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자크의 『세라피타』와 『사막 속 정념』에 나타난 신비의 공간 연구 = A Study on Mystical Spaces in Balzac’s Seraphita and Une passion dans le deser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자크의 『세라피타』와 『사막 속 정념』은 『인간극』에 속하는 작품 중 프랑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두 소설이다. 본 논문은 프랑스 역사의 서기관이 되고자 했...

      발자크의 『세라피타』와 『사막 속 정념』은 『인간극』에 속하는 작품 중 프랑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두 소설이다. 본 논문은 프랑스 역사의 서기관이 되고자 했던 발자크가 『세라피타』와 『사막』에서 프랑스 땅을 벗어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해명해보려 했다. 우선 발자크가 몸소 겪은 19세기의 프랑스 파리는 의심과 불신에 잠식되어 있었다. 『황금 눈의 여인』에서 파리는 황금과 쾌락을 향한 인간의 욕망으로 들끓는 지옥과도 같은 장소이고 『현대사의 이면』에서는 소외 계층의 가난을 토대로 삼는 타락한 파리 문명이 신의 말씀을 따 르는 이들을 후미진 구석으로 몰아낸다. 따라서 프랑스 파리는 신의 신비를 다룬 『세라피타』와 『사막』에 적절한 공간적 배경이 될 수 없었다. 발자크는 신성한 이야기가 펼쳐질 수 있는 이국의 공간으로 노르웨이와 이집트를 고른다. 노르웨이는 스베덴보리와 같은 위대한 신지학자가 나올 수 있는 풍토가 갖춰진 북방의 나라로서, 이집트는 초기 그리스도교 사막 수도자들이 은거했던 거룩한 동방의 나라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발자크는 신비의 흔적이 남은 두 장소를 신성을 느낄 수 있을 만한 공간으로 구성한다. 수직으로 뻗은 노르웨이의 산과 이집트 사막의 아득한 수평선은 신의 무한성을 느끼게 하고, 두 공간을 지배하는 정적은 인간이 성찰하는 가운데 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바다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집트의 사막과 노르웨이의 풍경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발자크만의 신성한 공간이 드러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oré de Balzac’s La Comédie humaine is primarily studies of French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on such few occasions as in the novels Séraphîta or Une passion dans le désert , he branches out into ...

      Honoré de Balzac’s La Comédie humaine is primarily studies of French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on such few occasions as in the novels Séraphîta or Une passion dans le désert , he branches out into mystical and transcendental themes. The settings of these stories are not inside the borders of France, for France in the era was full of doubt and disbelief, which made it impossible for the author to speak about mystical experiences. The story of Séraphîta takes place in Norway of northern Europe, the home of great theosophists such as E. Swedenborg, and Une passion dans le désert in the Egyptian desert, where the anchorites of early Christianity devoted themselves to God. In this study, I examine the ways in which Balzac constructs a sacred space where one can experience God’s pres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Ⅱ. 신이 없는 도시, 파리 Ⅲ. 신비의 흔적이 남은 곳 Ⅳ. 신비를 위해 조직된 공간 Ⅴ. 나가며
      • Ⅰ. 들어가며 Ⅱ. 신이 없는 도시, 파리 Ⅲ. 신비의 흔적이 남은 곳 Ⅳ. 신비를 위해 조직된 공간 Ⅴ. 나가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09

      2 단테, "신곡. 지옥편" 민음사 2014

      3 양승미, "발자크의《신비서》에 드러난 스베덴보리주의의 문학적 형상화" 고려대학교대학원 2016

      4 오노레 드 발자크, "루이 랑베르" 문학동네 2010

      5 Balzac, Honoré de., "Voyage de Paris à Java, in OEuvres diverses" 3 : 1956

      6 Borel, Jacques, "Séraphîta et le mysticisme balzacien" José Corti 1967

      7 Jacques, Georges, "Publications universitaires de Louvain, recueil de travaux d’histoire et de philologie, 6e série, fascicule 5" 486-, 1975

      8 Seungmi Yang, "L’endroit et l’envers du monde : l’espace dans L’Envers de l’histoire contemporaine de Balzac" Societe d'Etudes Franco-Coreennes 83 : 259-285, 2018

      9 Andréoli, Max, "L’Année balzacienne" PUF 287-308, 1992

      10 Méra, Brigitte, "L’Année balzacienne" PUF 161-178, 2006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09

      2 단테, "신곡. 지옥편" 민음사 2014

      3 양승미, "발자크의《신비서》에 드러난 스베덴보리주의의 문학적 형상화" 고려대학교대학원 2016

      4 오노레 드 발자크, "루이 랑베르" 문학동네 2010

      5 Balzac, Honoré de., "Voyage de Paris à Java, in OEuvres diverses" 3 : 1956

      6 Borel, Jacques, "Séraphîta et le mysticisme balzacien" José Corti 1967

      7 Jacques, Georges, "Publications universitaires de Louvain, recueil de travaux d’histoire et de philologie, 6e série, fascicule 5" 486-, 1975

      8 Seungmi Yang, "L’endroit et l’envers du monde : l’espace dans L’Envers de l’histoire contemporaine de Balzac" Societe d'Etudes Franco-Coreennes 83 : 259-285, 2018

      9 Andréoli, Max, "L’Année balzacienne" PUF 287-308, 1992

      10 Méra, Brigitte, "L’Année balzacienne" PUF 161-178, 2006

      11 Pierrot, Roger, "L’Année balzacienne" PUF 177-191, 1992

      12 Frølich, Juliette, "L’Année balzacienne" PUF 319-331, 1992

      13 Pinel, Marie, "L’Année balzacienne" PUF 283-309, 1995

      14 Steinmetz, Jean-Luc, "L’Année balzacienne" PUF 3-29, 1969

      15 Balzac, Honoré de., "Lettres à Madame Hanska" 1 : 1990

      16 Barthèlemy, Guy, "Le désert, un espace paradoxal" PeterLang 309-326, 2003

      17 Bachelard, Gaston, "Le droit de rêver" PUF 125-133, 2002

      18 Butor, Michel, "Improvisations sur Balzac I. Le Marchand et le Génie" La Différence 1999

      19 Kemp, Simon, "Imagining the City. Art of Urban Living vol. 1" Peter Lang 95-108, 2006

      20 Larousse, Pierre, "Grand dictionnaire universel du XIXe siècle, Administration du grand dictionnaire universel, vol. 6 et 9" 1872

      21 Baron, Anne-Marie, "George Sand : Intertextualité et Polyphonie vol 1" Peter Lang 183-196, 2011

      22 Chateaubriand, François-René de, "François-René de. Génie du Christianisme, ou Beautés de la religion chrétienne" 1 : 1802

      23 Berthier, Philippe, "Figures du fantasme. Un parcours dix-neuviémiste" Presses Universitaires du Mirail 75-85, 1992

      24 Balzac, Honoré de., "Bibliothèque de la Pléiade, vol. I, V, VIII, XI" Gallimard, coll 1980

      25 Gauthier, Henri, "Bibliothèque de la Pléiade, vol. 11" Gallimard, coll 1980

      26 Gengembre, Gérard, "Balzac. Le Napoléon des lettres" Gallimard 1992

      27 Baron, Anne-Marie, "Balzac ou les hiéroglyphes de l’imaginaire" Champion 2002

      28 Bertault, Philippe, "Balzac et la religion" Slatkine 1980

      29 오노레 드 발자크, "13인당 이야기" 문학동네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