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 중 FTA 체결에 따른 수도권항만 카페리선사의 발전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4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이 경제대국으로의 성장한데 이어 한국의 제1위 교역국으로서 2015년 6월 1일 한 · 중 FTA 정식서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중간 교역 규모 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 · 중간 FTA 체결에 따라 더욱 증가할 수 있는 수출입 물동량과 한 · 중간 카페리 노선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현재 운항중인 카페리선사 및 컨테이너 정기선사를 이용 중인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카페리선사의 발전전략이라는 목적을 전제 하에 두 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한 · 중 카페리선사 및 정기선사를 이용하는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선사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카페리 및 정기선사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주요인은 신속성,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으로 구분하고 다시 신속성에 관한 세부요인을 한 · 중 해상항로를 운항하는 선박 운항시간과, 항만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시간, 그리고 관세법에 따른 절차를 이행하여 물품을 수출, 수입, 반송하는 통관시간으로 구분하였고, 경제성 요인에 관한 세부요인은 수도권항만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해상운임부분과 항만에서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비용, 그리고 항만 하역 후에 육상운송으로 화주에게 화물을 배송하는 내륙 연계 운임 비용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정성에 관한 세부요인으로는 카페리선과 정기선사 운항시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율과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라싱(Lashing) 및 쇼어링(Shoring) 등의 고박장치 시설, 그리고 운행표를 미리 작성하여 이것에 따라 선박을 운항할 때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이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운항의 정시성으로 세부요인을 구분하였다.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주요인에 대한 카페리 및 정기선사 선택요인의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결과, 카페리 선사 물류서비스 이용자인 화주그룹은 신속성 0.549, 안정성 0.309, 경제성 0.142로, 항목간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물류서비스 공급자인 포워더그룹은 신속성 0.350, 안정성 0.348, 경제성 0.302로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기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화주 및 포워더 그룹은 카페리 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그룹과 달리 경제성>안정성>신속성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중국이 경제대국으로의 성장한데 이어 한국의 제1위 교역국으로서 2015년 6월 1일 한 · 중 FTA 정식서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중간 교역 규모 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 · 중간 F...

      중국이 경제대국으로의 성장한데 이어 한국의 제1위 교역국으로서 2015년 6월 1일 한 · 중 FTA 정식서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중간 교역 규모 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 · 중간 FTA 체결에 따라 더욱 증가할 수 있는 수출입 물동량과 한 · 중간 카페리 노선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현재 운항중인 카페리선사 및 컨테이너 정기선사를 이용 중인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카페리선사의 발전전략이라는 목적을 전제 하에 두 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한 · 중 카페리선사 및 정기선사를 이용하는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선사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카페리 및 정기선사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주요인은 신속성,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으로 구분하고 다시 신속성에 관한 세부요인을 한 · 중 해상항로를 운항하는 선박 운항시간과, 항만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시간, 그리고 관세법에 따른 절차를 이행하여 물품을 수출, 수입, 반송하는 통관시간으로 구분하였고, 경제성 요인에 관한 세부요인은 수도권항만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해상운임부분과 항만에서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비용, 그리고 항만 하역 후에 육상운송으로 화주에게 화물을 배송하는 내륙 연계 운임 비용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정성에 관한 세부요인으로는 카페리선과 정기선사 운항시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율과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라싱(Lashing) 및 쇼어링(Shoring) 등의 고박장치 시설, 그리고 운행표를 미리 작성하여 이것에 따라 선박을 운항할 때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이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운항의 정시성으로 세부요인을 구분하였다.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주요인에 대한 카페리 및 정기선사 선택요인의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결과, 카페리 선사 물류서비스 이용자인 화주그룹은 신속성 0.549, 안정성 0.309, 경제성 0.142로, 항목간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물류서비스 공급자인 포워더그룹은 신속성 0.350, 안정성 0.348, 경제성 0.302로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기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화주 및 포워더 그룹은 카페리 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그룹과 달리 경제성>안정성>신속성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hina continues to evolve as a major economic power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was ratified on June 1, 2015, market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grow more rapidly.
      This study aim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r-ferry lines. We conducted two survey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The study analyzes the decision factors for delivery companies and their importance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Based on analysis of prior studies on the competition for car-ferry companies and liners, three primary variables are selected- promptness, economics, and safety. The promptness variable consists of shipping time, loading/unloading time, and customs clearing time. The economic variable consists of marine transportation cost from a domestic harbor to China, loading/unloading cost in the harbor, and overland transport cost from the harbor to shippers inland. Finally, the safety variable consists of cargo damage rates, safety facilities, such as lashing and shoring, and punctuality of transportation time.
      The survey and AHP results show that the promptness, safety, and economics factors are 0.549, 0.309, and 0.142 in the shipper groups of car-ferry companies’ category,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contrast, the factors are 0.350, 0.348, and 0.302 in the forwarders category,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ach factor’s importance. A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liner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economics, safety, and promptness.
      번역하기

      As China continues to evolve as a major economic power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was ratified on June 1, 2015, market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grow more rapidly. This study a...

      As China continues to evolve as a major economic power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was ratified on June 1, 2015, market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grow more rapidly.
      This study aim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r-ferry lines. We conducted two survey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The study analyzes the decision factors for delivery companies and their importance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Based on analysis of prior studies on the competition for car-ferry companies and liners, three primary variables are selected- promptness, economics, and safety. The promptness variable consists of shipping time, loading/unloading time, and customs clearing time. The economic variable consists of marine transportation cost from a domestic harbor to China, loading/unloading cost in the harbor, and overland transport cost from the harbor to shippers inland. Finally, the safety variable consists of cargo damage rates, safety facilities, such as lashing and shoring, and punctuality of transportation time.
      The survey and AHP results show that the promptness, safety, and economics factors are 0.549, 0.309, and 0.142 in the shipper groups of car-ferry companies’ category,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contrast, the factors are 0.350, 0.348, and 0.302 in the forwarders category,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ach factor’s importance. A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liner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economics, safety, and prompt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한 · 중 FTA 및 해상운송 현황
      • Ⅳ. 한 · 중 카페리 및 정기선사 선택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실증분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한 · 중 FTA 및 해상운송 현황
      • Ⅳ. 한 · 중 카페리 및 정기선사 선택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실증분석
      • Ⅴ. 실증분석 결과
      • Ⅵ.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