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0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공간을 확장해 나가는 관점에서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삶과 소리를 살피되, 소통을 통해 문화행위하며, 교차ㆍ협력을 통해 구비연행자와 교류해 나가는 면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그것이 지닌 구비전승사적 위상을 검토한 것이다.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을 지리적 교차의 시각으로 보고, 인간의 행위인 문화를 사회적소통의 방법으로 살피되, 생애사를 통해 이홍채 소리꾼의 소리에 접근한 것이다. 토박이인 이홍채는 웅곡마을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 등 소리문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막내아들 등 자녀들의 지원 속에서 맺힌 한을 푸는 소리문화행위를 수행했고, 경운기 사고와 암을 이긴 구비연행자이다. 웅곡마을에서 가족과 농사일을 하던 국악동아리회원 이홍채는 하의도에서 또래와그냥 노는 일(산다이)을 통해, 신안군에서 신안문화원의 하의도 천사섬민요합창단 활동을 담당하는 일을 통해, 목포시 유달(김연예)국악원교습소에서 이홍채가 한마음고법회원과 소리하는 일을 통해, 전남에서 하의도사람들의 토속민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출전하는 일을 통해 소리문화를 수행해 나갔다. 이홍채는 교차적 공간을 확장하는 문화행위를 통해 구비연행자들과 협력ㆍ교류의길을 찾았다. 산다이에서 토속민요를 지속시키고, 신안문화원 활동과 남도문화제 출전에서 토속민요를 전파시켰다. 그리고 목포지역에서 자신의 소리역량을 발전시켰다. 그결과 이홍채는 민요와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들과 예능을 교류했다. 소리 제자도 길렀다. 그리고 자신의 소리경쟁력을 제고했다. 이러한 문화행위를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의 외연적 기능을 확장시켰다. 동시에 진정한 구비연행자의 진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공간을 확장해 나가는 관점에서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삶과 소리를 살피되, 소통을 통해 문화행위하며, 교차ㆍ협력을 통해 구비연행자와 교류해 나가는 면에 초점을 두는 동시...

      이 논문은 공간을 확장해 나가는 관점에서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삶과 소리를 살피되, 소통을 통해 문화행위하며, 교차ㆍ협력을 통해 구비연행자와 교류해 나가는 면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그것이 지닌 구비전승사적 위상을 검토한 것이다.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을 지리적 교차의 시각으로 보고, 인간의 행위인 문화를 사회적소통의 방법으로 살피되, 생애사를 통해 이홍채 소리꾼의 소리에 접근한 것이다. 토박이인 이홍채는 웅곡마을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 등 소리문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막내아들 등 자녀들의 지원 속에서 맺힌 한을 푸는 소리문화행위를 수행했고, 경운기 사고와 암을 이긴 구비연행자이다. 웅곡마을에서 가족과 농사일을 하던 국악동아리회원 이홍채는 하의도에서 또래와그냥 노는 일(산다이)을 통해, 신안군에서 신안문화원의 하의도 천사섬민요합창단 활동을 담당하는 일을 통해, 목포시 유달(김연예)국악원교습소에서 이홍채가 한마음고법회원과 소리하는 일을 통해, 전남에서 하의도사람들의 토속민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출전하는 일을 통해 소리문화를 수행해 나갔다. 이홍채는 교차적 공간을 확장하는 문화행위를 통해 구비연행자들과 협력ㆍ교류의길을 찾았다. 산다이에서 토속민요를 지속시키고, 신안문화원 활동과 남도문화제 출전에서 토속민요를 전파시켰다. 그리고 목포지역에서 자신의 소리역량을 발전시켰다. 그결과 이홍채는 민요와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들과 예능을 교류했다. 소리 제자도 길렀다. 그리고 자신의 소리경쟁력을 제고했다. 이러한 문화행위를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의 외연적 기능을 확장시켰다. 동시에 진정한 구비연행자의 진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the bottom line for investigating the life and sori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of Haui-do in viewpoint of expanding spaces; paralleling withdoing culture activ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focusing on exchanging with oral performers via crossing and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its oral-transitional status in the modern society. The study made its approach at Lee’s sori through his biography by not only viewing the ‘space’ as the perspective of geographical intersection in a cognitive dimension, but also watching culture which is a human activity as a way of communication. Lee, native of Haui-do is an oral performer who overcame a cultivator accident and cancer and who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which ease deep-rooted grudge of people by supports of his children including the youngest in the event of sori culture activities, such as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while he was doing farm work at Woonggok village. Lee, a member of Gookak society who had been doing farm works with his family at Woonggok village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through just playing (Sandai) with is friends of Haui-do; through doing his job as a member of Chonsa-seom Lolk Song Chorus at Shinan Culture Center at Shinan province; via singing with members of Hanmaeum Gobup-heo at Yudal(Kim Yeon Ye) Gookakwon Academy in Mokpo city; an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with folk song of Haui-do residents in Jeola province. Lee found a way of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oral performers through culture activities which expand cross-sectional spaces. He also continued folk songs in Sandai, and expanded folk songs through doing activities at Shinan Culture Center and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In addition, he improved his sori capability. As a result, he exchanged his artistic talent with folk singers who sing folk songs and Pansori. He also trained his disciple, and enhanced his sori competitiveness. Through these culture acitivies, he expaned external functions of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At the same time, he kept building up his original character as an oral performer.
      번역하기

