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쓰기 지도를 위한 초등학생 자기평가의 타당성 및 효과성 =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Assessment for Writ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78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과 쓰기지도를 위해 학생의 자기평가가 글쓰기 능력과 관련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 4학년생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실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과 쓰기지도를 위해 학생의 자기평가가 글쓰기 능력과 관련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 4학년생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을 선정하여, 8회에 걸친 쓰기 수행과제와 자기평가를 실시했다. 자기평가 집단은 쓰기 과제 수행 후에, 자기평가와 함께 고쳐 쓰기 활동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먼저 학생의 자기평가 점수와 교사평가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자기평가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평가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는 글쓰기 능력에서는 자기평가의 효과가 의미 있게 나타났으나, 흥미도와 자신감에서는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글쓰기 능력, 흥미도, 자신감과 관련변인으로서 독서량의 관계를 분석해보았는데, 글쓰기 능력은 흥미도와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도와 자신감은 둘다 독서량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생 대상의 글쓰기 지도에서 자기평가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for writing which is don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or self-assessment group and non-self-assessment group and 8 writi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for writing which is don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or self-assessment group and non-self-assessment group and 8 writing tasks were assigned to them. First, the valid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sessment was examined by the correlation(r) analysis between students` scores and teachers` score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self-assessment and teachers` had gener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is mean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assessment can be considered as valid for writing classes.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self-assessment group and non-self-assessment group revealed that self-assessment mad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writing skills but not on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Meanwhile, the relationships among writing ability, interest, self-confidence, and the amount of reading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variables for writ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writing 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interest, whil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rea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self-assessment can be used to improve writing skill in elementary schools, although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assessment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lso,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or improving their writing skil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소영, "중학교 영어과에서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강성우, "자기평가를 통한 영어학습 자율성의 향상"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48 (48): 21-40, 2006

      3 서민규, "자기평가가 창의적인 작문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4 김영채, "자기평가, 노력, 그리고 성적" 221-226, 2003

      5 우은실, "자기평가 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6 임천택, "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한 초등학생의 자기 평가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1998

      7 최승현,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8 남형채,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self-assessment)방법" 23 : 55-71, 2000

      9 지은림,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학습자 활동 평가" 2006

      10 황수정, "고등학생의 고쳐쓰기에 드러난 자기 조정 전략 활용 양상 연구 : 설득하는 글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2 (12): 97-116, 2008

      1 윤소영, "중학교 영어과에서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강성우, "자기평가를 통한 영어학습 자율성의 향상"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48 (48): 21-40, 2006

      3 서민규, "자기평가가 창의적인 작문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4 김영채, "자기평가, 노력, 그리고 성적" 221-226, 2003

      5 우은실, "자기평가 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6 임천택, "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한 초등학생의 자기 평가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1998

      7 최승현,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8 남형채,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self-assessment)방법" 23 : 55-71, 2000

      9 지은림,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학습자 활동 평가" 2006

      10 황수정, "고등학생의 고쳐쓰기에 드러난 자기 조정 전략 활용 양상 연구 : 설득하는 글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2 (12): 97-116, 2008

      11 Feagans,H, "Using Structured Questions to Improve Writing Self Evaluation" ERIC 1996

      12 Orsmond, P., "The use of formative feedback when using student derived marking criteria in peer and self-assessment" 27 (27): 345-375, 2002

      13 Shepard,L.A, "The role of assessment in a learning culture" 29 (29): 4-14, 2000

      14 Hatti, J, "The power of feedback" 77 (77): 2007

      15 Klenowski,V, "Student self-evaluation process in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of Australia and England" 2 : 145-163, 1995

      16 McMillan, J. H, "Student self-assessment: The key to stronger student motivation and higher acievement" 87 (87): 40-49, 2008

      17 Gipps,C.V, "Socio-cultural aspects of assessment.In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Vol 24, 355-392)."

      18 Fiderer,A, "On Writing:Expectations K-3" Scarsdale Public Schools 1986

      19 Narciss, S, "How to design informative tutoring feedback for multimedia learning.In Instructional design for meltimedia learning" Waxmann 181-195, 2004

      20 Schunk, D, "Goals and progress feedback: Effects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cnievement" 18 : 337-34, 1993

      21 Sadler,D.R, "Formative assessment: Revisiting the territory.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5 : 77-84, 1998

      22 Nicole, D. J, "Formative assess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model and seven principles of good feedback practice" 31 (31): 199-218, 2006

      23 Shute,V.J, "Focus on formative feedback" 78 (78): 153-188, 2008

      24 Black, P,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5 (5): 81-112,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