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별 CO₂ 배출량의 소득탄력성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Income Elasticity of CO₂ Emissions for 106 Countries : Estimating the Endogenous Structural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51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06개 국가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의 장단기 소득탄력성을 추정한 후 권역별, 소득별로 분류하여 이들의 평균적인 수치를 계산 및 비교하였다. World Bank에서 제공하는 106개 국가들의 1인당 GDP와 1인당 CO2 배출량의 시계열적 특성으로 인하여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을 수행하였다. 공적분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 18개 국가는 Dynamic OLS, Fully-Modified OLS 등의 공적분 회귀식을 추정하였고 공적분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 88개 국가는 ARDL(1,0) 모형을 추정하였다. World Bank 기준에 따라서 권역별 분류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유럽, 북아프리카 및 중동으로 분류하였고 소득별로는 고소득, 중소득, 저소득 국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장단기 소득탄력성이 모두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장기탄력성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유럽 국가들은 단기 소득탄력성은 (-)로 나타났고 장기 소득탄력성도 평균에 비해 매우 작은 수치를 보였다. 유럽의 결과를 통해서 유럽에서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경제성장이 환경오염을 개선시킨다는 환경 쿠즈네츠곡선가설이 성립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소득별 분석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장단기 탄력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특히, 고소득 국가에서 장기 소득탄력성이 확연히 낮은 수치를 보여서 장기적으로 소득의 증가가 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06개 국가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의 장단기 소득탄력성을 추정한 후 권역별, 소득별로 분류하여 이들의 평균적인 수치를 계산 및 비교하였다. World Bank에서 제공하는 106개 국...

      본 논문은 106개 국가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의 장단기 소득탄력성을 추정한 후 권역별, 소득별로 분류하여 이들의 평균적인 수치를 계산 및 비교하였다. World Bank에서 제공하는 106개 국가들의 1인당 GDP와 1인당 CO2 배출량의 시계열적 특성으로 인하여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을 수행하였다. 공적분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한 18개 국가는 Dynamic OLS, Fully-Modified OLS 등의 공적분 회귀식을 추정하였고 공적분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 88개 국가는 ARDL(1,0) 모형을 추정하였다. World Bank 기준에 따라서 권역별 분류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유럽, 북아프리카 및 중동으로 분류하였고 소득별로는 고소득, 중소득, 저소득 국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장단기 소득탄력성이 모두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장기탄력성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유럽 국가들은 단기 소득탄력성은 (-)로 나타났고 장기 소득탄력성도 평균에 비해 매우 작은 수치를 보였다. 유럽의 결과를 통해서 유럽에서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경제성장이 환경오염을 개선시킨다는 환경 쿠즈네츠곡선가설이 성립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소득별 분석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장단기 탄력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특히, 고소득 국가에서 장기 소득탄력성이 확연히 낮은 수치를 보여서 장기적으로 소득의 증가가 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the short- and long-run income elasticity on carbon dioxide emissions for 106 countries. We make a group of countries by the regional and income criteria following World Bank classifications and calculate the average income elasticity. We divide 106 countries into five regional sectors, Asia & Pacific, Africa, Latin America, Europe and Middle east & North Africa, and into three income groups, High-Income, Middle-Income and Low-Incom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hort- and long-run elasticity of African countries are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particularly the long-run elasticity is much higher. On the other hand, for European countries, the average short-run elasticity is negative and long-run elasticity is positive, but very low. We can infer that the EKC could arise in European countries from these results.
      For the income group, the higher the income the lower the short- and long-run elasticity. It implies CO₂ emissions through energy intensive industry account for small portion of the source of economic growth for high income countries.
      번역하기

      This paper estimates the short- and long-run income elasticity on carbon dioxide emissions for 106 countries. We make a group of countries by the regional and income criteria following World Bank classifications and calculate the average income elasti...

      This paper estimates the short- and long-run income elasticity on carbon dioxide emissions for 106 countries. We make a group of countries by the regional and income criteria following World Bank classifications and calculate the average income elasticity. We divide 106 countries into five regional sectors, Asia & Pacific, Africa, Latin America, Europe and Middle east & North Africa, and into three income groups, High-Income, Middle-Income and Low-Incom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hort- and long-run elasticity of African countries are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particularly the long-run elasticity is much higher. On the other hand, for European countries, the average short-run elasticity is negative and long-run elasticity is positive, but very low. We can infer that the EKC could arise in European countries from these results.
      For the income group, the higher the income the lower the short- and long-run elasticity. It implies CO₂ emissions through energy intensive industry account for small portion of the source of economic growth for high income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기존연구
      • Ⅲ. 실증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기존연구
      • Ⅲ. 실증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