      This study set the bottom line for investigating the life and sori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of Haui-do in viewpoint of expanding spaces; paralleling withdoing culture activ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focusing on exchanging with oral perform...

      This study set the bottom line for investigating the life and sori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of Haui-do in viewpoint of expanding spaces; paralleling withdoing culture activ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focusing on exchanging with oral performers via crossing and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its oral-transitional status in the modern society. The study made its approach at Lee’s sori through his biography by not only viewing the ‘space’ as the perspective of geographical intersection in a cognitive dimension, but also watching culture which is a human activity as a way of communication. Lee, native of Haui-do is an oral performer who overcame a cultivator accident and cancer and who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which ease deep-rooted grudge of people by supports of his children including the youngest in the event of sori culture activities, such as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while he was doing farm work at Woonggok village. Lee, a member of Gookak society who had been doing farm works with his family at Woonggok village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through just playing (Sandai) with is friends of Haui-do; through doing his job as a member of Chonsa-seom Lolk Song Chorus at Shinan Culture Center at Shinan province; via singing with members of Hanmaeum Gobup-heo at Yudal(Kim Yeon Ye) Gookakwon Academy in Mokpo city; an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with folk song of Haui-do residents in Jeola province. Lee found a way of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oral performers through culture activities which expand cross-sectional spaces. He also continued folk songs in Sandai, and expanded folk songs through doing activities at Shinan Culture Center and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In addition, he improved his sori capability. As a result, he exchanged his artistic talent with folk singers who sing folk songs and Pansori. He also trained his disciple, and enhanced his sori competitiveness. Through these culture acitivies, he expaned external functions of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At the same time, he kept building up his original character as an oral perform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순일 조사·김세인 채록·이홍채 제보, 조사내용: 하의도 구비전승자원 조사-제34회 남도문화제 하의도 생애소리, 보리타작노래 등. 2008년 6월 23~26일(이유리 채록 포함), 2010년 12월 10~11일, 2011년 1월 4~5일, 전남 신안군 하의면"

      2 주강현, "한국민속학연구방법론비판-제3의 민속학 : 21세기 민속문화의 7가지 화두-" 민속원 1999

      3 구인모, "한국 근대시와 '조선'이라는 심상지리" 한국학연구소 0 (0): 153-180, 2008

      4 홍순일,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선점과 소통적 문화행위" 어문연구학회 고전문학분과, 충남대 인문대학 교수회의실(444호) 1-13, 2011

      5 허경회, "하의 장산도의 구비문학 자료"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3 : 1985

      6 홍순일, "판소리의 층위적 접근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34 : 359-390, 2000

      7 임재해,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2007한국민속학자대회조직위원회,국립민속박물관 17-44, 2007

      8 권순긍, "중원지역의 문학지리와 그 의미 -達川 · 淸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3) : 67-99, 2008

