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할 때 용매의 끓는점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안트라센 계열 저분자에서 확인하기 위해 결정성이 각각 다른 두개의 저분자를 합성하였다. 결정성이 높은 9...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43526
2016
-
500
학술저널
166-16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기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할 때 용매의 끓는점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안트라센 계열 저분자에서 확인하기 위해 결정성이 각각 다른 두개의 저분자를 합성하였다. 결정성이 높은 9...
유기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할 때 용매의 끓는점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안트라센 계열 저분자에서 확인하기 위해 결정성이 각각 다른 두개의 저분자를 합성하였다. 결정성이 높은 9,10-di(4`-pentylphenylethynyl)-anthra[2,3-b:6,7-b`]dithiophene (DPPEADT) 와 결정성이 없는 9,10-bi( [9`,9`-dimethyl-fluoren-2-ylethynyl])-anthra[2,3-b:6,7-b`]dithiophene (DFEADT) 를 합성하여 각각에 대해 끓는점이 각기 다른 세가지 용매를 이용해 형성한 박막에 대한 모폴로지, 전기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박막의 필름 모폴로지와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성질이 용매의 끓는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결정성 분자에서는 끓는점이 높아질수록 필름의 결정화도와 전하 이동도가 향상되었다. 반면에, 결정성이 없는 DFEADT의 경우는 용매의 끓는점과 필름의 결정화도, 전하이동도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교통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터치패널용 UV 경화 실버 페이스트 바인더의 접착특성 향상을 위한 연구
Deep blue electroluminescence from an ionic organic small molec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