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로벌 기후 레짐과 브라질 기후 외교와 정책 = Global Climate Regime and Brazil's Climate Diplomacy and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0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4년 브라질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서 룰라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 무결성 글로벌 이니셔티브” 협약을 체결하고, 기후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규제를 제안했다. 브라질은 기후 외교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25년 벨렝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30)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 기후 레짐에서 브라질의 기후외교를 분석하고 평가했다. 브라질은 아마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국제 환경 회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룰라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브라질은 다자주의 재건과 기후 및 환경 중점 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은 1992년 리우 환경 회의를 계기로 환경 및 기후 부문에서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2012년 리우+20 회의에서도 빈곤 퇴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강조했다. 브라질은 리우-92와 리우+20 회의에서 개발도상국의 입장을 대변하며,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CBDR)” 원칙을 제안했다. 브라질은 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COP 3에서 교토의정서 채택, COP 14에서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 제안, COP 21에서 파리 협정 체결, COP 27에서 손실과 피해 기금 설립 등을 통해 기후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브라질은 탄소 거래 시장 제도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설정하여 기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은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67%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약속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채택과 기후 회복력 전략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브라질은 글로벌 기후 레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기후 외교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COP 30을 계기로 브라질의 기후 외교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브라질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번역하기

      2024년 브라질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서 룰라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 무결성 글로벌 이니셔티브” 협약을 체결하고, 기후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디지...

      2024년 브라질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서 룰라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 무결성 글로벌 이니셔티브” 협약을 체결하고, 기후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규제를 제안했다. 브라질은 기후 외교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25년 벨렝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30)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 기후 레짐에서 브라질의 기후외교를 분석하고 평가했다. 브라질은 아마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국제 환경 회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룰라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브라질은 다자주의 재건과 기후 및 환경 중점 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은 1992년 리우 환경 회의를 계기로 환경 및 기후 부문에서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2012년 리우+20 회의에서도 빈곤 퇴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강조했다. 브라질은 리우-92와 리우+20 회의에서 개발도상국의 입장을 대변하며,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CBDR)” 원칙을 제안했다. 브라질은 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COP 3에서 교토의정서 채택, COP 14에서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 제안, COP 21에서 파리 협정 체결, COP 27에서 손실과 피해 기금 설립 등을 통해 기후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브라질은 탄소 거래 시장 제도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설정하여 기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은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67%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약속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채택과 기후 회복력 전략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브라질은 글로벌 기후 레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기후 외교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COP 30을 계기로 브라질의 기후 외교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브라질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G20 Summit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in 2024, President Lula signed the “Global Initiative on Information Integrity on Climate Change” agreement and proposed digital platform regula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climate misinformation. Brazil is playing an active role in climate diplomacy and is scheduled to host the 30th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30)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Belém in 2025.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Brazil's climate diplomacy in the global climate regime. Brazil is great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s it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Amaz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particular, with the re-election of President Lula, Brazil is promoting the reconstruction of multilateralism and climate and environment- focused diplomacy. Brazil began its international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al and climate sectors with the 1992 Rio Earth Summit. The Rio+20 conference in 2012 also emphasized poverty eradi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razil represented the position of developing countries at the Rio-92 and Rio+20 conferences, proposing the principle of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CBDR).” Brazil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change response at the UNFCCC Conference of the Parties.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diplom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at COP 3, the propos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throug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t COP 14, the conclusion of the Paris Agreement at COP 21,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oss and Damage Fund at COP 27. Brazil is pursuing climate policy by establishing a carbon trading market system and a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NDC). Brazil has pledg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67% by 2035 compared to 2005, and i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and climate resilience strategies. Brazil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 climate regime and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climate diplomacy. Brazil’s climate diplomacy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with COP 30 as an opportunity. Brazil is pursuing various policies and strategi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by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번역하기

      At the G20 Summit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in 2024, President Lula signed the “Global Initiative on Information Integrity on Climate Change” agreement and proposed digital platform regula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climate misinformation....

      At the G20 Summit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in 2024, President Lula signed the “Global Initiative on Information Integrity on Climate Change” agreement and proposed digital platform regula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climate misinformation. Brazil is playing an active role in climate diplomacy and is scheduled to host the 30th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30)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Belém in 2025.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Brazil's climate diplomacy in the global climate regime. Brazil is great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s it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Amaz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particular, with the re-election of President Lula, Brazil is promoting the reconstruction of multilateralism and climate and environment- focused diplomacy. Brazil began its international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al and climate sectors with the 1992 Rio Earth Summit. The Rio+20 conference in 2012 also emphasized poverty eradi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razil represented the position of developing countries at the Rio-92 and Rio+20 conferences, proposing the principle of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CBDR).” Brazil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change response at the UNFCCC Conference of the Parties.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diplom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at COP 3, the propos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throug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t COP 14, the conclusion of the Paris Agreement at COP 21,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oss and Damage Fund at COP 27. Brazil is pursuing climate policy by establishing a carbon trading market system and a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NDC). Brazil has pledg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67% by 2035 compared to 2005, and i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and climate resilience strategies. Brazil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 climate regime and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climate diplomacy. Brazil’s climate diplomacy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with COP 30 as an opportunity. Brazil is pursuing various policies and strategi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by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