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소아청소년에서 short-lasting headaches =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3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present in the pediatric age group. Short-lasting headaches (SLH) have been infrequently repor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of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 hundred twenty-three consecutive patients attended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Headache Center between March 2006 and July 2007. Among 123 headache patients, 44 patients with one key criterion, namely, recurrent headaches episodes of a few seconds to less than 30 minutes, were selected.
      Results : Of the 123 headache patients, 44 (35.8%, males 18, females 26) had SLH. The mean age was 9.24 years (range 2.3-14.2). The mean headache frequency was 11.50±10.30 per month, mean severity was 4.86±1.36 out of 10, and the mean PedMIDAS score was 7.97±17.51. SLH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children <6 years old (10/22, 45.5%) than in ≥6 years old (34/101, 33.7%) (P=0.015). The nature of pain was pressure in 30.2%, stabbing in 27.9%, throbbing in 18.6%, and dull in 11.7%. In 52.4% patients, the pain occurred in the front, one side of the temple in 28.5%, both sides of the temple in 7.1%, and back in 4.8% patients. The duration of attacks was <6 minutes in 38% and ≥6 minutes in 61.4%. The intensity of the pain was 4-6 out of 10 in 75.0%, in 13.6% 1-3, and in 11.4% 7-10. Treatmen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the frequency, duration, and severity of headaches and the PedMIDAS score after 3 months (P<0.05).
      Conclusion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common (35.8%)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se are difficult to classify according to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riteria. The outcome, after a period of 3 months to 2 years, was favorable in most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ather more data and to obtain a better description of these forms of headache in the pediatric group.
      번역하기

      Purpose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present in the pediatric age group. Short-lasting headaches (SLH) have been infrequently repor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

      Purpose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present in the pediatric age group. Short-lasting headaches (SLH) have been infrequently repor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of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 hundred twenty-three consecutive patients attended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Headache Center between March 2006 and July 2007. Among 123 headache patients, 44 patients with one key criterion, namely, recurrent headaches episodes of a few seconds to less than 30 minutes, were selected.
      Results : Of the 123 headache patients, 44 (35.8%, males 18, females 26) had SLH. The mean age was 9.24 years (range 2.3-14.2). The mean headache frequency was 11.50±10.30 per month, mean severity was 4.86±1.36 out of 10, and the mean PedMIDAS score was 7.97±17.51. SLH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children <6 years old (10/22, 45.5%) than in ≥6 years old (34/101, 33.7%) (P=0.015). The nature of pain was pressure in 30.2%, stabbing in 27.9%, throbbing in 18.6%, and dull in 11.7%. In 52.4% patients, the pain occurred in the front, one side of the temple in 28.5%, both sides of the temple in 7.1%, and back in 4.8% patients. The duration of attacks was <6 minutes in 38% and ≥6 minutes in 61.4%. The intensity of the pain was 4-6 out of 10 in 75.0%, in 13.6% 1-3, and in 11.4% 7-10. Treatmen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the frequency, duration, and severity of headaches and the PedMIDAS score after 3 months (P<0.05).
      Conclusion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common (35.8%)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se are difficult to classify according to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riteria. The outcome, after a period of 3 months to 2 years, was favorable in most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ather more data and to obtain a better description of these forms of headache in the pediatric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소아와 청소년에서 반복적이고 수초에서 수분 지속되는 short lasting headaches (SLH)에 대해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두통은 성인 일차성 두통 진단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에서 반복되고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선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2006년 4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방문한 두통환자 123명중 수초에서 30분 지속되는 두통을 반복해서 경험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특성과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두통에 의한 장애, 두통의 양상, 발생 장소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 과 : SLH은 44명(35.8%)이었고, 남자 18명, 여자 26명이었다. 6세 미만에서는 45.5%, 6세 이상은 33.7%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6세 미만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다(P=0.015). 나이는 평균 9.24±3.13세, 한 달 동안 두통의 빈도 11.5±10.30, 심한정도 4.86±1.36, PedMIDAS 7.97±17.51이었으며, 방문 전 두통을 앓았던 기간은 7.99±8.84개월이었다. 일차성 자두통의 진단 기준에 적합한 경우는 8명(18.2%)이었다. SLH 환자의 나이,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PedMIDAS, 발생 전 기간과 가족력에서 남녀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없었다. 양상은 누르는 듯한 두통이 30.2%로 가장 많았으며, 찌르는 듯한 27.9%, 박동성 18.6%, 둔한 11.6%, 쥐어짜듯이 7.0% 순이었다. 통증 위치는 이마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한쪽 옆이 28.6%, 양쪽 옆 7.1%, 뒤 머리 4.8% 순이었다. 지속시간은 6-15분이 36.4%로 가장 많았고, 1-5분이 27.3%, 16-30분 미만 25.0%, 1분 이하가 11.3%이었다. 심한 정도는 1-3점이 13.6%, 4-6점 75.0%, 7-10점 11.4%이었다. 치료로 비약물적 치료로 상담과 생활 방식의 교육만 한경우가 36.4%, 급성기 약물 치료 34.1%, 교육과 예방적 약물치료 18.2%, 급성기 약물 치료와 예방적 약물치료를 같이 한 경우 9.1%이었다. 3개월 뒤 방문시 초기 방분보다 두통의 빈도, 심한정도, 지속시간, 두통에 의한 장애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 론 : 소아청소년에서 SLH은 35.8%로 흔하나, 성인의 일차성 두통 진단기준에 합당한 경우는 일차성 자두통이 18.2%로 대부분 성인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서 소아와 청소년에서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치료 후 예후는 대부분에서 좋았다. 이러한 두통의 임상적 특징과 두통 분류와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 적 : 소아와 청소년에서 반복적이고 수초에서 수분 지속되는 short lasting headaches (SLH)에 대해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두통은 성인 일차성 두통 진단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가 많다. ...

