 보이며 소아에서는 불현성 감염 혹은 가벼운 간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성인에서 발병 시 사망을 초래하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할 수 있고 사망을...

      A형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경과를 보이며 소아에서는 불현성 감염 혹은 가벼운 간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성인에서 발병 시 사망을 초래하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할 수 있고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는 간염임. A형간염 바이러스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오염된 물, 불결한 위생 상태 등과 연관되어 있는 가장 흔한 식품매개 감염의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순환 재발하는 경향성과 유행이 폭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바이러스임. A형 바이러스 간염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있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환임.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0년 12월부터 A형 바이러스 간염을 제1군 감염병으로 변경 지정하여 전수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년 5월 1일부터 A형간염 백신이 국가 예방 접종으로 도입되었으며, 201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를 대상으로 무료로 접종을 실시하고 있음. 그러나 1995년 이후 10-30세 사이의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 고유병지역이 확인됨. 인구 10만명 당 발생 통계가 평균을 상회하는 지역은 인구 이동과의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으나,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역학적으로 연관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으로는 따라잡기 접종과 노출 후 관리가 가장 적절하지만, 고유병지역에 대해서는 지하수 및 먹는 샘물 등의 음용수 관리 등의 국내 오염원 관리나 수입 식자재 등의 외부 유인 요인 등에 대한 접근을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음. A형간염 유행은 항체 보유율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어 근본적으로는 A형간염 항체 보유율을 높이는 A형 간염 백신 접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따라잡기 백신 접종에 대해 국가적인 사업 계획이 필요할 수 있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노출 후 예방접종은 급성 A형간염 환자 주변 노출자의 A형간염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2차 감염 루트를 차단하여 A형간염 대유행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빠른 국가적 계획 수립이 요구됨. 국내 A형간염 관리 대책은 전반적으로 국외와 비교해 볼 때 부족함 없이 체계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감염원 관리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는 역학조사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으며, 현재의 역학조사 형태를 기본 역학 조사와 유행 역학 조사로 분류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역학 조사 시스템을 제시하고, 수정된 역학 조사서를 보고함. 또한 한국형 원헬스 기반 협력체계를 A형간염 관리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보다 완벽한 A형간염 관리를 권고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