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도군, "화양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기본계획" 1-481, 2018
2 박구원, "해안어촌관광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6 (26): 167-190, 2002
3 고도인, "폐광지역 재생사업의 현황과 성과분석 - 태백시 등 7개 시·군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305-328, 2014
4 정의선,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어촌관광사업의 영향인식과 지지도 관계분석 - 논골담길 공공미술과 어촌체험마을 비교 -" 한국관광학회 38 (38): 99-122, 2014
5 고도인,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영향요인 분석 - 폐광지역 7개 시·군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81-206, 2014
6 김의준, "지역재생사업 파급효과의 결정요인" 한국농촌계획학회 16 (16): 131-138, 2010
7 최승범, "지역재생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철도유휴부지 활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21-252, 2018
8 이정림, "지속가능한 어촌공동체의 조건 - 공유자원의 자율적 관리와 사회적 경제 -" 도서문화연구원 (48) : 199-242, 2016
9 해양수산부, "정책위키, 한눈으로 보는 정책: 어촌뉴딜300"
10 정미경, "영월읍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모니터링 결과 분석- 2018년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농공학회 61 (61): 43-54, 2019
1 청도군, "화양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기본계획" 1-481, 2018
2 박구원, "해안어촌관광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6 (26): 167-190, 2002
3 고도인, "폐광지역 재생사업의 현황과 성과분석 - 태백시 등 7개 시·군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305-328, 2014
4 정의선,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어촌관광사업의 영향인식과 지지도 관계분석 - 논골담길 공공미술과 어촌체험마을 비교 -" 한국관광학회 38 (38): 99-122, 2014
5 고도인,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영향요인 분석 - 폐광지역 7개 시·군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81-206, 2014
6 김의준, "지역재생사업 파급효과의 결정요인" 한국농촌계획학회 16 (16): 131-138, 2010
7 최승범, "지역재생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철도유휴부지 활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21-252, 2018
8 이정림, "지속가능한 어촌공동체의 조건 - 공유자원의 자율적 관리와 사회적 경제 -" 도서문화연구원 (48) : 199-242, 2016
9 해양수산부, "정책위키, 한눈으로 보는 정책: 어촌뉴딜300"
10 정미경, "영월읍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모니터링 결과 분석- 2018년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농공학회 61 (61): 43-54, 2019
11 박준모, "역사자원의 어촌관광 적용방안 연구 - 진도를 중심으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1 (31): 1-29, 2016
12 해양수산부, "어촌지역의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어촌뉴딜 300 추진계획"
13 이재형, "어촌지역개발사업 과정 중 나타나는 갈등양상과 해결 방안 -어촌뉴딜300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4 (34): 113-138, 2019
14 임관혁, "어촌지역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45-160, 2014
15 김도균, "어촌마을의 사회자본과 어촌계-3개의 어촌마을 비교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0 (20): 195-232, 2010
16 임관혁, "어촌마을의 내발적 발전모델 제시를 위한 관광커뮤니티비즈니스 연구 - 경북 영덕군 차유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5-28, 2015
17 해양수산부, "어촌뉴딜300사업의 법적 추진체계를 갖추다"
18 한국어촌어항공단, "어촌뉴딜300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조사 및 사업유형 모델개발 연구용역" 7-10, 2018
19 이서구, "어촌뉴딜300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50 (50): 73-86, 2019
20 공라경, "어촌관광관련 법률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4 (24): 249-282, 2012
21 손재영, "어촌관광 체험프로그램의 유형과 지역별 특성 및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19-31, 2018
22 토지주택연구원, "어촌·어항이 환경변화에 따른 개발방향 연구" 33-54, 2019
23 포항시, "신창2리항 어촌뉴딜300사업 기본계획" 6-, 2019
24 강맹훈,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45-59, 2017
25 진성만, "도시재생법의 한계와 향후 개선과제"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129-152, 2015
26 허진하,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방향 모색"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187-196, 2011
27 한국지역개발학회,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지구 시행계획 개선 및 관리체계 개발 연구" 135-290, 2017
28 이태겸,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본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와 제안 - 금산읍 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159-176, 2019
29 김정태,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의 어촌지역주민 협력실태 : 어촌계원과 비어촌계원의 참여실태와 만족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9 (19): 1-22, 2012
30 국토교통부,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31 국토교통부,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32 장원봉, "[특집 : 사회적 경제와 지역활성화 1]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의미와 역할" 국토연구원 409 : 5-11, 2015
33 김용진, "IPA를 활용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대한 거주민 인식 - 장수군 장계면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23 (23): 133-14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