      목 적 : 소아와 청소년에서 반복적이고 수초에서 수분 지속되는 short lasting headaches (SLH)에 대해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두통은 성인 일차성 두통 진단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에서 반복되고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선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2006년 4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방문한 두통환자 123명중 수초에서 30분 지속되는 두통을 반복해서 경험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특성과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두통에 의한 장애, 두통의 양상, 발생 장소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 과 : SLH은 44명(35.8%)이었고, 남자 18명, 여자 26명이었다. 6세 미만에서는 45.5%, 6세 이상은 33.7%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6세 미만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다(P=0.015). 나이는 평균 9.24±3.13세, 한 달 동안 두통의 빈도 11.5±10.30, 심한정도 4.86±1.36, PedMIDAS 7.97±17.51이었으며, 방문 전 두통을 앓았던 기간은 7.99±8.84개월이었다. 일차성 자두통의 진단 기준에 적합한 경우는 8명(18.2%)이었다. SLH 환자의 나이,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PedMIDAS, 발생 전 기간과 가족력에서 남녀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없었다. 양상은 누르는 듯한 두통이 30.2%로 가장 많았으며, 찌르는 듯한 27.9%, 박동성 18.6%, 둔한 11.6%, 쥐어짜듯이 7.0% 순이었다. 통증 위치는 이마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한쪽 옆이 28.6%, 양쪽 옆 7.1%, 뒤 머리 4.8% 순이었다. 지속시간은 6-15분이 36.4%로 가장 많았고, 1-5분이 27.3%, 16-30분 미만 25.0%, 1분 이하가 11.3%이었다. 심한 정도는 1-3점이 13.6%, 4-6점 75.0%, 7-10점 11.4%이었다. 치료로 비약물적 치료로 상담과 생활 방식의 교육만 한경우가 36.4%, 급성기 약물 치료 34.1%, 교육과 예방적 약물치료 18.2%, 급성기 약물 치료와 예방적 약물치료를 같이 한 경우 9.1%이었다. 3개월 뒤 방문시 초기 방분보다 두통의 빈도, 심한정도, 지속시간, 두통에 의한 장애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 론 : 소아청소년에서 SLH은 35.8%로 흔하나, 성인의 일차성 두통 진단기준에 합당한 경우는 일차성 자두통이 18.2%로 대부분 성인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서 소아와 청소년에서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치료 후 예후는 대부분에서 좋았다. 이러한 두통의 임상적 특징과 두통 분류와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Zwart J, "The prevalence of migraine and tension-type headache among adolescents in Norway" 24 : 373-379, 2004

      2 Lipton RB, "The epidemiology of migraine" 118 (118): 3S-10S, 2005

      3 Headache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ition" 24 (24): S9-S16, 2004

      4 Lewis DW, "The "other" primary headaches in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33 : 303-313, 2005

      5 Vieira JP,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26 : 1220-1224, 2006

      6 Abu-Arafeh I, "Short migraine attacks of less than 2 h dur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4 : 333-338, 2004

      7 Pareja J, "SUNCT syndrome: A clinical review" 37 : 195-202, 1997

      8 Raieli V, "Recurrent and chronic headaches in children below six years of age" 6 : 135-142, 2005

      9 Rothner AD, "Miscellaneous headache syndr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 : 159-164, 1995

      10 Sjaastad O, "Long lasting cephalic jabs. The Vaga study of headache epidemiology" 25 : 581-592, 2005

      1 Zwart J, "The prevalence of migraine and tension-type headache among adolescents in Norway" 24 : 373-379, 2004

      2 Lipton RB, "The epidemiology of migraine" 118 (118): 3S-10S, 2005

      3 Headache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ition" 24 (24): S9-S16, 2004

      4 Lewis DW, "The "other" primary headaches in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33 : 303-313, 2005

      5 Vieira JP,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26 : 1220-1224, 2006

      6 Abu-Arafeh I, "Short migraine attacks of less than 2 h dur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4 : 333-338, 2004

      7 Pareja J, "SUNCT syndrome: A clinical review" 37 : 195-202, 1997

      8 Raieli V, "Recurrent and chronic headaches in children below six years of age" 6 : 135-142, 2005

      9 Rothner AD, "Miscellaneous headache syndr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 : 159-164, 1995

      10 Sjaastad O, "Long lasting cephalic jabs. The Vaga study of headache epidemiology" 25 : 581-592, 2005

      11 Soriani S, "Juvenile idiopathic stabbing headache" 36 : 565-567, 1996

      12 Fusco C, "Idiopathic stabbing headac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25 : 237-240, 2003

      13 Raieli V, "Idiopathic stabbing headache in the juvenile population: a clinical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3 : 21-25, 2002

      14 Pareja JA, "Idiopathic stabbing headache" 16 : 93-96, 1996

      15 Gallai V, "Applicability of the 1988 IHS criteria to headache patients under age of 18 years attending 21 Italian headache clinics" 35 : 146-153, 1995

      16 Goadsby PJ, "A review of paroxysmal hemicranias, SUNCT syndrome and other short-lasting headaches with autonomic features including new cases" 120 : 193-209, 1997

      17 Goadsby P, "A review of paroxysmal hemicranias, SUNCT syndrome and other short-lasting headaches with autonomic feature, including new cases" 120 : 193-209,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7-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과학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소아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2 0.36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