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가치판단을 나타내는 모달리티형식의 기본의미와 모달리티형식간의 비교분석을 의미・기능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본 연구계획서에는 매수의 제한상, 「なけ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7252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치판단을 나타내는 모달리티형식의 기본의미와 모달리티형식간의 비교분석을 의미・기능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본 연구계획서에는 매수의 제한상, 「なけれ...
본 연구에서는 가치판단을 나타내는 모달리티형식의 기본의미와 모달리티형식간의 비교분석을 의미・기능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본 연구계획서에는 매수의 제한상, 「なければならない」를 중심으로 연구내용을 제시하겠다.
본 연구에서는「なければならない」의 의미를 文의 특징, 명제 술어의 특징, 명제 술어의 동작주의 인칭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なければならない」文의 특징을 보면 「なければならない」는 「ので」「から」등 원인을 나타내는 종속절과 共起하여, <결과>를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1)はじめは興味を感じて俊介に協力していた連中もネズミがひっきりなしに送られてくるとげんなりして手をひいてしまったので、俊介は一人で黒焦げの死体の始末を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パニック)
또한, 「なければならない」의 명제 술어의 경향을 살펴보면, (2)의 「つくる」와 같이 동작동사술어의 사용이 많다.
(2)午前中で授業を終えて戻る行助の昼食をつくらねばならなかった。(冬の旅)
또, 본 연구에서는 「なければならない」의 술어의 동작주를 특정한 경우(1,2,3인칭)와 불특정(일반주체)한 경우로 나눠 분석할 것이다.
(3)私をこの行為に導いた運命が誤っているにせよ、私の心が誤っているにせよ、事実において、私が一個の暴兵にすぎないのを、私は納得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野火)
(4)彼によればこの旅行の唯一の資格は首と胴がつながっていることだけで、もし首がなければ他界に生きのびることはできないから、人は透明な影となりながらなおかつ永久に閉じることのない傷を抱いて辻や戸口をさまよいつづけねばならないはずであった。(パニック)
(3)의 명제 술어의 동작주의 인칭은 1인칭으로, 동작주의 현실세계의 실현에 대한 의지, 각오가 느껴진다. (4)은 일반주체인 경우인데, 동작주의 명제에 대한 희망의 뉘앙스가 느껴진다.
다음으로, 「なければならない」의 비교분석의 일환으로써, 「べきだ」와의 비교연구내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일본어학습자의 작문을 보면, (5B)와 같은 오용을 볼 수 있다.
(5)A: もうお帰りですか。 B: *私は帰るべきです。
(5B)는 벌써 집에 가냐는 A의 질문에 「가야 돼요」라는 의미로 「べきだ」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5B)에서는 「私は帰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과 같이 「なければなりません」을 쓰면 자연스러워진다. (5)에서도 알 수 있듯이,「なければならない」「べきだ」의 비교연구에서는 명제술어의 동작주의 인칭이 중요한 구별 요소가 된다.
또한, (6)과 같이 「なければならない」와「べきだ」는 비과거형과 과거형에 따라 그 의미는 달라진다.
(6)a. 彼女は彼に電話すべきだ/すべきだった。
b. 彼女は彼に電話しなければならない/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6)에서 「べきだ」의 경우는 과거형을 쓰면, 현실세계에서는 명제의 실현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反事実)이지만, 「なければならない」에서는 명제의 실현여부를 알 수 없다.
또한, 명제 술어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なければならない」「べきだ」모두 동작술어가 오는 경우가 많지만, 「なければならない」는 많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7)과 같이 형용사술어도 올 수 있지만, 「べきだ」는 불가능하다.
(7)ひとつの刺激がおわれば、つぎの刺激はかならずそれより大きくなければならない。(パニック)
본 연구에서는 가치판단을 나타내는 모달리티형식의 기본의미를 명백히 밝히고, 다른 모달리티형식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용례는 『新潮文庫の100冊』에서 추출한다. 용례 추출방법 및 분석 방법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각 모달리티형식이 회화에 나타난 경우와 지문에 나타난 경우를 나눈다.
② 각 텍스트별로 각 모달리티형식을 비과거형과 과거형으로 나눈다.
③ ①②의 분류에 따라 용례를 분석하여, 각 모달리티형식의 기본의미를 고찰한다.
용례의 분석방법은 각 모달리티형식별로 조금씩 다르나, 주로 4개의 분석기준을 생각하고 있다.
a. 모달리티형식의 文의 특징(共起하는 요소 등)
b. 명제의 현실세계에서의 실현여부
c. 명제의 인칭
d. 명제 술어의 특징
④ ③을 바탕으로 각 모달리티형식의 공통점・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⑤ ③④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모달리티형식을 「가치판단의 모달리티」안에서 체계화한다.