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共積分-誤差修正模型(cointegaration-error correction model)을 사용하여 한국 화폐수요함수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우선 非正常 시계열과정중 장기적 균형관계의 수를 나타내는 共積分...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807193
1997년
English
361.000
한국연구재단(NRF)
163-1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共積分-誤差修正模型(cointegaration-error correction model)을 사용하여 한국 화폐수요함수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우선 非正常 시계열과정중 장기적 균형관계의 수를 나타내는 共積分...
본 논문에서는 共積分-誤差修正模型(cointegaration-error correction model)을 사용하여 한국 화폐수요함수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우선 非正常 시계열과정중 장기적 균형관계의 수를 나타내는 共積分階數가 설정된 후, 공적분벡터의 추정을 통해 화폐수요함수내의 장기균형관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화폐수요함수에서 통화-소득의 長期比例性가설과 정기예금금리-채권수익률의 장기비례성 가설이 공적분벡터에 대한 線形制約이 형태로서 검정되었다. 오차수정모형의 長期調整係數에 대한 선형제약의 검정을 통하여 화폐수요함수 내의 장기적 균형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弱外生變數의 식별이 시도되었다. 또한 화폐수요함수의 오차수정모형 내의 短期動學(short-run dynamics)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短期行例의 母數에 대한 추정도 행해졌다.
분석결과, 실질임금 변수를 포함하지 않는 M1과 M2의 실질잔고에 대한 화폐수요의 단순모형 내에서는 장기균형관계, 즉 공적분관계가 각각 1개씩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단순 M1모형에서는 통화-소득의 장기비례성 가설이 5% 有意水準에서 棄却되었으나 단순 M2모형에서는 통화-소득의 장기비례성 및 정기예금금리-채권수익률의 장기비례성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실질임금을 포함한 화폐수요의 확장모형에서는 M1을 사용하였을 경우, 2개의 장기균형관계가 발견되었으나 M2를 사용한 경우에는 1개의 장기균형관계가 발견되었다. 확장된 M1모형에서는 통화-소득의 장기비례성 및 정기예금금리-채권수익률의 장기비례성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확장된 M2모형에서는 실질소득과 소비자물가변동률을 위한 장기조정계수의 t-통계량이 無制約模型에서 非有意하게 나왔기 때문에 이 변수들의 방정식이 장기균형관계(공적분벡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弱外生性 가설이 검정되었다. 검정 결과, 이 가설이 채택되었으므로, 실질임금을 포함한 M2 화폐수요의 확장모형에서는 통화-소득 및 정기예금금리-채권수익률의 장기비례성이 존재하며, 실질소득과 소비자물가변동률은 장기균형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