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돌봄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이고 돌봄은 여전히 주변화(marginalizing) 되어 있다. 돌봄의 사회화가 실질적으로 ‘절반(折半)의 사회화’에 머물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50757
2018
Korean
돌봄정의 ; 낸시 프레이저 ; 돌봄정책 ; 장기요양 ; 돌봄의 주변화 ; 돌봄의 주류화 ; 돌봄사회 ; Caring Justice ; Nancy Fraser ; Care Policy ; Long-Term Care ; Marginalization of Care ; Mainstreaming of Care ; Caring Society
KCI등재
학술저널
57-91(3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돌봄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이고 돌봄은 여전히 주변화(marginalizing) 되어 있다. 돌봄의 사회화가 실질적으로 ‘절반(折半)의 사회화’에 머물고 있...
사회적 돌봄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이고 돌봄은 여전히 주변화(marginalizing) 되어 있다. 돌봄의 사회화가 실질적으로 ‘절반(折半)의 사회화’에 머물고 있는 것은 돌봄을 둘러싼 사회 부정의(不正義)의 결과이다. 따라서 돌봄의 문제를 정의(Justice)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돌봄정의(Caring Justice)를 논함에 있어 존 롤스의 사회계약론에 기반한 사회정의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페미니스트 돌봄윤리에 관한 저작들을 통해 정리하고, Nancy Fraser의 3차원 정의기준인 (재)분배(redistribution), 인정(recognition), 대표(representation)를 기준으로 돌봄정의 개념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 때 돌봄의 관계적 측면에 주목하여, 돌봄정의 개념을 돌봄수혜자의 돌봄 사회권(社會權) 측면뿐만 아니라 돌봄제공자의 노동권(勞動權) 측면을 포함하는 통합적(統合的)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돌봄정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돌봄정책 이념유형(ideal types)을 도출한 다음, 한국 돌봄정책의 중심축인 노인 장기요양정책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책임의 사회화 및 사회적 자원의 정당한 분배 관점에서, 특히 돌봄제공자의 노동권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돌봄윤리와 돌봄의 개별화 관점에서 돌봄수혜자 및 돌봄제공자의 관계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제공체계와 돌봄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돌봄책임을 민주적으로 배분하고 정당한 자원배분을 위하여 돌봄문제를 정치적 중심 아젠다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돌봄의 주변화(marginalization of care)로부터 돌봄의 주류화(mainstreaming of care)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돌봄사회(Caring Society)를 지향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rapid growth of social care, understanding of care is segmental and caring is still marginalizing. The socialization of caring is actually a ‘half-socialization" that is the result of injustice surrounding caring. Therefore, it is necess...
Despite the rapid growth of social care, understanding of care is segmental and caring is still marginalizing. The socialization of caring is actually a ‘half-socialization" that is the result of injustice surrounding c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caring in terms of justice. In this paper, I discuss the limitations of social justice based on John Rawls "s social contract theory in the discussion of caring justice through feminists’writings on caring ethics. And then applying Nancy Fraser" s three scales of Justice-re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the concept of caring justice has been newly constructed. The concept of caring is defined as a unified concept of caring including the aspect of the social rights of the care recipient as well as the labor rights of the care provider. Based on the analysis of care justice, we derive the ideal types of care policy and then evaluate the long-term care policy for the elderly,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Korean care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abor rights of care providers especially for the socializa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and the proper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 Second, a service delivery system and care culture are needed to ensure the relational autonomy of care-receivers and care-givers for caring ethics and individualization of care. Third, the issue of care should be treated as the central agenda of politics in order to distribute care responsibility democratically and to distribute legitimate resources. This requires a paradigm shift from marginalization of care to mainstreaming of care. Ultimately, we should aim for a Caring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정책 패러다임의 성찰과 전환" 2015
2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97-228, 2008
3 홍경준,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와 임금불이익"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133-158, 2014
4 Fraser, N., "지구화 시대의 정의 :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Fraser, N. Scales of Justice : Reimaging Political Space in a Globalizing World. . (2008)" 그린비 2011
5 석재은, "좋은 돌봄의 필요조건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203-225, 2015
6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21-249, 2014
7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합리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23-451, 2017
