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수용에 따른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5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e survey measured ag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acceptance in 354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creases as aging deepens,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depression increases. Second,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depression. As self-acceptance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aging on depression decreases. Third, th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self-acceptance,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equently, aging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and the lesser the self-acceptance, the greater the negativ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ing reduces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depress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lderly with low self-accept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self-accepta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e survey measured aging, depression, life satisf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e survey measured ag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acceptance in 354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creases as aging deepens,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depression increases. Second,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depression. As self-acceptance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aging on depression decreases. Third, th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self-acceptance,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equently, aging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and the lesser the self-acceptance, the greater the negativ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ing reduces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depress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lderly with low self-accept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self-accepta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선호 ; 서동기,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 35 (35): 257-282, 2016

      2 임영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31 (31): 877-896, 2012

      3 조계화 ; 김영경,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176-187, 2008

      4 김사라형선,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3 (33): 119-130, 2012

      5 심우정 ; 허남일, "중·노년의 소비욕구 측정을 위한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 : 전문경영인에게 중·노년 시장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며"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8 (18): 99-121, 2015

      6 임전옥 ; 장성숙,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59-184, 2012

      7 심우정,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37-165, 2016

      8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71-86, 2007

      9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10 이은희, "신노인복지론" 학지사 2013

      1 정선호 ; 서동기,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 35 (35): 257-282, 2016

      2 임영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31 (31): 877-896, 2012

      3 조계화 ; 김영경,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176-187, 2008

      4 김사라형선,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3 (33): 119-130, 2012

      5 심우정 ; 허남일, "중·노년의 소비욕구 측정을 위한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 : 전문경영인에게 중·노년 시장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며"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8 (18): 99-121, 2015

      6 임전옥 ; 장성숙,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59-184, 2012

      7 심우정,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37-165, 2016

      8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71-86, 2007

      9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10 이은희, "신노인복지론" 학지사 2013

      11 문유정,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 N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8 (28): 89-117, 2020

      12 정은영 ; 신희천,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3-194, 2014

      13 배문조, "성인들의 노화사실인지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111-132, 2012

      14 구철회,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81-300, 2015

      15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16 고아영, "사회적 관계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7 김하형 ; 김수영, "비일관적 매개효과 모형의 해석 방향 탐색" 한국심리학회 39 (39): 91-115, 2020

      18 성현란,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19 추미례 ; 이영순,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43, 2014

      20 문지현 ; 김다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4-54, 2018

      21 강현욱,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 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995-1009, 2016

      22 기채영, "대학생의 자기위로, 자기격려, 자기수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1 (11): 65-76, 2008

      23 임은의 ; 구본진 ; 임세현,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567-590, 2014

      24 이은아, "노인의 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6

      25 황윤정 ; 전혜성,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8 (28): 161-181, 2020

      26 박성복,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한국정부학회 23 (23): 731-758, 2011

      27 이현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처기제와 장애수용태도의 매개효과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55-73, 2015

      28 김홍남 ; 차은진 ; 김경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8 (8): 457-480, 2017

      29 김동해,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9

      30 김경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49-77, 2018

      31 노종숙,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9

      32 이분애,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윤지희,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자원의 조절효과 : 심뇌혈관질환 노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34 권영순 ; 변상해, "노인의 성태도와 성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0 (10): 1389-1402, 2019

      35 김미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7) : 159-182, 2017

      36 김홍철,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31-247, 2019

      37 박선애 ; 허준수,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7 (37): 125-149, 2017

      38 김유자, "노인의 가정 내 역할과가정 밖 역할 수행이 타인수용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4 (4): 13-21, 2012

      39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0

      40 이혜경 ; 이병록,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기능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8) : 201-225, 2011

      41 이은령 ; 강지혁 ;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90-300, 2013

      42 전미애 ; 김정현, "노인 우울 관련 변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8 : 75-97, 2013

      43 조성자,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 우울, 자기효능감, 마인풀니스(mindfulness)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44 강유진, "노년기 역할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및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5 (15): 247-258, 2020

      45 Chamberlain, J. M.,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health" 19 (19): 163-176, 2001

      46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47 Li, S.,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 A cross-sectional study" 100 (100): e27364-, 2021

      48 Wiliyanarti, P. F., "The comparative study : Self acceptance,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depression on elderly" 2 (2): 212-220, 2018

      49 Taghiabadi, M., "The association between death anxiety with spiritual experiences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9 (9): 3980-3985, 2017

      50 Gow, A. J.,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time cognitive change and life satisfaction" 28 (28): 103-115, 2007

      51 Bourassa, K. J., "Social participation predict cognitive functioning in aging adults over time : Comparisons with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21 (21): 133-146, 2017

      52 Evans, I. E. M.,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70 (70): S119-S144, 2019

      53 Ingersoll-Dayton, B., "Self forgiveness : A component of mental health in later life" 27 (27): 267-289, 2005

      54 Zhao, X.,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37 (37): 197-206, 2010

      55 MacKinnon, D. P., "Mediation analysis" 58 : 593-614, 2007

      56 Zheng, W.,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 A cross-sectional study in China" 28 (28): 1323-1332, 2020

      57 Gaymu, J.,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30 (30): 1153-1175, 2010

      58 Kato, T., "Insomnia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Japanese white-collar employees" 21 (21): 506-510, 2014

      59 Ogawa, T., "Hearing-impaired elderly people have smaller social networks : A population-based aging study" 83 : 75-80, 2019

      60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61 Sheikh, J. I.,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5 (5): 165-173, 1986

      62 MacKinnon, D. P.,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1 (1): 173-181, 2000

      63 Blazer, D. G., "Depression in late life : Review and commentary" 58 (58): M249-M265, 2003

      64 조맹제,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38 (38): 48-63, 1999

      65 Carstensen, L. L., "At the intersection of emotion and cognition : Aging and the positivity effect" 14 (14): 117-121, 2005

      66 Hayes, A. F.,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50 (50): 1-22, 2015

      67 Mather, M., "Aging and motivated cognition : The positivity effect in attention and memory" 9 (9): 496-502, 2005

      68 Stone, A. A., "A snapshot of the ag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United States" 107 (107): 9985-9990, 2010

      69 통계청, "2020년 고령자 통계"

      70 통계청, "2019년 생명표"

      71 보건복지부,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