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원순모음화를 순행 원순모음화와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논의된 내 용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1)근대국어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원순모음화를 순행 원순모음화와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논의된 내 용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1)근대국어 시...
지금까지 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원순모음화를
순행 원순모음화와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논의된 내
용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1)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사적 음운변화로서의 원
순모음화는 순자음 뒤에서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변화하는
‘순행 원순모음화’와 순자음 앞에서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변
화하는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눌 수 있다.
2)순행 원순모음화는 중앙어에서 17세기초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8
세가중반에 완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 원순모음화의 진행과정은
형태소 내부에서 먼저 일어 나서 형태소 경계로 확대되었으며, 그
시기는 대체로 전자는 17세기 말엽에, 후자는 18세기 중반으로 추
정된다. 그리고 형태소 경계에서의 경우에도 용언의 활용에서 먼저
나타나서 체언의 곡용으로 확대되었다고 본다.
3)역행 원순모음화는 순행 원순모음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세이
지만 어두와 비어두의 환경에 상관없이 두루 나타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