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에니어그램 유형카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Enneagram Type C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6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에나어그램 성격유형 파악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카드 도구를 개발하고 본 도구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얼마나 잘 나타낼 수있는지에 대한 타당도를 검...

      본 연구는 에나어그램 성격유형 파악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카드 도구를 개발하고 본 도구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얼마나 잘 나타낼 수있는지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 유형카드 도구의 문항추출 및 문항선정과정은 1차,2차 및 3차에 걸처 이루어졌다. 차 문항선정과정은 문헌조사와 성인 대상 워크숍을 통해 문항을 추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토대로 총 114개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 문항선정과정은 1차 문항선정에서 추출한 114개 의 문항을 에니어그램 전문가 5인 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총 77문항을 선정하였다. 3차 문항선정과정은 2차 문항 과정에서 선정된 총 77개 의 문항분석으로 경인지역에 살고 있는 성인남녀 168 명의 자료로 분석을 실시하여 각 성격 유형별로 문항 전체 상관계수가 .30이상인 것을 선정하여 본 연구도구 최종문항 총 69문항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에니어그램 유형카드 도구를 개발하였다.
      공인타당도검증을 위해 서울 경인지역 성인4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에니어그랩 성격유형척도검사 결과와 본 연구도구 검사결과의 성격유형의 일치도를 살펴보면 7유형이 66.6%로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1유형과 9유형이 60.0%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2유형, 4유형, 6유형이 50.0%,5유형이 40.0%, 3유형이 33.3%의 일치율을 보이고 전체적인 일치율은 52.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문항구성 시 유형별 특성의 구인을 강점, 약점, 스트레스포인터, 안정포인터로 4개의 구인으로 문항을 구성했으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파악함에 있어 좀 더 쉽고, 융통성 있고, 자신을 보다 심도있게 관찰할 수 있는 정성적 방법으로 접근한 유형카드의 장점을 활용함과 더불어 자신의 성격유형을 검사하는데 기존척도와 상호보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identif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t aims to develop barometers for Ennegram personality type cards and to verify how those barometers reflect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n this study, question items th...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identif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t aims to develop barometers for Ennegram personality type cards and to verify how those barometers reflect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n this study, question items that serve as barometers for Enneagram personality type cards were sampled and selected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cesses. During the first question selection process, question items was sampled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workshops for adults, and then a total of 114 questions per Enneagram personality type were sampled based on experts' validation. In the second process, the 114 questions sampled in the first process were validated by 5 Enneagram experts to select 77 questions. In the third process, the selected 77 ques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168 females and male adults living in the Gyeongin area, and then questions whos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30 or higher were selected per personality type. A total of 69 questions were finally taken as the confirmed set of barometers.
      The meaning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questions based on four elements of personal types such as strength, weakness, stress pointer and stability pointer.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broke away from the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 while using the advantage of personality type cards that take a qualitative approach, which enables one to observe oneself more easily, flexibly, and minutely. Third,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are mutually complementary with the existing barometers in examining the personality type of one own.
      Furthermore, if the barometers are supplemented through the more elaborate study designs and its execution, they could become the highly reliable and validate barometers which is very useful as personality test to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