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리금철의 과학환상소설에 관한 고찰  :  『아동문학』에 수록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eum-chul Lee’s Science Fiction -Focusing on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3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present, North Korea is on “Military-First Period”. North Korea promotes the “Military-First Politics”, called “Songun Politics”, as its national management system. “Building a strong and big country” has been North Korea’s core s...

      At present, North Korea is on “Military-First Period”. North Korea promotes the “Military-First Politics”, called “Songun Politics”, as its national management system. “Building a strong and big country” has been North Korea’s core slogan used on its people over the past decades along with its “Military-First Politics”. The core logic of “Building a strong and big country” was creating a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introduction of “Military-First Period”, children’s literature of North Korea has emphasised on science fiction. Geum-chul Lee is North Korea’s representative children’s science fiction writer today. Since the 1990s, Geum-chul Lee has published many science fiction stories in 『hildren’s Literature』Magazine of North Korea, and his works are clearly outstanding among those published in the magazine. He created a variety of exciting shapes and incorporated a variety of exciting materials in his writings.
      This article reviews Geum-chul Lee’s science fiction stories and provides comprehens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also ruptures, found in his works. Observing his writings, we can see that a series of exciting events take place in the space, and various types of robots appear in them. These traits are enough to satisfy children readers of North Korea. In addition, Geum-chul Lee’s science fiction stories are enough to stimulate interests from children readers of South Korea who are confined to the routine of school and home.
      It is true that Geum-chul Lee’s science fiction stories contain a variety of factors that children readers may enjoy. However, they also have many fatal problems as child characters decide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Geum-chul Lee’s science fiction stories, respect for the rights of children does not exist. In his works, child characters are just committed to the cause of “Building a strong and big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선군시대’와 ‘과학환상소설’
      • Ⅱ. 리금철 작품세계의 특색
      • Ⅲ. 리금철 작품세계의 균열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선군시대’와 ‘과학환상소설’
      • Ⅱ. 리금철 작품세계의 특색
      • Ⅲ. 리금철 작품세계의 균열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종찬, "한국동화 장르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각국과 다른 '동화' 개념의 연원" 민족문학사학회 (30) : 325-350, 2006

      2 최원식,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3 정룡진, "주체문학전서 6 아동문학" 문학예술출판사 2008

      4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오정애, "조선현대아동소설연구-해방후편" 사회과학출판사 1993

      6 "조선문학"

      7 루이 알튀세르, "자본론을 읽는다" 두레 1991

      8 정룡진, "아동문학의 새로운 발전" 문예출판사 1991

      9 "아동문학"

      10 전덕성, "선군정치에 대한 리해" 평양출판사 2004

      1 원종찬, "한국동화 장르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각국과 다른 '동화' 개념의 연원" 민족문학사학회 (30) : 325-350, 2006

      2 최원식,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3 정룡진, "주체문학전서 6 아동문학" 문학예술출판사 2008

      4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오정애, "조선현대아동소설연구-해방후편" 사회과학출판사 1993

      6 "조선문학"

      7 루이 알튀세르, "자본론을 읽는다" 두레 1991

      8 정룡진, "아동문학의 새로운 발전" 문예출판사 1991

      9 "아동문학"

      10 전덕성, "선군정치에 대한 리해" 평양출판사 2004

      11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 창작과비평사 1991

      12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북한문학의 지형도 2 - 선군 시대의 문학" 청동거울 2009

      13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북한문학의 지형도" 청동거울 2008

      14 김재용,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15 서동만저작집간행위원회, "북조선 연구" 창비 2010

      16 피에르 마슈레, "문학생산이론을 위하여" 백의 1994

      17 황정상, "과학환상문학창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7 1.0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