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열린 건축`으로 바라본 Nishizawa Ryue의 건축 특성 연구 = A Study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by Nishizawa Ryue with Perspective of `Open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1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다원화되고 급변하는 현시대의 배경에서 부정할 수 없는 유동적 흐름은 개인의 다양성과 불확실성 영역들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변화에 유연하게 발전하게 되는데, 이러...

      (연구배경 및 목적) 다원화되고 급변하는 현시대의 배경에서 부정할 수 없는 유동적 흐름은 개인의 다양성과 불확실성 영역들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변화에 유연하게 발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념은 상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에 기반을 둔다. 이는 `열린 건축` 과도 상관되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근대 이후의 시대적 배경의 상황에도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시자와 류에를 건축가로 선정하여 새로운 시대의 개성과 가치를 담아내는 그의 건축 사고를 확장된 의미를 가진 열린 건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니시자와의 중심사상인 열린 건축의 고찰과 종전부터 답습해온 개념에서 탈피된 새로운 관계성을 가진 건축적 특성을 밝히고, 파악된 개념이 어떻게 작품으로 실체화 되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를 통해서 열린 사고의 관점을 한정하였고, 유사 선행 연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접근으로 열린 건축의 개념과 배경, 어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구조는 먼저 니시자와의 건축관을 파악하고 그가 말하는 열린 건축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여 나온 결과가 얼마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지 찾는 과정이다. 니시자와 류에의 건축관에 대해서는 언설과 인터뷰 그리고 그의 사고와 배경을 담은 건축 서적을 바탕으로 하였다. (결과) 니시자와 류에가 건축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기본은 인간을 주체로 생길 수 있는 모든 관계이며, 사회성과 지역성을 배경으로 새로운 질서를 만들기 위해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 바라보았다. 건축과 공간에 대해서는 개방성을, 건축과 환경에 대해서는 유기성을, 건축과 인간에 대해서는 새로운 위계성이 열린 건축의 관계성이다. 또한 그의 건축의 도구인 다시 프로그램과 순환 다이어그램으로 가능성과 다양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일체화된 유기적 연결이며 환경과 건축, 인간의 조합으로 공원과 같은 건축이 니시자와 류에의 열린 건축이라고 하겠다. (결론) 연구 결과 `건축은 삶 전체와 관계된 하나의 세계 이다.` 라고 말한 니시자와 류에의 열린 건축은 단순함 속에 복합성을 숨기는 외유내강의 동양 사고에서 출발하여 공간과 시간의 벽을 허문 자연과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적 사고이다. 주변과 연결되고 사회적 관계를 맺는 그의 건축은, 소통과 교류라는 현대의 키워드와 맞물린다. 각 시대마다 개성과 가치를 건축에 담아야 한다고 말하는 그는, 현시대의 가치관과 시대성을 건축에 표현하는 건축가이다. 이것으로 현시대에 새로운 패러다임과 라이프스타일의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위계질서를 만드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flexible flow of our diversified modern society creates networks of uncertain domains along with continuously evolving variations, and such concepts are based on openness and a system that enables interactions. This correl...

      (Background and Purpose) The flexible flow of our diversified modern society creates networks of uncertain domains along with continuously evolving variations, and such concepts are based on openness and a system that enables interactions. This correlates with the design of open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small city units or urban structures. The goal is to comprehend more specifically the circumstance of backgrounds of times are concentrated.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architect Nishizawa Ryue for inclusion. First, we will analyze his architectural perspective, known as open architecture, in order to study how his central ideology of open architecture has been embedded not only in the functions of these structures, but als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with relationship to connecting the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Method) The viewpoint of this investigation was defined through an examination of earlier, similar studies. The study did examine how to derive the concept, background, vocabulary, and characteristics of open architecture through various approaches.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architectural view of Nishizawa and examined how objective and rational the characteristics of his open architecture are,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References and case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open architecture by Nishizawa Ryue. (Results) The foundation of Nishizawa Ryue`s architectural design to be implemented is accentuated around all human relationships., but to make a new hierarchical order with respects to sociality and regionalism, a perspective ignoring stereotype was used. The relationship of open architecture is openness of architecture and space, organic property of architect and environment, and new hierarchy of architecture and human. Moreover, with his architectural tools of repetitive program and circulatory program, possibility and diversity may be found. These are not independent but solidified and organic connections, and the open architecture of a park, for instance, may allow for a harmony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rchitectural works, and human eleme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open architecture of Nishizawa Ryue seems to promote his worldview, in which he says, “Architecture is one world related to an entire life.” His is an organic perspective based on postmodernism and derived from Orientalism that seeks to hide complexity within simplicity and centers on the communion of nature and humans with no boundaries of space or time. His architecture can be connected to the surroundings and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modern keywords such a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aying that individuality and value should always be important in architecture, he expresses modern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 fully. This study can become a guideline for creating a new hierarchy, providing the contents of a new paradigm and lifestyle for the current er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미선, "열린 구조적 공간에서 경계와 움직임을 통한 장소적 의미생성 연구 –알도 반 아크와 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2 김민경, "비정형건축의 ‘열린계’로서의 도시 지원 특성 -Richard Sennett의 열린 도시 사유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0

      3 Lee, h., "The Historical Lesson of the Team 10's Break Away from the ClAM" Korean Architectural Historical Society 7 (7): 137-149, 1998

      4 SANAA, "SANAA 2004-2008 (Sejima +Nishizawa)" EL Croquis 2008

      5 Yoon, S., "Open society Open managemen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95

      6 Ryue, Nishizawa, "Open architecture that Ryue Nishizawa speaks" Hanulmplus 2016

      7 Sin, Byeongyun, "For form and space without boundaries" Spacetime 2002

      8 남지현, "CIAM 이후 아방가르드 도시주거이론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를 통한 성장개념' : Team X, GEAM, Archigram의 '자율성'과 '가변성'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Hwang, Cheolho, "An alchemist have to change building in a poem" Dongnyok 2013

      10 Kimm, W.,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Open-Structure’in the Mobility Oriented Age" 16 (16): 151-158, 2000

      1 조미선, "열린 구조적 공간에서 경계와 움직임을 통한 장소적 의미생성 연구 –알도 반 아크와 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2 김민경, "비정형건축의 ‘열린계’로서의 도시 지원 특성 -Richard Sennett의 열린 도시 사유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0

      3 Lee, h., "The Historical Lesson of the Team 10's Break Away from the ClAM" Korean Architectural Historical Society 7 (7): 137-149, 1998

      4 SANAA, "SANAA 2004-2008 (Sejima +Nishizawa)" EL Croquis 2008

      5 Yoon, S., "Open society Open managemen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95

      6 Ryue, Nishizawa, "Open architecture that Ryue Nishizawa speaks" Hanulmplus 2016

      7 Sin, Byeongyun, "For form and space without boundaries" Spacetime 2002

      8 남지현, "CIAM 이후 아방가르드 도시주거이론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를 통한 성장개념' : Team X, GEAM, Archigram의 '자율성'과 '가변성'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Hwang, Cheolho, "An alchemist have to change building in a poem" Dongnyok 2013

      10 Kimm, W.,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Open-Structure’in the Mobility Oriented Age" 16 (16): 151-158, 2000

      11 Kim, J., "A Study of Openness -Based on the Five-Factor Model and Positive Psychology" kyonggi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31 (31): 183-205, 2016

      12 이지은, "'열린 공간 조직'에서 나타나는 운동의 특성 및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 1960-70년대 실험적 건축 작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