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분리불안해소 및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rt therapy was given to identify its effect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24-month-old female infant whose case was diagnosed as attachment disorder and separation anxiety disorder by a specialist in child psychiatry and fit the diagnostic criteria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in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Fourth Edition).
      In this study aimed at solve separation anxiety and improve problem behaviors, the mother and the infant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rt therapy sessions with a variety of art media, and after a series of sessions, counseling was given to the mother, using Separation Anxiety Test and Problem Behavior Test Sheet.
      The major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hanges in separation anxiety according to Separation Anxiety Test indicated that both the mother and the infa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paration anxiety criteria. Thus,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solving separation anxiety.
      Second, the result of changes in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Problem Behavior Test Sheet revealed that out of 10 problem behaviors, 7 problem behaviors were gone and 3 problem behaviors decreased. Therefore,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chang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subject who had various problem behaviors.
      Third, the result of observing changes by session demonstrated that the infant who had showed anxious and psychological dwarfed before session became stable and came to accept separation from mother session by session. Thus, art therapy brought many changes to the subject in its process by sess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 and has great values to be used as a strategy for separation anxiety treatment.
      번역하기

      In this study, art therapy was given to identify its effect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24-month-old female infant whose case was diagnosed as attachment disorder and...

      In this study, art therapy was given to identify its effect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24-month-old female infant whose case was diagnosed as attachment disorder and separation anxiety disorder by a specialist in child psychiatry and fit the diagnostic criteria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in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Fourth Edition).
      In this study aimed at solve separation anxiety and improve problem behaviors, the mother and the infant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rt therapy sessions with a variety of art media, and after a series of sessions, counseling was given to the mother, using Separation Anxiety Test and Problem Behavior Test Sheet.
      The major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hanges in separation anxiety according to Separation Anxiety Test indicated that both the mother and the infa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paration anxiety criteria. Thus,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solving separation anxiety.
      Second, the result of changes in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Problem Behavior Test Sheet revealed that out of 10 problem behaviors, 7 problem behaviors were gone and 3 problem behaviors decreased. Therefore,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chang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subject who had various problem behaviors.
      Third, the result of observing changes by session demonstrated that the infant who had showed anxious and psychological dwarfed before session became stable and came to accept separation from mother session by session. Thus, art therapy brought many changes to the subject in its process by sess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infants' separation anxiety solution and improvement in problem behavior and has great values to be used as a strategy for separation anxiety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불리불안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전혀 분리가 되지 않고 있는 유아의 분리불안 해소와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연구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소아 정신과에서 분리불안 진단을 받은 유아로 신체적으로는 이상이 없으나 분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배가 아프다며 신체적 통증을 호소하고 어머니에게 울고 떼쓰며 매달리는 만 24개월의 유아에게 주 1회씩 23주 동안 미술치료를 적용하였다. 유아에게 다양한 미술매체를 이용하여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어머니에게는 회기 진행 후 상담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모자 분리불안척도와 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와 치료종료 1개월 후를 비교하여 분리불안의 해소와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회기별 진행과정을 통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미술치료가 유아의 분리불안 해소 및 문제행동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불리불안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전혀 분리가 되지 않고 있는 유아의 분리불안 해소와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연구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소아 ...

      본 연구는 불리불안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전혀 분리가 되지 않고 있는 유아의 분리불안 해소와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연구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소아 정신과에서 분리불안 진단을 받은 유아로 신체적으로는 이상이 없으나 분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배가 아프다며 신체적 통증을 호소하고 어머니에게 울고 떼쓰며 매달리는 만 24개월의 유아에게 주 1회씩 23주 동안 미술치료를 적용하였다. 유아에게 다양한 미술매체를 이용하여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어머니에게는 회기 진행 후 상담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모자 분리불안척도와 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와 치료종료 1개월 후를 비교하여 분리불안의 해소와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회기별 진행과정을 통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미술치료가 유아의 분리불안 해소 및 문제행동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계발에 미치는 효과" 8 (8): 63-99, 2001

      2 "정서ㆍ행동장애아를 위한 미술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3 "유 아동의 발달을 돕는 미술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4 "언어훈련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2): 85-110, 1995

      5 "어머니의 자녀양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6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간의 관계" 2003

      7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2001

      8 "어머니의 격리불안척도의 개발" 13 : 16-37, 1990

      9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13 (13): 16-37, 1992

      10 "어머니와 영유아의 분리불안과의 관계" 2001

      1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계발에 미치는 효과" 8 (8): 63-99, 2001

      2 "정서ㆍ행동장애아를 위한 미술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3 "유 아동의 발달을 돕는 미술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4 "언어훈련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2): 85-110, 1995

      5 "어머니의 자녀양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6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간의 관계" 2003

      7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2001

      8 "어머니의 격리불안척도의 개발" 13 : 16-37, 1990

      9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13 (13): 16-37, 1992

      10 "어머니와 영유아의 분리불안과의 관계" 2001

      11 "애착문제를 갖는 아동의 개인놀이치료 및 집단역할놀이에 대한 사례연구" 2 : 59-74, 1999

      12 "애착 유형에 따른 자기상이 대인지각에 미치는 효과" 1999

      13 "아동의 이해와 심리행동 치료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7

      14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그 변인에 관한 연구" 1987

      15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 전략" 2000

      16 "아동미술치료" 중문 2002

      17 "소조활동 중심의 미술치료가 아동의 분리불안과 애착관계에 미치는 효과" 2002

      18 "분리불안장애아의 부모-자녀관계변화에 미치는 부모 놀이치료의 효과" 1998

      19 "분리불안장애" 24-28, 1995

      20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의한 접근방법이 부적응행동개선에 미치는 효과 - 반응성애착장애아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5 (5): 125-144, 1998

      21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동아출판사 1995

      22 "미술치료란 무엇인가?" (10) : 140-146, 1995

      23 "미술치료가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및 상호작용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10 (10): 101-126, 2003

      24 "미술치료가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자기통제 능력 및 상호작용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10 (10): 101-126, 2003

      25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를 통한 아동의 공격성 완화효과" 3 (3): 1996

      26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치료적 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아동변인연구" 5 (5): 15-26, 2001

      27 "^자녀양육행동아동의 낯가림 경험 및 어머니의 분리불안" 36 : 13-20, 1998

      28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1953

      29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Jason Aroson 1993

      30 "The nature d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i Journal of Psychoanalysis" 1958

      31 "The concept of maternal overprotection" 387-409, 1970

      32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1992

      33 "Temperamental contrinbutions to social behavior" 44 : 668-674, 1984

      34 "Relations to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in mothers of infant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6 : 57-72, 1995

      35 "Pouring new wine into old bottles The social self as internal Working model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991

      36 "Patterrns of attachment" 1978

      37 "Pathophysiology of childhood anxiety disorders" 1555-1566, 1999

      38 "Hand of art theraphy" The Guilford Press 2003

      39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hild reports of manifest anxietyand symptoms of separation anxiety and overanxious disorders: A community-based twin study" 27 : 15-28, 1997

      4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994

      41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and sons 1980

      42 "Anxious attachment and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women" 29 : 47-56, 1999

      43 "An evaiuation of modeling and experimental procedures for self-disclo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18-124, 1977

      44 "A model of evauation and treatment" 221-230, 1997

      45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tiology of separation anxiety" 39 : 1395-1410, 2001

      46 "A Secure Bace" Bagic Books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