      9 나승만, "소포리 노래방 활동에 대한 현지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3) : 27-45, 1993

      10 나승만, "소안도 민요사회의 역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1 : 125-189, 1993

      1 "홍순일 조사·김세인 채록·이홍채 제보, 조사내용: 하의도 구비전승자원 조사-제34회 남도문화제 하의도 생애소리, 보리타작노래 등. 2008년 6월 23~26일(이유리 채록 포함), 2010년 12월 10~11일, 2011년 1월 4~5일, 전남 신안군 하의면"

      2 주강현, "한국민속학연구방법론비판-제3의 민속학 : 21세기 민속문화의 7가지 화두-" 민속원 1999

      3 구인모, "한국 근대시와 '조선'이라는 심상지리" 한국학연구소 0 (0): 153-180, 2008

      4 홍순일,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선점과 소통적 문화행위" 어문연구학회 고전문학분과, 충남대 인문대학 교수회의실(444호) 1-13, 2011

      5 허경회, "하의 장산도의 구비문학 자료"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3 : 1985

      6 홍순일, "판소리의 층위적 접근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34 : 359-390, 2000

      7 임재해,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2007한국민속학자대회조직위원회,국립민속박물관 17-44, 2007

      8 권순긍, "중원지역의 문학지리와 그 의미 -達川 · 淸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3) : 67-99, 2008

      9 나승만, "소포리 노래방 활동에 대한 현지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3) : 27-45, 1993

      10 나승만, "소안도 민요사회의 역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1 : 125-189, 1993

      11 이홍채, "박초월창본. In 흥보가" 김연예국악원교습소

      12 이홍채, "박초월창본. In 심청가" 김연예국악원교습소

      13 이홍채, "박초월창본. In 수궁가" 김연예국악원교습소

      14 홍순일, "민요공동체의 문화권역적 전개와 지역문화적 특성 - 산다이를 중심으로 -" 남도민속학회 (19) : 281-325, 2009

      15 이창식, "민요. In 민속조사의 현장과 방법" 308-331, 2010

      16 임재해, "민속조사의 현장과 방법" 민속원 2010

      17 임재해, "민속문화를 읽는 열쇠말-문화이해를 위한 12가지 키워드-" 민속원 2004

      18 권혁래,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국어국문학회 (154) : 93-119, 2010

      19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상․중․하" 논형 2005

      20 홍순일, "도서연안지역 민요공동체의 성격과 민요의 연행양상" 한국민요학회 22 : 377-409, 2008

      21 "도서문화연구원 공동조사 자료집. In 하의도(荷衣島)"

      22 나승만, "노래판 산다이에 대한 현지작업" 한국민요학회 4 : 39-62, 1996

      23 나승만, "남동리 민요공동체 당당패의 성립과정" 한국민요학회 2 : 85-106, 1994

      24 김연예, "김연예 소리집" 김연예국악원교습소

      25 박현옥, "근대 일본에 있어서 「심상공간」으로서의 온천문화연구 -『온천안내』와『온천순례』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81-300, 2010

      26 나승만, "근대 민요공동체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구비문학회 (21) : 99-125, 2005

      27 강봉룡,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5년사" 민속원 2008

      28 최진아, "唐 傳奇에 투영된 長安의 현실지리와 심상지리" 한국중국소설학회 (28) : 155-171, 2008

      29 홍순일, "≪신안민요≫의 지킴이, 이홍채 소리꾼의 삶과 소리" 신안문화원 (21) : 35-39, 2011

      30 홍순일, "≪도서지역 민요≫와 민속문화정보" 한국민요학회 19 : 275-312, 2006

      31 홍순일, "≪도서지역 민요≫와 문화관광" 한국민요학회 17 : 357-387, 2005

      32 홍순일, "Ⅵ. 구비전승. In 도서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 용역-하의면 편- 최종보고서" 목포대도서문화연구원․전라남도 신안군 115-177, 2011

      33 홍순일, "<<신안민요>>의 언어문학적 접근과 소리문화적 활용-<지도민요>`<증도민요>`<임자도민요>를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14) : 321-366, 2007

      34 정인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서울학연구소 (41) : 1-3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