8 홍찬숙, "사회정의론에 대한 돌봄 관점의 논증 에바 F. 커테이 지음, 김희강・나상원 옮김, 『돌봄: 사랑의 노동』, 박영사, 2017" 한국여성학회 33 (33): 317-327, 2017
9 황보람, "사회적 돌봄 정책의 성격 규명에 관한 이론적 연구: 복지국가의 공사 구별 정치경제 관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26, 2009
10 최영준, "사회서비스 거버넌스의 재구조화: 재량혼합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35-60, 2016
1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정책 패러다임의 성찰과 전환" 2015
2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97-228, 2008
3 홍경준,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와 임금불이익"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133-158, 2014
4 Fraser, N., "지구화 시대의 정의 :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Fraser, N. Scales of Justice : Reimaging Political Space in a Globalizing World. . (2008)" 그린비 2011
5 석재은, "좋은 돌봄의 필요조건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203-225, 2015
6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21-249, 2014
7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합리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23-451, 2017
8 홍찬숙, "사회정의론에 대한 돌봄 관점의 논증 에바 F. 커테이 지음, 김희강・나상원 옮김, 『돌봄: 사랑의 노동』, 박영사, 2017" 한국여성학회 33 (33): 317-327, 2017
9 황보람, "사회적 돌봄 정책의 성격 규명에 관한 이론적 연구: 복지국가의 공사 구별 정치경제 관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26, 2009
10 최영준, "사회서비스 거버넌스의 재구조화: 재량혼합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35-60, 2016
11 Fraser, N, "분배냐, 인정이냐?: 정치절학적 논쟁" 사월의 책 2014
12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3 김기덕, "롤즈의 정의론에 관한 철학적 고찰: 윤리적 측면과 인식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6) : 67-90, 2005
14 이주환, "돌봄직의 임금불이익과 임금격차 분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33-57, 2015
15 이선미, "돌봄의 특성과 돌봄 공공성의 요건" 한국이론사회학회 (29) : 223-260, 2016
16 마경희, "돌봄의 정치적 윤리: 돌봄과 정의의 이원론을 넘어"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319-348, 2010
17 김희강, "돌봄국가: 복지국가의 새로운 지평" 정부학연구소 22 (22): 5-30, 2016
18 Engster, D., "돌봄: 정의의 심장" 박영사 2017
19 Kittay, E. F., "돌봄: 사랑의 노동" 박영사 2017
20 Held, V., "돌봄: 돌봄윤리" 박영사 2017
21 Tronto, J., "돌봄 민주주의:시장, 평등, 정의" 박영사 2014
22 보건복지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현황 자료. 내부자료" 2018
23 석재은, "노인돌봄" 양서원 17-48, 2011
24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결과 현황 자료(2018년 4월 기준)"
25 남찬섭, "공공성과 인정의 정치, 그리고 돌봄의 윤리" 한국사회연구소 13 (13): 87-121, 2012
26 笹谷春美, "ニーズ中心の福祉社會へ: 当事者主權の次世代福祉戰略" 醫學書院 2008
27 Slote, M., "The Justice of Caring" 15 (15): 171-, 1998
28 Dean, H., "The Ethics of Welfare: Human rights, Dependency and Responsibility" The Policy Press 2004
29 Daly, M.,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51 (51): 281-298, 2000
30 Hamington, M, "Socializing Care: Feminist Ethics and Public Issues" Rowman & Littlefield 2006
31 Tronto, J., "Socializing Care" Row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3-25, 2005
32 Henderson, J., "Relationship-based Social Policy: Personal and Policy Constructions of 'Care'" 22 (22): 669-687, 2002
33 Brandsen, C., "Public Ethic of Care: Implications for Long-term care and Social Work Practic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1
34 Taylor-Goodby, P, "New Risk,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5 Tronto, J., "Moral Boundaries: A Political 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Routledge 1993
36 통계청, "KOSIS 장래인구추계 data" 2017
37 Okin, S. M., "Justice, Gender, and Family" Basic Books 1989
38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39 OECD,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2017
40 Knijn, T., "Gender and the Caring Dimension of Welfare States: Towards Inclusive Citizenship" 4 : 328-361, 1997
41 Nussbaum, M. C., "Ethical Choices in Long-Term Care: What Does Justice Require?" WHO 2002
42 Kittay, E. F., "Ethical Choices in Long-Term Care: What Does Justice Require?" WHO 77-83, 2002
43 Fine, M., "Dependence, Independence or Inter-dependence? Revisiting the Concepts of 'Care' and 'Dependency'" 25 : 601-621, 2005
44 Clark, J., "Consumers, Clients or Citizens? Politics, Policy and Practice in the Reform of Social Care" 8 (8): 423-442, 2006
45 Sevenhuijsen, S., "Citizenship and the Ethics of Care: Feminist Considerations on Justice, Morality, and Politics" Routledge 1998
46 Noddings, N.,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47 Szebehely, M., "Carework in Scandinavia: Organizational Trends and Everyday Realities" 2007
48 Bubeck, D. E, "Care, Gender, and Justice" Clarendon Press 1995
49 Clement, G., "Care, Autonomy, and Justice: Feminism and the Ethic of Care" Westview Press 1996
50 Daly, M., "Care as a Good for Social Policy" 31 (31): 251-270, 2002
비취학 청년들을 위한 한국의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0-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5 | 1.16 | 1.544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