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약시 종류에 따른 시력과 중심외주시와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1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약시 종류에 따른 중심외주시와 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시로 인해 치료 중이거나 치료 경험이 있는 19명(7~40세)을 약시안들을 대상으로, 전체 약시안과 약시 원인에 따른 분류 중 사시성과 굴절성의 중심외주시와 최종 교정시력을 비교하였고, 최초 시 력과 최종 시력을 비교하여 중심외주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약시 대상자들의 중심외주시는 시력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r=-0.77, p<0.05)를 보였고, 사 시성(r=-0.72, p<0.05)과 굴절성(r=-0.70, p<0.05) 약시안 모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소 6 주 이 상의 약시 치료를 받은 두 그룹 모두 치료전의 최초 시력보다 최종 시력이 평균 2~3단계 시력 상승(p<0.05) 하였고, 중심외주시 또한 감소의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최종 시력에서 두 그룹간의 중심외주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아 약시 종류가 중심외주시의 최종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중 굴절 성 약시안들만 정상 시력과 함께 정상 주시형태를 보였다. 결 론: 약시의 종류와 상관없이 중심외주시는 시력 저하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약시 치료의 성 공률을 높이기 위해 약시안 특히, 굴절성 약시안의 단안 주시형태에 대한 측정과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번역하기

      목 적: 약시 종류에 따른 중심외주시와 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시로 인해 치료 중이거나 치료 경험이 있는 19명(7~40세)을 약시안들을 대상으로, 전체 약시안과 ...

      목 적: 약시 종류에 따른 중심외주시와 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시로 인해 치료 중이거나 치료 경험이 있는 19명(7~40세)을 약시안들을 대상으로, 전체 약시안과 약시 원인에 따른 분류 중 사시성과 굴절성의 중심외주시와 최종 교정시력을 비교하였고, 최초 시 력과 최종 시력을 비교하여 중심외주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약시 대상자들의 중심외주시는 시력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r=-0.77, p<0.05)를 보였고, 사 시성(r=-0.72, p<0.05)과 굴절성(r=-0.70, p<0.05) 약시안 모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소 6 주 이 상의 약시 치료를 받은 두 그룹 모두 치료전의 최초 시력보다 최종 시력이 평균 2~3단계 시력 상승(p<0.05) 하였고, 중심외주시 또한 감소의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최종 시력에서 두 그룹간의 중심외주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아 약시 종류가 중심외주시의 최종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중 굴절 성 약시안들만 정상 시력과 함께 정상 주시형태를 보였다. 결 론: 약시의 종류와 상관없이 중심외주시는 시력 저하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약시 치료의 성 공률을 높이기 위해 약시안 특히, 굴절성 약시안의 단안 주시형태에 대한 측정과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analyse correlation between eccentric fixation(EF) and visual acuity(VA) in different type of amblyopia Methods: Nineteen amblyopes aged 7~40 years who are undergoing amblyopia treatment or have experienced on it were participated. Comparisons between EF and final VA in all amblyopes and in different type of amblyopes(strabismic and refractive) were made, and also effect of EF was analysed through comparison of initial and final VA. Results: All amblyopes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r=-0.77, p<0.05) between EF and VA, and both strabismic(r=-0.72, p<0.05) and refractive(r=-0.70, p<0.05) amblyopes also showed strong correlation. Final VA in two groups who underwent amblyopia treatment for at least 6 weeks was improved as 2~3 lines of VA(p<0.05) than initial VA, and the degree of EF also decreased. However, different type of amblyopia did not contribute to change in final EF a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F was not found. Only refractive amblyopes of two reached normal visual acuity and showed normal fixation pattern. Conclusions: Regardless of type of amblyopia,EF was a major factor in decrease of VA. Therefor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monocular fixation pattern in amblyopia especially, refractive are needed for increase in the rate of amblyopia treatment.
      번역하기

      Purpose: To analyse correlation between eccentric fixation(EF) and visual acuity(VA) in different type of amblyopia Methods: Nineteen amblyopes aged 7~40 years who are undergoing amblyopia treatment or have experienced on it were participated. Compari...

      Purpose: To analyse correlation between eccentric fixation(EF) and visual acuity(VA) in different type of amblyopia Methods: Nineteen amblyopes aged 7~40 years who are undergoing amblyopia treatment or have experienced on it were participated. Comparisons between EF and final VA in all amblyopes and in different type of amblyopes(strabismic and refractive) were made, and also effect of EF was analysed through comparison of initial and final VA. Results: All amblyopes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r=-0.77, p<0.05) between EF and VA, and both strabismic(r=-0.72, p<0.05) and refractive(r=-0.70, p<0.05) amblyopes also showed strong correlation. Final VA in two groups who underwent amblyopia treatment for at least 6 weeks was improved as 2~3 lines of VA(p<0.05) than initial VA, and the degree of EF also decreased. However, different type of amblyopia did not contribute to change in final EF a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F was not found. Only refractive amblyopes of two reached normal visual acuity and showed normal fixation pattern. Conclusions: Regardless of type of amblyopia,EF was a major factor in decrease of VA. Therefor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monocular fixation pattern in amblyopia especially, refractive are needed for increase in the rate of amblyopia treat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